• Title/Summary/Keyword: 비정형시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River Water Lev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ory and Unstructured Data (인공신경망 이론과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한 하천수위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Jeongha;Hwang,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88-388
    • /
    • 2020
  • 매년 국지성호우 및 태풍으로 인해 하천 범람이나 저지대침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인명 피해 사례로 이어지기도 한다. 피해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강우와 유량과 같은 정형데이터로 홍수예보가 이뤄지고 있으나 기존의 정형데이터만 사용하다보니 도심지역이나 소규모 하천에서 인명 피해 예측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인구의 유동성을 고려한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해야 한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사용자가 증가됨에 따라 텍스트나 사진과 같은 다양한 비정형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지진이나 홍수와 같은 재난 발생 시 유용한 데이터로 활용된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사람들이 GIS와 같은 위치정보나 시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렇게 생산된 비정형데이터를 기존 물리적 기반의 수문모형의 데이터로 활용하기에는 많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채널을 통해 생성된 비정형 데이터들을 인공신경망모형에 적용하여 하천수위를 예측하였다.

  • PDF

Digital Technologies for Freeform Building in Korea (국내 비정형건축의 디지털 기술적용에 관한 연구)

  • Ryu, Jeong-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9
    • /
    • pp.4259-4265
    • /
    • 2012
  • Digital technologies and raising problems in freeform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in Korea were examined in this paper. Three Korean building cases were researched by having interviews with experts and documentary survey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problems and important points were drawn from this research. The necessity of panel optimization, significance of the secure file conversion, difficulties in securing constructability of freeform building and using of 3D data for manufacturing panels.

Deduction of Considerations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by Analysing Domestic and Abroad Case Analysis of Freeform Building Envelope (국내외 비정형 건축물 외피시스템 사례 분석을 통한 설계 및 시공시 고려사항 도출)

  • Ryu, Han-G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4
    • /
    • pp.84-96
    • /
    • 2013
  • Recently, architectural design has been changing from formal design to freeform design due to the digitaliz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 Especially, the formal design has been accepted as a design trend recently and applied many times as a design concept in the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s such as turn-key. However, various deflects such as water leak and cracks have been occurred because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methods had been applied without any revision or adaptation of the formal construction method for the freeform building construction. Design and construction of freeform building has been developed as an new metho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minimize the construction duration and cost for the freeform building. Therefore this research deduced the positiv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freefrom envelope by analyzing the domestic and abroad cases and proposed the considerations during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freeform envelope as follows. First, the freeform design should consider the constructability for the freeform envelope. Second, manufacturing technology for the two-way curvature of the unit panel should be developed. Third, exposed concrete form method should be developed for the freeform envelope of concrete. Forth, material characteristics, construction method and facility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manage precipitation and keep water-proof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freeform envelope area.

Flood monitoring and prediction using online unstructured data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한 홍수 모니터링 및 예측)

  • Lee, Jeong Ha;Hwang, Seok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18-118
    • /
    • 2019
  • 현재 홍수예보는 정형데이터인 유량 및 수위 등을 활용하여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사람들이 체감하는 홍수에 대한 위험도는 홍수예보 발령과는 달라 홍수예보가 이뤄지지 않은 지역에서 인명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수위 측정이 이뤄지지 않는 소규모 하천이나 사람들의 유동성이 큰 도심지역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사람들의 체감 정도 및 인구의 유동성을 고려한 비정형데이터를 활용해야 한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Commuinty, SNS)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기존에 사용되어 왔던 정형데이터 센서 이외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개개인이 작성하는 글은 실시간으로 활용이 가능하여 인구의 유동성 및 시 공간적 데이터를 얻기에 유용하여 활용성이 매우 높은 비정형데이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NS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2018년에 발생했던 강우사상과의 패턴을 비교하여 홍수예보에서의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홍수와 관련한 키워드를 중심으로 시 공간적 정보 및 추출이 가능한 웹 크롤러(Web Crawler)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와 실제 홍수사상을 비교 분석을 한 결과 강우량 및 수위와 해당 지역에 대한 데이터의 양이 유사한 패턴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리드타임을 충분히 확보한다면 홍수예측에 활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주요-대4-시드사업인 '커뮤니티 빅데이터 패턴 해석을 통한 수난(水難) 발생 및 규모 예측 기술 개발(20190126-001) '로 수행되었습니다.

  • PDF

Implementation and Comparison of Atypical Big-Data Collecting Modules (비정형 빅데이터 수집 모듈의 구현 및 비교)

  • Kim, JungKi;Cheon, YoSeop;Kim, Woo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631-634
    • /
    • 2014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블로그, SNS 등에서 방대한 양의 데이터가 발생함에 따라 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작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크게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비정형 데이터는 전체 데이터의 약 80%를 차지할 정도로 그 양과 가치가 매우 크다. 이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비정형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Chukwa와 Flume에 대한 개발 및 비교 분석을 시도 하였다.

Mathematical Algorithms for the Automatic Generation of Production Data of Free-Form Concrete Panels (비정형 콘크리트 패널의 생산데이터 자동생성을 위한 수학적 알고리즘)

  • Kim, Doyeong;Kim, Sunkuk;Son, Seunghy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22 no.6
    • /
    • pp.565-575
    • /
    • 2022
  • Thanks to the latest developments in digital architectural technologies, free-form designs that maximize the creativity of architects have rapidly increased. However,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forming various free-form curved surfaces. In panelizing to produce free forms, the methods of mesh, developable surface, tessellation and subdivision are applied. The process of applying such panelizing methods when producing free-form panels is complex, time-consuming and requires a vast amount of manpower when extracting production data. Therefore, algorithms are needed to quickly and systematically extract production data that are needed for panel production after a free-form building is designed. In this re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athematical algorithms for the automatic generation of production data of free-form panels in consideration of the building model, performance of production equipment and pattern information. To accomplish this, mathematical algorithms were suggested upon panelizing, and production data for a CNC machine were extracted by mapping as free-form curved surfaces. The study's findings may contribute to improved productivity and reduced cost by realizing the automatic generation of data for production of free-form concrete panels.

A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Free Form Building's Construction Productivity - Focused on Exposed Concrete Work - (비정형 건축물 공사의 생산성 분석 및 향상방안 - 노출콘크리트 공사를 중심으로 -)

  • Lee, Eun-Young;Kim, Yea-Sa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5 no.3
    • /
    • pp.38-46
    • /
    • 2014
  • The Global's top five Design Firms selected from BauNetz a German architectural magazine in 2007 designed free form building design which was 25% of the overall design by 2006-2010. Free form building is a landmark of the city and the country so its social and economic impacts are very large. In case of Korea, free form buildings such as Tribowl in Incheon, KINTEX Exhibition hall 2 and Dongdaemun Design Plaza have increased. However, those the increase in design trends and, the needs due to the lack of free form building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experience, free form building projects can't be expected to profitability and have a number of problems after completion. Especially, there are many excessive quality problems and the rising cost due to design changes frequently and lack of experience and data. Thus an initial plan regardless of considering of free form building's characteristics can be a huge risk because of the difference with the plan and actual projects, yet there aren't free form building project's performance data and case studies related to productivity. In this study, through selection of low-construction productivity works and an analysis of the work process and productivity data, hope to propose an actual field productivity of free form building and the ways to improve productivity.

Optimal Camera Placement Leaning of Multiple Cameras for 3D Environment Reconstruction (3차원 환경 복원을 위한 다수 카메라 최적 배치 학습 기법)

  • Kim, Ju-hwan;Jo, Dongsik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9
    • /
    • pp.75-80
    • /
    • 2022
  •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immersive virtual reality(VR) technology to provide a realistic experience is being widely conducted. To provide realistic experience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for VR participants, virtual environments should consist of high-realistic environments using 3D reconstruction. In this paper, to acquire 3D information in real space using multiple cameras in the reconstruction process, we propose a novel method of optimal camera placement for accurate reconstruction to minimize distortion of 3D information. Through our approach in this paper, real 3D information can obtain with minimized errors during environment reconstruc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immersive experience with the created virtual environment.

Traffic Shaper in consideration of UPC/NPC in ATM Networks (ATM망에서 UPC/NPC를 고려한 트래픽 정형화기)

  • 조태경;최병욱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12B
    • /
    • pp.2003-2015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ATM 망을 구성하고 있는 노드(node) 간의 셀(cell) 전송시에 출력 링크(output link)로 전송된 셀이 수신 노드에서 수행하는 UPC/NPC에 의해 손실되지 않는 트래픽 정형화기(shaper)를 제안한다. 제안한 정형화기는 비실시간 가변비트율(nrt-VBR) 트래픽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각 ATM 연결(connection)에 대해 독립된 큐(queue)를 할당하였으며, 출력 링크로 전송할 셀을 저장하고 있는 큐를 선정하기 위해 모든 큐에 대해 Generic Cell Rate Algorithm(GCRA)를 수행하여 큐의 상태를 결정하고, 그 결과 전송 가능 상태에 있는 모든 큐들을 대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간의존 확률적 스케줄링(time-dependent probability schedul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특정 큐를 선택하여 셀을 전송한다. 제안한 정형화기의 성능평가를 위해 WRR(Weighted Round Robin)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사용한 정형화기 및 WFQ(Weighted Fair Queueing)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적용한 정형화기에 대한 모의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 제안한 정형화기는 비실시간 가변비트율(nrt-VBR) 트래픽의 정형화(shaping)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Flood Damage Map with Crowdsourcing Data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를 적용한 홍수 피해지도 활용방안 연구)

  • Lee, Jeongha;Hwang,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0-310
    • /
    • 2022
  • 최근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웹(Web)상에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실시간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해당 내용은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재난과 관련 상황에서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데이터가 활용되기도 하며 기존의 수치 계측 데이터가 아닌 하나의 센서 역할을 하는 개인의 비정형데이터의 업로드가 다양한 재난 모니터링 부분에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홍수 등의 자연재해 발생 시 개개인의 업로드 한 웹 데이터에는 시간에 따른 인구의 유동성이나 간단한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여 실제 피해의 정도를 보다 빠르고 다양한 정보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홍수 발생 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수문 데이터는 피해의 규모가 크게 예측되는 대하천 위주로 관측이 이루어지며 관측지역과 데이터의 양이 한정되어있어 비정형데이터를 함께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에 있는 비정형 데이터들을 추출해내는 웹 크롤러를 구성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추출한 데이터들에 대해 강우 사상과 공간적 패턴을 비교 분석하여 크라우드 소싱 데이터를 적용한 홍수 피해지도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