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정상행위기반탐지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Combining Multiple HMMs to Improve Intrusion Detection system with Sequential Event (순서적 이벤트에 기반한 침입탐지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한 다중 HMM의 모델 결합)

  • 최종호;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238-240
    • /
    • 2000
  • 침입탐지시스템은 침입탐지 기법에 따라 크게 오용탐지시스템과 비정상행위탐지시스템으로 나뉜다. 비정상 행위 탐지시스템은 정상사용행위를 모델링한 후 현재 관찰중인 행위가 정상에서 벗어나는지를 검사한다. 시스템 사용시 발생하는 각 이벤트는 동시에 여러 가지 정보를 담고있으므로 여러 각도에서 모델링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결과를 종합해서 판정의 안정성을 높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벤트의 시스템호출에 평가결과와 BSM감사정보 중 시스템호출관련 정보, 파일 접근관련 정보, 이 둘을 모두 고려한 정보를 통합한 평가결과를 투표방식으로 결합하여 판정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두 모델을 별도로 적용하는 경우보다 나아진 판정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Anomaly Intrusion Detection Using Sequential Properties of Packets (패킷 순차성을 이용한 비정상행위 침입 탐지)

  • 홍동호;유황빈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3.12a
    • /
    • pp.101-106
    • /
    • 2003
  • 인터넷 상에서의 대부분의 네트워크 공격은 공격의 목표가 되는 시스템에 단일 패킷만을 보냄으로써 공격이 이뤄질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침입탐지시스템에서는 내부 네트워크로 들어오고 나가는 패킷들에 대한 일련의 순차성을 알아냄으로써 네트워크 공격을 탐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네트워크 패킷의 순차성을 이용하여 비정상행위에 대한 침입탐지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일부 비정상행위 탐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간을 기준으로 한 트랜잭션의 분할에서 오는 단점을 지적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탐지 단위로서 사용자의 세션을 사용하였다. TCP/IP 네트워크에서의 사용자 세션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정보가 사용자 행위 테이블로 표현되며 이러한 사용자 행위 테이블은 서비스 포트 별로 통계적인 정리가 가능하다. 또한 이렇게 정리된 서비스 포트별 정보에서는 확률을 기반으로 한 비정상 행위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정상 행위도를 이용하여 침입 판단의 근거자료로 삼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ntrusion Detection based on Intrusion Prediction DB using System Call Sequences (시스템 호출을 이용한 침입예상 데이터베이스 기반 침입탐지)

  • Ko, Ki-Woong;Shin, Wook;Lee, Do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927-93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중요 프로세스(privileged process)의 시스템 호출 순서(system call sequence)를 이용한 침입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의 정상행위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은 정상행위를 모델링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이와 비교를 통해 프로세스의 이상(anomaly)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방법은 모델링되지 않은 미지의 행위에 대한 적절한 판단을 행할 수 없으므로, 높은 오류율(false-positive/negative)을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공격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윈도우들을 수집하여 침입예상윈도우를 구축하고, 이를 기존의 침입탐지 시스템에 부가적으로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오류율(false-positive/negative)을 낮출 수 있음을 보인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을 통한 침입탐지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공격 탐지율은 증가하고 정상행위에 대한 오류율은 감소하였다.

  • PDF

Deep Learning based User Anomaly Detection Performance Evaluation to prevent Ransomware (랜섬웨어 방지를 위한 딥러닝 기반의 사용자 비정상 행위 탐지 성능 평가)

  • Lee, Ye-Seul;Choi, Hyun-Jae;Shin, Dong-Myung;Lee, Jung-Jae
    • Journal of Software Assessment and Valuation
    • /
    • v.15 no.2
    • /
    • pp.43-50
    • /
    • 2019
  • With the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computer-related crimes are rapidly increasing, and in recent years, the damage to ransomware infections is increasing rapidly at home and abroad. Conventional security solutions are not sufficient to prevent ransomware infections, and to prevent threats such as malware and ransomware that are evolving, a combination of deep learning technologies is needed to detect abnormal behavior and abnormal symptoms. In this paper, a method is proposed to detect user abnormal behavior using CNN-LSTM model and various deep learning models. Among the proposed models, CNN-LSTM model detects user abnormal behavior with 99% accuracy.

Detection and Location-based Visualization of Anomalous Web Sessions (비정상 웹 세션 탐지 및 지역 기반 시각화)

  • Kim, Sang-Rok;Lee, Jun-Sup;Seo, Jeong-Seok;Cha, Su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c
    • /
    • pp.616-620
    • /
    • 2006
  • 한 해에도 수많은 해킹 사고가 발생하고 있고, 이 중에서 웹 해킹이 차지하는 비율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해킹 동향을 분석해 보았을 때 웹 해킹의 비율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한 공격의 특성 상 정상행위와 비정상 행위의 구분이 어렵다. 따라서 웹 서비스에 특화된 침입탐지 시스템이 요구된다. 또한 웹 사이트 관리자는 빠른 탐지와 대응을 위해 이상 행위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인식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Location-based Visualization Tool을 제안한다. 웹 사용 현황 및 이상행위에 대해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웹 서버의 access log를 분석하여 이상 행위를 탐지하였고, IP정보를 기반으로 지역 정보의 시각화를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Evaluation Model and Network Based IDS using IBL (IBL을 사용한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과 평가 모델의 연구)

  • Kim, Do-Jin;Won, Il-Yong;Song, Doo-Heon;Lee,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949-952
    • /
    • 2002
  • 비정상 행위를 탐지하는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은 다른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같은 학습정확도와 탐지 성능을 보여야 한다. 그러나 학습을 통한 패턴생성 알고리즘의 특성에 따라 정확도의 불일치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탐지 성능 또한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다르게 보고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본 논문은 침입탐지를 위한 학습 알고리즘으로 Instance 기반의 알고리즘인 IBL(Instance Based Learning)을 선택하여 학습시간의 단축과 패턴생성에 따른 분류근거의 명확성을 고려하였으며, 학습 환경 즉, 네트워크 환경의 차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확도의 저하를 고려하여 COBWEB 과 C4.5 로 구성된 평가 요소를 침입탐지 모델에 추가함으로써 네트워크 보안관리자에게 좀더 유연한 비정상 행위 수준 탐지결과를 보고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An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the Security of VANETs (VANETs의 보안을 위한 비정상 행위 탐지 방법)

  • Oh, Sun-J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0 no.2
    • /
    • pp.77-83
    • /
    • 2010
  • Vehicular Ad Hoc Networks are self-organizing Peer-to-Peer networks that typically have highly mobile vehicle nodes, moving at high speeds, very short-lasting and unstable communication links. VANETs are formed without fixed infrastructure, central administration, and dedicated routing equipment, and network nodes are mobile, joining and leaving the network over time. So, VANET-security is very vulnerable for the intrusion of malicious and misbehaving nodes in the network, since VANETs are mostly open networks, allowing everyone connect, without centralized control.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ugh set based anomaly detection method that efficiently identify malicious behavior of vehicle node activities in these VANETs, and the performance of a proposed scheme is evaluated by a simulation in terms of anomaly detection rate and false alarm rate for the threshold ${\epsilon}$.

A Study on Combined IDS Model For Performance Improving (성능 향상을 위한 통합 침입 탐지시스템에 대한 연구)

  • Hong, Seong-Kil;Won, Il-Yong;Song, Doo-Heon;Lee,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843-1846
    • /
    • 2003
  • 네트워크 기반의 공격 및 비정상 행위를 정확히 탐지하고 판단하기 위한 기존의 탐지 모델은 공격 룰셋의 패턴매칭 기반인 Misuse Detection System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의 특성상 새로운 공격의 미탐지 및 공격 오인등으로 False Positive 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전체 시스템의 성능을 판정하는 False Positve 에러율을 줄여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Meachine Learning기반의 Anomaly Detection System 을 결합한 새로운 탐지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Anomaly Detection System 은 정상행위에 대한 비교적 높은 탐지율과 새로운 공격에 대한 탐지가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각 시스템의 탐지모델로 Snort 와 인스턴스 기반의 알고리즘인 IBL 을 사용했으며, 결합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각 탐지 모델의 False Positive와 False Negative 에러율을 측정하였다.

  • PDF

A Study on Modeling Network Normal Behavior based on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 기반 네트워크 정상행위 모델링에 관한 연구)

  • Kwon, Sungmoon;Shon, Tae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164-165
    • /
    • 2018
  • 네트워크 정상행위 모델링이란 대상 네트워크 및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행위 중 허용된 행위를 모델링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행위 모델은 해당 모델의 정상 이외 범주의 알려지지 않은 비정상 행위의 탐지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활용도가 높다. 네트워크 및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할수록 특성의 파악이 힘들며 이로 인해 주요 특징의 누락이 발생할 수 있어 대상 네트워크의 다수의 데이터에 기반한 기계학습 기반의 네트워크 정상행위 모델링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정상행위 모델링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계학습 기반의 기법을 제시한다.

Design and Evaluation of an Anomaly Detection Method based on Cross-Feature Analysis using Rough Sets for MANETs (모바일 애드 혹 망을 위한 러프 집합을 사용한 교차 특징 분석 기반 비정상 행위 탐지 방법의 설계 및 평가)

  • Bae, Ihn-Han;Lee, Hwa-Ju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9 no.6
    • /
    • pp.27-35
    • /
    • 2008
  • With the proliferation of wireless devices, mobile ad-hoc networking (MANETS) has become a very exciting and important technology. However, MANET is more vulnerable than wired networking. Existing security mechanisms designed for wired networks have to be redesigned in this new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problem of anomaly detection in MANET. The focus of our research is o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constructing anomaly detection models that are capable of detecting new or unseen attacks. We propose a new anomaly detection method for MANETs.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cross-feature analysis on the basis of Rough sets to capture the inter-feature correlation patterns in normal traffic.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evaluated through a simul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performance of Huang method that uses cross-feature based on the probability of feature attribute value. Accordingly, we know that the proposed method effectively detects anomal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