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점오염물질

Search Result 49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ediment Characteristics in Parking Lot Ditch (주차장지역의 강우유출수로부터 발생된 퇴적물 특성)

  • Lee, Soyoung;Lee, Eun-Ju;Son, Hyungun;Kim, Chulmin;Maniquiz, M.C.;Son, Youngkyu;Khim, Jeehyeong;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9 no.3
    • /
    • pp.43-49
    • /
    • 2007
  • A ditch is a facility for managing washed-off runoff from parking lot area. Washed-off runoff inflows into ditches where it is retain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At this point, it is assumed that a ditch is a preliminary unit for runoff treatment. This research carries out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and chemical compound for sediment in parking lot ditch. This work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mount of generated sediment from this area to be able to determine different particle size ranges for treatment. Metal concentrations for sediment according to particle size are analyzed. From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 the weight ratio with the range of $425-850{\mu}m$ is the highest. Considering its weight ratio, the metal concentration of coarser particles is high, otherwise metal concentration increases as particle size decreases. Metal load of the range is higher and the ratio of total metal load in the case of Cu, Pb, Zn is nearly 30%. Moreover metal concentration associated with particle size depends on particle ratio. To manage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parking lot area, these results can be used with this ditch unit.

  • PDF

Characteristics of NPS Pollutants and Treatment of Stormwater Runoff in Paved Area during a Storm (강우시 포장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저감특성)

  • Son, Hyun-Geun;Lee, So-Young;Maniquiz, Marla C.;Kim, Lee-Hyu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1 no.2
    • /
    • pp.55-66
    • /
    • 2009
  • The increase of pollutant loadings from nonpoint sources affect the water quality of the major rivers in Korea. Consequently, the need for managing the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 becomes the main concern of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MOE). Recently, the policy was changed from pollutant concentration-restricting approach to the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approach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and protect the aquatic ecosystem. Part of the program is the construction of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pilot facilities basically to control NPS. Most of the BMPs adopted were foreign technologies which could not be properly employed in the country due to some limitations such as climate, watershed characteristics, etc. In other words, to be able to apply the BMPs, research on its applicability is necessary. In this study, a three-year monitoring has been conducted to assess the treatment performance of the BMP installed in highway toll plaza and parking lot. The data gathered aid in the characterization of NPS pollutants in runoff and estimation of the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of the BMP.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the future implementation of BMP in different land uses as well as for the determination of optimum operation and maintenance.

  • PD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from Highway Toll Gate Landuse (고속도로 영업소지역에서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 Lee, Eun-Ju;Son, Hyun-Geun;Kang, Hee-Man;Kim, Lee-H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9 no.4
    • /
    • pp.185-192
    • /
    • 2007
  • Newly constructed road is a requisite to be able to carry out BMPs (Best Management Practices) under TMDL(Total Maximum Daily Load) program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BMPs require pollutant source control during road construction and wash off reduction plan as well as maintenance practices subsequent to construction on the purpose of discharging the minimum wash off non-point source polluta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pportive discharged data in evaluating the discharged non-point pollutant load from a highway toll gate area. It can be applied to manage non-point source pollutants on roads. The results validate the first flush phenomenon that it is known to be one of the wash off characteristics in paved area. In addition, the load per unit area and load per unit rainfall duration applying EMC are calculated. The mean load per unit rainfall duration is assessed to be $533.7mg/m^2-hr$ for TSS, $396.2mg/m^2-hr$ for COD, $17.0mg/m^2-hr$ for TN, and $4.8mg/m^2-hr$ for TP. These results show the unitload taken from monitoring are higher than the unit load suggested in the TMDL. It is important to adopt real pollutant unit for road to be able to perform BMP successfully.

  • PDF

An Analysis of First Flush Phenomen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during Rainfall-Runoff Events from Impervious Area (불투수성 지역의 강우유출수에 대한 비점오염물질의 초기유출현상 분석)

  • Ahn, Tae-Ung;Bum, Bong-Su;Kim, Tae-Hoon;Choi, I-Song;Oh, Jong-M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5 no.9
    • /
    • pp.643-653
    • /
    • 2013
  • In this study, trend analysis was performed by various runoff analysis method of Non-point Pollution Source(NPS) at the impervious area.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at impervious area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rainfall strength and it appeared that first flush phenomenon occurs often if rainfall strength acts largely. It is judged that the measure is required to be prepared against that now that concentration difference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appeared to be big by precedent number of days of no rainfall. As the result of calculating Decrease Rate (DR) by first flush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it is judged that it is important to prepare the measure against the pollutants about initial rain and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capacity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processing facilities regarding that now that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integrated at impervious area showed the characteristics that are flowed out in high concentration by initial rain in case of non-rainfal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at impervious area. When taking 50%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as the standard for decrease rate that was evaluated previously, it appeared as 15~60 min in case of TSS and it appeared as 30~90 min in case of organic compound, but the characteristic whose decrease rate is below 50% also appeared even till rainfall-runoff ends. Based on that, it is judged that it could be used as the reference when designing the structural BMPs facilities later.

Status of the water quality of nearby rivers according to livestock density in rainy season (축산 밀집도에 따른 강우시 인근 하천의 수질현황)

  • Lee, Su In;Shin, Jae Young;Joo, So Hee;Na, Young Gwang;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8-568
    • /
    • 2016
  • 가축분뇨는 발생부터 처리, 유통 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로에서 비점오염이 배출되고 있다. 그러나 소규모 농가의 경우 수거에 의해 공공처리시설에서 처리되는 가축분뇨의 양은 매우 적고, 대부분 자체 자원화 시설에서 톱밥발효에 의한 퇴비화를 하는 등 관리 미흡으로 인하여 축산 농가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부하가 큰 실정이다. 또한 관리주체가 모호하고, 축산비점오염물질의 정량화 및 하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관리 대책 마련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축산농가의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축산 비점오염물질이 강우시에 주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및 분석하여 향후 축산 비점오염원 DB구축에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은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천 일대로 축산비점오염원에 대한 영향 파악을 조사하기 위해 하천의 상류부터 하류까지 총 5개의 지점을 선정하여 2015년도에 6개 강우사상에 대하여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수문분석을 위해 조상대상지역의 강우량, 유속 및 유량 등을 측정하였으며, 수질분석은 수질오염공정시험과 Standard Method를 이용하여 BOD, TN, TP 등의 농도를 분석하였다(USEPA 1993). 모니터링의 결과를 이용하여 강우시 오염물질에 대한 EMC를 산정하고 각 소유역 내 축산 현황에 따른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였다.

  • PDF

Effect of Reduction Measures on Surface Runoff (유출저감 대책 적용의 영향에 관한 연구)

  • Son, Minwoo;Byun, Jisun;Park, Byeou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57-357
    • /
    • 2018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기온과 강수량의 증가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수문 순환 및 강우-유출의 변화로 인해 하천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수질 오염원 중 배출원의 형태가 명확하지 않은 비점오염원은 강우의 유출과 함께 발생하는 특징을 띤다. 비점오염원은 지표면에 존재하던 오염 물질이 지표면에서 유출이 발생함에 따라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이다. 이에 따라 강우량에 비례하는 특성을 띠며 점 오염원과 달리 변동 폭이 크다. 대표적인 비점오염물로 알려진 질소, 인과 같은 영양물질은 하천으로 유입 시 부영양화를 야기하는 물질로 우리나라와 같이 계절별 강수량의 차이가 큰 환경에서 비점오염물의 지속적인 관리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비점오염원은 오염원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하천으로의 유입을 최소화하는 최적관리기법(Best Management Practices)을 통해 관리한다. 국내외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비점오염원 최적관리기법은 식생형 시설로, 나지에 식물체를 파종함으로써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여 비점오염물의 하천 유입을 저감시키고, 자연경관으로써 기능한다. 미래 수자원의 효과적인 이용을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 변화, 그로 인한 수질 변화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통해 기온, 강수, 습도와 같은 기후 조건의 변화를 고려하여 예측되는 비점오염물의 유출 저감 대책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그 자체로 불확실성을 포함하는 자료이기 때문에 특정 시나리오를 분석하기 보다는 기후변화 진행 정도에 따른 비점오염물 유출을 산정하고 저감 대책의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장기간의 강우-유출 특성의 모의가 가능하고 저감 대책을 제공하는 SWAT 모형을 이용한다. SWAT 모형에서는 여러 최적관리기법을 제공하는데, 가장 널리 이용되는 것이 식생형 시설인 것에 기초하여 적용할 저감 대책으로 계단식 산비탈(Terracing)을 선정하였다. 저감 대책의 적용으로 비점오염물질이 적게는 약 30%에서 많게는 60%까지 변화하며 매우 효율적으로 저감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저감 시설의 적용을 통해 총 량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비점오염물 유출의 변동성 또한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Improvement on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Reasonable Implementation of TMDL - Focusing on Sele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 and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 (수질오염총량관리제의 합리적인 시행을 위한 비점오염원관리 개선방안 -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선정 및 비점오염물질 관리를 중심으로 -)

  • Yi, Sang-Jin;Kim, You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10
    • /
    • pp.719-723
    • /
    • 2014
  •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this study presented the improving plan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calcul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generated, discharged), sele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s and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First of all, the definition of point source pollution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based on the legal and scientific viewpoint should be precisely classified and managed. Especially, the forest, grassland and river without occurrence of environmental damage by activity of business and human should be separately classified natural background pollutants. The unit for generated and discharged non-point source pollution should be preferentially changed according to actual condition of watershed. The calculation methods of generated and discharged non-point source pollution should be corrected consideration on the amount and duration of rainfall. While the TMDL is implemented,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s should be selected in the watersheds exceed the targeted water quality standards by the rainfall.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s should be selected in the minimal regions where have high values of discharged non-point source pollution density in the urban area, farmland and site area except forest, grassland in the whole watershed.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treatment facilities, which take into consideration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per unit area, duration of the excess concentration, realizable possibility of treatment, effectiveness of treatment cost versus point source pollutant,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regions with a large generated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and a high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exceed the targeted water quality standards by the rainfall.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Rainfall Runoff Characteristics in Songya-stream of Downstream of Andong Dam (안동댐 하류 송야천 유역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 분석)

  • Kang, Tae Seong;Yu, Na Yeong;Shin, Min Hwan;Park, Bae Kyung;Kim, Jong 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82-282
    • /
    • 2021
  • 강우시 농경지와 축산시설로부터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하류 수계의 수질과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하고 다양한 비점오염 저감 대책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안동댐 하류 중 송야천 유역을 대상으로 강우유출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기간은 2020년 6월부터 11월까지 총 5회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상·하류와 유입하천을 포함한 총 8개의 모니터링 지점을 대상으로 강우사상별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 오염부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산정하였으며, 오염원 그룹별 비점배출부하를 산정하여 오염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강우유출수 조사결과를 이용한 EMC 농도 산정 결과 유입하천인 오산천 지점이 SS와 TOC 항목을 제외한 모든 수질항목의 EMC 농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를 산정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T-P 항목의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물한천 지점(0.69 kg/ha)과 오산천 지점(0.69 kg/ha)이 크게 나타났다. 결과와 같이 오산천 지점과 물한천 지점이 오염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상류 오염원 현장 정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강우발생시 상류에 위치한 농경지와 축사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이 하천으로 유입되고 있었으며, 여러 축사에서 배출되고 있는 유입수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T-P 농도가 평균 0.935 mg/L로 높게 나타났다. 전국오염원조사자료(국립환경과학원, 2017) 내용을 참조하여 송야천 유역의 오염원 그룹별 비점배출부하를 산정해 오염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T-P 항목의 경우 축산계와 토지계의 비점배출부하가 전체 비점배출부하의 약 63%와 37%를 차지해 비점배출부하 기여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송야천 유역의 경우 강우시 농경지와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하천 수질오염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며, 비점오염원 발생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송야천 유역의 비점오염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First Flush of NPS Pollution from Upland Field (고랭지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초기세척효과 분석)

  • Shin, Jae Young;Lee, Su In;Park, Byoung Ki;Ju, So Hee;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7-567
    • /
    • 2016
  •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토지이용형태에 따라 유출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강우 초기에 고농도의 유출수가 수계로 유입하게 된다. 또한 강우량, 강우강도, 선행건기일수 등은 비점오염물질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선행건기일수가 길고 강우강도가 강한 강우사상일 경우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안태웅 등, 2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3년간(2010년 ~ 2012년)의 모니터링을 통해 고랭지 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초기세척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초기세척효과의 판단은 Geiger(1987)이 제시한 누적오염부하량과 누적유출량과의 그래프를 비교하여 기울기가 45도 기울기보다 상향하여 분포하였을 경우 양분선과 최대로 벌어진 부분의 시간까지에서 초기세척효과가 발생한다고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고랭지 밭 지역의 경우 뚜렷한 초기세척효과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CODCr의 경우 3차 강우사상에서 초기세척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3차 강우사상은 선행건기일수가 0.9일로 매우 짧고 발생강우량이 27.3 mm로 연구기간 동안 가장 적은 강우량이 관측되었지만, 유출발생시점 전후 3시간 동안 강우강도가 4.0 ~ 6.2 mm/hr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유출초기에 고농도의 오염물질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동안 선행된 초기세척효과에 대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 이병수 등(2008)은 경안천 유역 농업지역에 대해 초기세척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부 강우에서는 초기세척현상이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강우에서는 초기세척현상이 나타나지 않아 농촌지역의 경우 초기세척현상의 접근방법은 적절치 않다고 보고하고 있다. 정성민 등(2009)은 고랭지 농업지역에서 SS와 TP는 뚜렷한 초기세척현상이 나타나는 반면, TN과 DOC는 경향을 보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하지만 윤영삼 등(2011)은 강우시 포도밭에서 초기세척효과를 분석한 결과 모든 수질항목에서 약한 초기세척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SS의 경우 초기세척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투수지역에서의 초기세척효과에 대한 판단은 연구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이유는 투수지역의 토양의 특성, 강우조건, 지형적 특징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in Stormwater Runoff of Shihwa Lake (시화호 유역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및 부하량 연구)

  • Ra, Kong-Tae;Kim, Kyung-Tae;Kim, Joung-Keun;Bang, Jae-Hyun;Lee, Jung-Moo;Kim, Sung-Keun;Kim, Eun-Soo;Yun, Min-Sang;Cho, Sung-R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4 no.1
    • /
    • pp.40-50
    • /
    • 2011
  • We study the characteristic and total flux of non-point pollutants such as total suspended solids (TSS), chemical oxygen demand (COD), dissolved nutrients,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nitrogen (TN) in the storm water runoff from urban streams and sewer outlets of Banweol Industrial Complex around Shihwa Lake. The concentrations of non-point pollutants were gener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 duration and intensity of rainfall. Mean TSS concentration of Ansan stream was higher than that of sewer outlets but mean concentrations of COD, TP and TN were approximately 2~5 times higher of sewer outlet than of urban stream. TSS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s with COD and TP but i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solved nutrien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flux of non-point pollutants in the storm water runoff and total basin area of each sewer outlet, showing that the highest runoff flux was observed at 3rd sewer outlet which represents the largest basin area from Banweol industrial complex. Total runoff fluxes for TSS, COD, TP and TN in this study were 187,536 kg, 17,118 kg, 922 kg, 13,519 kg, respectively. Given the basin area of sewer outlet in Banweol industrial complex which corresponds only 3% from total catchment area around Shihwa Lake, enormous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will be entered into Shihwa Lake without any treatment. It is necessary to manage and reduce of various non-point sources and pollutants because the runoff of nonpoint pollutants during storm events should be deteriorating the water quality of Shihwa Lake. Our results provides useful informations on the development of best managements practices (BMP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otal pollution loads management system of Shihwa L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