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 전력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Optimized Boreoung Dam Emergency Diversion Tunnel Operation Rule Study, considering Water Quantity-BOD-Electric Power in Boreong Dam Water Supply Network (보령댐계통 물 공급망 운영에 있어서의 수량-수질(BOD)-전력을 고려한 보령댐 비상도수로 최적운영 Rule 연구)

  • Lim, Gun Muk;Kim, Sung Hoon;Ryoo, Kyung Sik;Jeong, Kwan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42-42
    • /
    • 2020
  • 충남서부권은 기상이변으로 강수량이 적고 가뭄이 심화되고 있는 반면, 신규수원 개발 적지 부족 등 용수공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가뭄시 비상용수공급을 위해 비상도수로를 건설하였다. 이 비상도수로는 보령댐의 가뭄단계 상황기준으로 운영중에 있다. 가뭄단계 상황이 경계단계에 진입하면 도수로를 가동시작하여 관심단계 회복시에 중단하게 된다. 동 연구는 현재 운영중인 보령댐도수로의 가동Rule을 수량(이수안전도), 수질(BOD), 전력비용을 고려하여 시나리오별로(상시도수, 총 도수량대비 25%, 50%, 75%, 100%) 도수할 때 어느 도수 Rule이 수량-수질-에너지 넥서스 측면에서 가장 유리한지를 밝혀 내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기초자료는 보령댐도수로 준공이후 2016년~2019년 도수실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량(이수안전도) 검토는 MODSIM을 활용하였고, 수질개선효과는 실측 BOD를 기준으로 도수조건별로 오염부하량으로 검토하였다. 전력비용은 금강원수 도수년도별로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추가 연구결과를 통해 가뭄단계 상황기준, 월별 물관리 여건을 고려하여 기준향후 비상도수로 운영에 있어서 수량절량, 수질개선, 전력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Synchronous Ancillary System and UPS Function Using Generator (발전기를 이용한 동기조상기 및 UPS 기능구현에 관한 연구)

  • Choi, Hae-Sun;Kim, Byeong-Kak;Yang, Ji-Hoon;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9.07a
    • /
    • pp.362-363
    • /
    • 2019
  • 비상발전기를 사용하여 무정전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발전기 시스템이 정전을 인식하고 비상발전기의 기동하는 시간동안은 정전이 발생함으로 통상적으로 단주기 ESS와 결합한 UPS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이 경우 UPS 시스템 구축을 위한 ESS 시스템과 인버터에 대한 부담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비상발전기와 엔진의 동력전달 부 사이에 플라이휠과 전자식 클러치에 의한 새로운 비상발전기 단독형 UPS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Inrush Current Reduction of Induction Motor using Emergency Generator (비상발전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의 기동전류 저감에 대한 연구)

  • Choi, Eun-Kyung;Kim, Byeong-Kak;Park, Sung-Ju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443-444
    • /
    • 2020
  • 비상발전기를 이용한 독립 전원시스템에서 유도전동기를 직입기동 할 경우 큰 돌입전류로 인하여 과대한 발전기 용량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소프트-스타트 기동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비상발전시스템에서 유도전동기 기동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저감하기 위해 비상발전기를 이용한 소프트-스타트 기동 방식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방식이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제안된 방법을 적용 시 돌입전류가 저감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Simulation Tool for a Battery Charging Circuit of a Elevator Emergency Rescue System based on Simulink and PSpice Co-simulation (Simulink 및 PSpice 연동해석을 통한 엘리베이터 비상 구출 시스템 축전지 충전회로 시뮬레이션 툴 개발)

  • Choi, JaeHyuk;Zhu, Helin;Mok, HyungS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11a
    • /
    • pp.192-193
    • /
    • 2016
  • 본 논문은 계통 전원 정전 시 계통 전원을 대신하여 전력을 엘리베이터 구동 시스템에 공급함으로써 정전으로 기동이 정지된 엘리베이터 내부에 고립된 승객에 대한 비상구출 운전을 실시하는 자동 비상 구출 운전 시스템의 축전지 충전 회로에 관한 Simulink 및 PSpice 연동 해석 모델 개발을 실시한다.

  • PDF

A Study on Economic Evaluations of ESS Load Test Device for Field Load Test in Fire-fighting Emergency Generator Systems (소방용 비상발전기의 현장부하시험을 위한 ESS 부하시험장치의 경제성평가에 관한 연구)

  • Choi, Seung-Kyo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9
    • /
    • pp.380-386
    • /
    • 2020
  • The ESS load test device (ELTD) can store and exchange electrical energy during the load test of an emergency generator.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commercialize ELTDs based on Li-ion batteries because of the high initial cost, which is higher than a load bank test. If the trade of electrical energy stored in ELTD during the test of an emergency generator is considered, it may be possible to commercialize the ELT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economic model of ELTD composed of the costs and benefits by considering electrical energy trade to perform accurately economic evaluations of an ELTD. From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economic evaluations of an ELTD and the load bank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commercialization of ELTD is possible when the trade in electrical energy in ELTDs is considered.

업계동향 - 충전소 비상발전기 보유 관련 기준 개정 안내

  • 한국LP가스공업협회
    • LP가스
    • /
    • v.23 no.4
    • /
    • pp.24-25
    • /
    • 2011
  • 현행 LPG충전소는 액화석유가스 충전시설의 시설기준 및 기술기준(액법 시행규칙 별표 3, 16항 및 KGS CODE 331~334)에 따라 비상발전기를 무조건 보유해오고 있었으나, 우리협회는 지식경제부 및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에 지속적 건의를 통해 관련규정 "비상전력설비 설치기준(KGS CODE)"을 개정(2011.07.27 시행)하여 비상발전기를 선택적으로 보유할 수 있도록 하였으니 충전소 운영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DF

Design of Micro-Magnetic Energy Harvest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Emergency Lighting LED Driving in Underground Facility for Public Utilities (지하 공동구 비상조명 LED 구동용 초소형 자기 에너지 하베스트 전력관리 회로 설계)

  • Sim, Hye-Ryeong;Lee, Kyoung-Ho;Kim, Joung-Hyun;Han, Seok-B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3
    • /
    • pp.495-502
    • /
    • 2020
  • In this paper, a power management circuit was designed to drive the emergency lighting LED in the underground facility for public utilities using magnetic energy harvest. The magnetic energy harvest consists of a harvest elements and power management circuits. The proposed circuit was made of a rectifier, a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an LED driving circuit. In normal times, the battery is charged with the harvested power, an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energy stored in the battery is used to drive the L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t took two minutes to charge the 47 mF capacitor. This is the amount of power that can drive an LED for emergency lighting for about three and a half minute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magnetic energy harvest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used as an emergency lighting LED-driven power device in an underground facility for public utilities where it is difficult to draw separate power.

Development of 3kW Hybrid ESS including function of Emergency Power Sypply (비상전원 기능을 갖는 3kW급 하이브리드 ESS 개발)

  • Yang, Seokhyun;Hong, Seokyong;Kim, Minjae;Choi, Sewan;Cho, Juns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63-6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비상전원 기능을 갖는 고효율 3kW급 하이브리드 ESS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정상운전모드 시 태양광에너지를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가정용부하에 공급 또는 여분의 전력을 계통에 보낼 수 있고 전력 수요가 많을 시에는 배터리의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하평준화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계통사고 시 부하에 끊김없는 에너지를 공급 할 수 있는 비상전원기능을 갖는다. 각 운전모드에 대한 제어알고리즘과 각 부 전력변환기의 효율을 시제품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

Operation Mode Test of Hybrid ESS including the Function of Emergency Power Supply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ESS의 운전모드 시험)

  • Jang, Dong Wook;Hwang, Dong Ok;Lee, Dong Ju;Paik, Seok Min;Kwon, Min-Ho;Choi, Se-Wa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535-53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제안한다. 기존의 ESS에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의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ESS의 운전모드는 배터리 충전 모드, 수요관리 운전모드 1, 수요관리 운전모드 2, 비상 운전 모드 총 4가지 모드로 구성 되어 있다. 비상전원 공급기능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ESS의 운전모드 간 절환 시 과도 응답을 검증하기 위해 3상 50[kW] 시제품을 제작하였고, 이 시제품을 통해 운전 모드간의 절환 시 과도 응답을 검증 하였다.

  • PDF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Emergency Rates in Overhead Transmission Lines (가공송전선로의 비상용량 응용과 평가)

  • Kim, Sung Duck
    • Journal of IKEEE
    • /
    • v.18 no.4
    • /
    • pp.442-446
    • /
    • 2014
  • A method for applying emergency ratings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power supply in ACSR overhead transmission lines is described in this paper. Due to re-regulate power industry, most power companies worldwide as well KEPCO have been searching for only economical strategies without new investment. Power demand was rapidly increasing, however, generation amount did not follow sufficiently. H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capacity for the existing transmission lines in case of peak load, or contingency in transmission lines, an application method of emergency ratings such as short or long term rating is proposed. If applying long term emergency rating instead of static line rating for the period of a peak load, power transmission can be increased to 10 % or more. Furthermore, it was shown that emergency rating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contingency of double-circuit transmission lines and/or overload c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