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상여수로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Life Cycle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considering Environmental Load;A Case Study of Emergency Spillway for Korean Multipurpose Dam (환경부하량을 고려한 토목시설물 전과정평가;국내 다목적댐 비상여수로 시설 사례연구)

  • Kwun, Suk-Hyun;Kim, Sang-Kywi;Jung, Won-Ji;Kim, Sa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519-522
    • /
    • 2006
  •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when making a decision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based on Life Cycle Assessment(LCA). It estimates environmental load on environmental pollutants that are possible to occur by locations and by types of emergency spillway for Korean multipurpose dam, which is selected as a study cas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ies of LCA and calculates environmental load on environmental pollutants that generate during life cycle, to apply the suggested infrastructure to the case study of emergency spillway at the multipurpose dam. It also evaluates environmental load of emergency spillway by the estimated result, and draws the optimum alternative that is environmental friendly.

  • PDF

The Economic Efficiency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considering Environmental Cost - A Case Study of Emergency Spillway for Korean Multipurpose Dam - (환경비용을 고려한 공공시설물의 환경경제성 평가 -국내 다목적댐 비상여수로 시설 사례연구 -)

  • Kwun, Suk-Hyun;Kim, Sang-Bum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3
    • /
    • pp.168-176
    • /
    • 2007
  • This study aim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when making a decision for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 efficiency assessment of infrastructure, based on Life Cycle Assessment(LCA). It estimates environmental cost on environmental pollutants that are possible to happen by locations and by types of emergency spillway for korean multipurpose dam, which is selected as a study cas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ies of LCA and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and suggests an analysis model of environmental cost. To apply the suggested analysis model of environmental cost for infrastructure to the case study of emergency spillway at the multipurpose dam, this study calculates environmental load on environmental pollutants that generate during life cycle, converts it to a cost to predict environmental cost, evaluates environmental economy of emergency spillway by the estimated result, and draws the optimum alternative that is environmental-friendly and economic.

Investigation of Installation of Water Gate in Agricultural Reservoir (농업용저수지 여수로 게이트 설치현황 조사)

  • Lee, Kwang-Ya;Kim, Hae-Do;Chung, Kwang-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88-692
    • /
    • 2007
  • 수리시설개보수사업을 통해 농업용저수지를 보강하는 방법은 여수로의 통수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물넘이 길이를 확장하는 방법과 예비방류가 가능하도록 부분게이트를 설치하여 홍수조절효과를 기대하는 일정량 방류방식을 혼합한 형태로 설계를 하고 있다. 이는 현실적으로 투자가 가능한 예산범위 안에서 최소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적절히 적용가능한 방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게이트의 설치 위치나 형식에 관한 고찰이 없었으며 홍수배제능력검토 방법 또한 일관성 있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유지관리측면에서도 현재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비상게이트 설치에 따라 홍수기시 하류지역의 침수피해가 발생하며 유지관리비용도 과거에 비해 상당히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국내 기상여건하에서 저수지제체 안전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용저수지에도 여수로 게이트가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농업용저수지의 설계홍수량 증가에 따라 홍수량 배제시설의 규모도 커져야 하나 지형적인 여건상 물넘이의 확장이 불가능한 지역도 많으며 물넘이 시설의 확장으로 인해 저수지 하류지역의 피해에 따른 민원도 제기됨에 따라 농업용저수지 여수로 게이트의 합리적이고 표준화된 모델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Hydrological Stability Analysis of the Existing Soyanggang Multi-Purpose Dam (소양강 다목적댐의 수문학적 안정성 검토)

  • 고석구;신용노
    • Water for future
    • /
    • v.28 no.3
    • /
    • pp.187-195
    • /
    • 1995
  •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an alternative to improve current capacity of flood control for the existing Soyanggang multi-purpose dam which was constructed 20 years ago as a largest dam in Korea. The newly estimated value of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PMP) is 760.0 mm which is based on the hydrometeorological method. The peak inflow of 1000 years return perio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was 13,500$m^3$/s. However, the newly estimated peak inflow of the PMF is 18,100$m^3$/s which is 1.34 times bigger than the original one. In order to adopt the newly estimated PMF as a design flood, following four alternatives were compared; (1) allocation of more flood control space by lowering the normal high water level, (2) construction of a new spillway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ne, (3) raising the existing dam crest, (4) construction of a new dam which has relevant flood control storage at the upstream of the Soyanggang multipurpose dam.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these alternatives resulted in that the second alternative is most economical and feasible. So as to stably cope with the newly estimated PMF by meeting all the current functions of the multi-purpose dam, a detailed study of an additional spillway tunnel has to be followed.

  • PDF

Development of Method of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Low-level outlet (댐 비상방류시설의 적정성 평가 방법 개발)

  • Kim, Ho Jun;Son, Gwang-I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57-357
    • /
    • 2019
  • 최근 한반도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지진현상 및 가뭄, 폭우 등 이상기후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치수능력부족은 구조물의 파손이나 붕괴로 직결되며, 대규모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이에 댐의 안전성 위험요인들로부터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상방류시설은 여수로와 함께 저수지의 저류수를 안전하게 배제시킬 수 있는 구조물로서, 댐 비상상황 발생 시 가능한 빠른 시간 내 댐 수위를 낮춰 댐 손상을 최소화 시킨다. 이러한 점에서 비상방류시설의 적정성 평가하기 위한 방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비상방류시설의 수위강하율을 산정하여 댐 축조재에 따른 적합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필댐의 경우 5가지, 콘크리트, 석괴댐의 경우 3가지 사항에 대한 수위강하율의 적합성을 고려하였으며, 각각의 고려사항에 대한 결과의 점수화를 통해 비상방류시설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경과연수가 50년 이상된 필댐을 선정하여 비상방류시설 수위강하율의 고려사항에 대한 적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방법은 댐의 안정성 개선을 위한 노후화된 댐의 현황 파악 및 비상방류시설의 적정 운영방안을 수립하는데 있어 보다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for spillway using numerical simulation (수치해석에 의한 여수로 수리특성분석)

  • Lee, Byeong Wook;Jang, Eun Cheul;Baek, Donghae;Yoon, Jae-Seon;Song, Hy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46-246
    • /
    • 2022
  • 여수로는 수리시설의 계획저수위보다 높아진 수위를 낮추기 위하여 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방류하는 시설로 조절형식과 비조절 형식으로 구분한다. 조절형식은 인위적으로 조절수문을 이용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형식으로 수문식과 밸브식으로 분류하며, 이상홍수대비 비상방수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조절형식은 자연적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형식으로 개수로와 관수로로 분류한다. 개수로에는 측수로식, 슈트식, 자유낙하식, 월류식이 있으며, 관수로에는 터널식, 선굴식, 암거식, 사이펀식이 있다. 한국농어촌공사가 관리하는 저수지는 3400개소로 측수로식 2091개소, 월류식 1269개소, 사이펀식 5개소, 선굴식 3개소, 기타 56개소로 비조절형식 여수로가 약 98%를 차지하고 있다. 2003년도에 재해대비 수리시설 설계기준이 개정되어 유역면적 2,500ha, 총저수량 500만m3이상이고 하류지역의 재산 및 인명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저수지는 PMF를 설계홍수량으로 적용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설계기준의 홍수빈도를 적용하기 위해 기존 저수지의 치수능력증대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치수능력증대방안으로는 제당높이 증고, 보조여수로 설치, 기존여수로의 확장 등 다양한 방안들이 있으며, 구조물 안정성, 경제성, 현장 여건을 고려한 시공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채택하고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방안이 기존의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PMF 홍수량에 대하여 추가로 보조여수로를 설치하여 방류하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이펀 여수로가 설치되어 있는 저수지에 측수로식 여수로와 사이폰식 여수로를 신설하여 FLOW-3D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PMF 유입에 대한 저수지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이상강우에 의한 재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신설 여수로의 방류능력, 접근 유속, 허용최대유속 등 각종 수리특성을 분석하여 홍수량 배제 능력을 검토하였다.

  • PDF

Hydraulic model test on piano key weir (Piano Key Weir의 수리실험 연구)

  • Jang, Eun Cheul;Shin, Choong Hun;Jang, Jeong 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83-83
    • /
    • 2019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홍수 및 집중호우 대비 댐 및 저수지의 보조 여수로로서 국내 최초로 적용되는 Piano key weir에 대한 수리모형실험 연구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국지성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댐 설계홍수량의 설계기준 200년 빈도 홍수량에서 가능최대홍수량(Probably Maximum Flood)으로 변경됨에 따라 과거 건설된 대부분의 댐 및 저수지들이 현재의 설계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이유로 규모가 작은 저수용량 100만톤 이상의 댐들에 대해서도 비상대처계획(EAP) 수립을 의무화하고 있으나 홍수예방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 수립 및 예산지원은 미미한 수준이다. 치수능력증대를 위한 구조적인 보강대책으로 댐 증고, 보조여수로 신설, 여수로 확장, 상류에 홍수조절용 댐 신설 등의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불갑저수지에서는 치수능력확대사업의 일환으로 Piano key weir와 수문 2련을 복합적으로 운영하는 보조여수로를 건설하는 것을 계획하였다. Piano key weir는 국내에서는 프랑스, 벨기에, 베트남 등에서는 실제 많은 적용사례를 확인할 수 있지만,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도입되는 여수로 형식으로 레버런스 웨어와 같이 월류언의 길이를 길게 연장함으로서 월류 수심이 낮은 경우에 일반적인 웨어 형식에 비해 많은 유량을 통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갑저수지에 신설되는 Piano key weir 형식의 보조여수로에 대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여 Piano key weir의 수위별 방류량, 접근흐름, 월류 유황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PMF홍수량에 대해 충분한 방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접근흐름, 월류 유황이 매우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Conceptual process establishment of robust water resources planning strategy considering climate changes in a pilot river basin (기후변화를 고려한 robust한 수자원 시설 계획에 대한 개념적인 기본 구상과 제언)

  • Ryu, Tae Sang;Cheong, Tae Sung;Kim, Sung Hoon;Lee, Woo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39
    • /
    • 2017
  • 한반도 기후변화 경향은 이미 기상 생태 환경 수자원 등 광범위한 부분에서 감지되고 있다(기상청, 2011a, 2011b).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한반도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강우패턴은 첨두강우가 7월에서 점차 8월로 이동 변화하는 것으로 전망되고, 양적으로 연강수량은 점차 감소가 전망되면서도 극한 값은 발생빈도와 크기가 점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래서 그간 기존댐에 대한 재평가(1998, 2010, 2012)와 발생 가능한 최대강우량 설계기준으로 기존 댐의 여수로 배제 능력을 증대시키는 비상여수로 설치 등 기존 댐 시설위주의 효율적인 기후변화 대응 또는 적응 방안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 상황은 전에 발생한 적이 없었던 새로운 기상이변과 재난을 가져오고 있다. 이에 기상 변화에 하나의 시설로서 대응 하던 방식에서 한 번의 기상이변이 유역 전반에 걸쳐 재난을 발생하는 최근의 상황에 맞추어 수자원 시설을 계획하는 방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에 장래 전망되는 기후변화를 감안하여 이수와 치수 시설의 가뭄과 홍수에 대한 대처 능력을 유역 차원에서 평가하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Robust 하다는 것은 어떤 상황에서도 작동이 되는 것을 말하는 강건한 계획으로, 이와 같은 시설 계획을 위해서는 먼저 현재의 시설물에 대한 회복력을 판단하는 평가가 있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용수공급이든 홍수 재난이든 회복력(복원력)에 대한 평가를 하고, 대안에 대한 로버스트 의사 결정 방법(RDM: Robust Decision Making)을 적용하여 우수한 대안을 찾으면 강건한 시설계획 수립이라는 절차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회복력(복원력)을 갖는 로버스트 의사결정방법에 대한 과거 연구 조사를 기초로 하여 연구 수행 절차를 마련한 후에 장래 한반도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시범 유역에 적용하여 수자원 시설의 복원 또는 회복력을 분석하고, robust 의사결정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향후 로버스트 수자원 시설 계획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와 함께 이수와 치수 시설의 종합적인 계획 등에 대한 개념적인 절차와 방법의 제시를 도모하였다.

  • PDF

Analysis of Electrical Resistivity Change in Piping Simulation of a Fill Dam (필댐의 파이핑 재현시험시 전기비저항 변화 분석)

  • Ahn, Hee-Bok;Lim, Heui-Dae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26 no.4
    • /
    • pp.59-68
    • /
    • 2010
  • Piping, a common form of internal embankment erosion, is caused by progressive movement of soil particles through an embankment. The phenomenon commonly occurs with precursory signs of development of fractures in dam structures, but also occurs without any noticeable signs in dams that showed satisfactory dam performance for several years, due to dissolution of soluble material in an embankment. While piping accounts for nearly 50% of the causes for dam failure, few studies have been made for systematic evaluation of the phenomenon.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monitor the changes in electrical resistivities of fill-dam material while a saddle dam is dismantled for the construction of emergency spillways of Daechung dam. Two artificial subhorizontal boreholes were drilled into the embankment structure to simulate piping along the two artificial flow channels. Monitoring of changes in electrical resistivity showed an increase in resistivity values during piping. Thus, the investigation of resistivity over time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for piping prediction.

Development of EBOP element technologies for MCFC backup system (MCFC 백업용 EBOP 요소기술 개발)

  • Ryu, Sunglay;Oh, Euntae;Jeong, Jahoon;Hwang, Jungtae;Cha, Inho;Kwak, Cheolh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92-92
    • /
    • 2010
  • 여수 국가산업단지, 삼성전자 정전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대규모 정전사고는 수백억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뒤따른다. 공장 내에 자체 발전소가 있지만 매번 이런 사고가 재연되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UPS 및 디젤발전기를 사용하는 경우, 정전사고로 시 UPS DC bus전압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발전기가 기동하여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발전기의 특성에 따라 전압의 변동이 심하고 초기기동실패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료전지와 전력저장장치의 연계를 통해 산업설비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계 제어 로직개발과 Load Leveler, Compensator, STS 등 구성요소 개발을 주요 연구 내용으로 하고 있다. 고온형 연료전지의 열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독립전원의 부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한 부가 설비가 기존 제품에 추가 장착되어야 하며, 연계 제어 알고리즘의 확보를 위하여 연료전지 모델링 및 통합시스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시뮬레이션 및 백업 모듈 설계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