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상대응

검색결과 329건 처리시간 0.032초

화학물질 저장탱크의 NaTech 피해영향 저감방법 연구 - 지진으로 인한 사고 중심으로 - (A Study on Risk Mitigation Measures of NaTech Damage Effect of Hazardous Chemical Storage Tank - Focus on Triggered by Earthquake -)

  • 이태형;이현승;유병태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79-88
    • /
    • 2018
  • 본 연구는 NaTech 피해유형 중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지진으로 인해 석유화학공장의 화학물질 저장탱크에 미칠 수 있는 피해규모를 도출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화학물질 저장탱크의 피해저감을 위한 위험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저장탱크의 위험도는 지진을 고려했을 때, 크게 증가하였으며, 지진에 대한 피해영향 저감을 위해 제시한 방안들에 대해 평가한 결과 위험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지진뿐만 아니라 태풍, 낙뢰 등 NaTech 피해저감을 위한 연구 및 비상대응계획 수립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 지진을 고려한 위험도 감소 방안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재해연보 기반 지역특성을 반영한 강풍피해예측함수 개발 : 경상지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Estimation Functions for Strong Winds Damage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Disaster Annual Reports : Focused on Gyeongsang Area)

  • 노정래;송창영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23-236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예방-대비-대응-복구) 중 대비차원으로 활용하고자 강풍피해예측함수를 개발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강풍피해예측함수는 재해연보이력, 피해당시 기상자료 그리고 지역특성을 고려하였다. 기상자료는 기상청에서 관측한 풍속과 기온, 피해이력에 해당하는 통계자료는 재해연보, 그리고 지역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요소로는 재해연보 상 수록된 복구비, 인구, 비닐하우스 면적, 농가수 등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함수식은 과거에 발생한 강풍피해이력을 기반으로 예측되는 기상인자와 지역특성을 반영하였으며, 단시간에 피해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강풍피해예측함수는 정책결정자들의 의사결정, 비상인력 및 방재자원의 배치 등과 같은 효율적인 재난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동화기술을 이용한 대기중 오염물질 확산평가 (Data Assimilation Techniques Applied to Estimate the Dispersion of the Pollutant in the Atmosphere)

  • 한문희;정효준;김은한;서경석;황원태;이선미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4년도 학술논문집
    • /
    • pp.368-376
    • /
    • 2004
  • 영광부지의 추적자 확산실험결과의 자료동화를 통하여 Gaussian plume 모형의 확산인자의 수정과 추적자 방출률 평가를 수행하였다. 부지 주변의 여러 지점에서 관측한 실험결과에 선형계획법을 적용하여 확산평가에 있어선 가장 불확실성이 크다고 알려진 확산인자를 수정하였다. 원자력 비상시 초기 대응평가에 사용되는 정보 가운데 가장 큰 불확실성을 포함한 선원항 정보를 추적자 농도 분포로부터 추정하였다. 실험 당시의 추적자 방출량을 모른다고 가정하고 Gaussina plume 모형의 예측치와 확산실험의 실측치를 이용한 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방출률을 추정하였다. 확산인자를 수정한 후 Gaussian plume 모형의 예측력은 방출점으로 3km 및 8km 떨어진 포집선 두 경우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당시의 방출률을 모른다고 가정하고 관측지점의 농도에 최소자승법을 적용한 결과 24%이내에서 실제 방출률을 양호하게 추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방사선비상시 비강스메어 시료의 전알파 분석 및 내부피폭선량평가 절차 (Gross Alpha Analysis of Nasal Smear Samples and Internal Dose Assessment Procedure in Radiation Emergency)

  • 윤석원;하위호;김미령;이승숙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226-230
    • /
    • 2012
  • 방사선 사고시 피폭환자로부터 채취된 스메어 시료의 전알파 방사능 측정법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피폭환자의 후속조치 절차를 확립하였다. 국내방사선사고 대응기관에서 사용중인 스메어용 면봉을 이용하여 계측 절차를 검증하였다. 액체섬광계수기를 이용하여 표준선원을 점적한 시료의 계측 결과 20% 이내에서 인증값과 잘 일치하였으며, 채취 조건은 세정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더 높은 스메어 효율을 보였다. 액체섬광계수법 특성상 소광현상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건조 등의 최소한의 전처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측결과를 바탕으로 방사선비상시 피폭환자에 대한 의료적 처치 기준 및 선량평가 절차를 수립하였다.

OPRC-HNS 의정서 가입이 국내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cession to OPRC-HNS Protocol on Korean Industry)

  • 최종욱;이승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7-42
    • /
    • 2007
  • 위험 유해물질(HNS)의 오염사고에 대한 대비 대응 및 협력에 관한 의정서(OPRE-HNS 의정서)가 2007년 6월에 국제적으로 발효됨에 따라, 동 의정서 가입시 직 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산업계의 범위와 의정서 의무이행사항에 대한 범위를 설정하고 이들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HNS를 운송하는 선사를 포함한 해운산업계는 정부의 승인을 받은 오염사고비상계획서를 비치하고 승조원에 대한 방제교육 훈련을 실시해야 하는 부담이 있으나 보험금 부담 감소의 효과가 있다. 정유 및 석유화학산업계는 HNS 방제기자재, 방제장비 등의 확보 비치 및 관리자에 대한 HNS 방제 교육 훈련 등의 비용부담이 발생하나 사고예방 및 신속한 사고처리로 인한 피해복구비용 절감과 HNS 협약 분담금 부담이 감소하며 대외 이미지가 향상되는 실익이 있다.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환경 안전산업계, 화학산업계, 과학 기술산업계 및 교육 훈련산업분야는 방제장비 및 약제개발과 신규 교육프로그램 개설 등의 비용부담이 일부 있으나 향후 수입대체 및 수출증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IT기반 승강기안전을 위한 CCTV, 원격제어 및 직접통화장치 통합 모델 (The Integrated Model of CCTV, Remote Control and Direct Call for the Elevator Safety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 김운용;박석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97-702
    • /
    • 2012
  • 승강기 보급의 확산과 더불어 다양한 수요가 증가되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승강기 안전에 대한 요구가 필요하다. 승강기 안전요구는 무엇보다 비상사태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승강기 안전을 위해 QR코드를 모든 승강기에 부착하여 승강기 구조 시 활용할 수 있도록 법제화 하였으며 CCTV와 직접통화장치 설치의 의무화를 통해 보다 안전한 승강기 활용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승강기 CCTV 및 직접통화장치는 개별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를 통합한 모델을 제시되고 있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CCTV와 직접통화장치의 통합과 더불어 스마트폰기반의 원격제어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승강기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된 세 가지 기능의 통합은 재난발생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하고 유지보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선박 화재 대응 훈련을 위한 가상 선원 훈련 플랫폼 개발 (A Virtual Sailor Training Platform for Fire Drills on Ship)

  • 정진기;박진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89-196
    • /
    • 2016
  • 본 논문은 선박 화재 상황에 대한 비상 대처 훈련을 가상 환경에서 수행하는 가상 선원 훈련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HMD 기반의 몰입형 가상 환경을 제공하여 훈련 효과를 높일 뿐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중 피훈련자가 함께 훈련에 참여하기 때문에 가상 환경에서의 협동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플랫폼은 FDS 및 CFAST 기반의 오프라인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반으로 사실적인 화재 확산 및 시각화를 제공한다. 선박 화재 상황에 대한 해양 안전 교육 기관의 교재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구현한 본 훈련 플랫폼은 기존의 절차 숙달 훈련에 더불어 몰입형 가상 기술을 이용한 장비 숙달 및 환경 숙달 훈련을 제공한다. 구현된 가상 선원 훈련 플랫폼은 장비 작동, 환경 통제, 원격 현장감을 기반하여 선원의 훈련도를 향상시키고 다수의 피훈련자가 실시간으로 임무를 공동 수행하는 가상 협력 훈련이 가능함을 보였다. 또한 구현된 플랫폼은 화재 진압 요령, 승객 유도 방법 등 다양하고 세부적인 기능 숙달 훈련이 가능함을 보였다.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구축을 위한 매뉴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al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y Constructing at Disaster Site)

  • 윤유상;서상욱;이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38-46
    • /
    • 2017
  •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관리 체계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마우나리조트, 세월호 사건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발표 등 재난안전과 관련하여 많은 정책적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재난거점병원을 확충하는 등 시설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인구 당 응급의료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며, 재난 시 다양한 기관의 미흡한 협조체계로 효율적 재난관리가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 요구되는 응급의료시설의 효율적 구축과 체계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선진국 대비 국내 응급의료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유형 및 상황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복잡한 지형상에서 실시간 피폭해석 시스템 검증 (Validation of a Real-Time Dose Assessment System over Complex Terrain)

  • 서경석;김은한;황원태;최영길;한문희;정성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31-38
    • /
    • 1999
  • 원자력시설의 사고시 신속한 방재대책 결정지원 체계를 수립하기 위하여 실시간 방사선 피폭해석 시스템(FADAS : Following Accident Dose Assessment System)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정확도 향상 및 국내 부지 특성자료의 모수화를 위하여 복잡한 지형상에 위치한 영광 원자력발전소 주변에서 야외 확산실험이 수행되었다. 확산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바람의 평균 및 난류장 성분은 부지 특성별 변수로 실시간 방사선 피폭해석 시스템에 반영되었다. 확산모형의 계산결과와 실험을 통하여 관측된 추적자 가스의 농도분포를 상호 비교한 바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었다. 개발된 시스템은 현재 구축중인 국가 규모의 비상대응지원체제에 기본 모듈로서 활용 중에 있으며 지속적인 확산실험을 통하여 부지 특성 변수들이 반영된 확산모형을 개선할 예정이다.

  • PDF

도시철도 사상사고 유형·원인 분류 및 표준화 방안 (Classification and Standardized Coding for Urban Railway Casuality Accident Types and Causes)

  • 모천석;김시곤;권영종;강갑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173-117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의 사고유형과 원인분류를 표준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도시철도 운영기관 (서울메트로, 서울도시철도공사)의 4,086건 철도안전사상 사고를 분석하여 표준화 코드를 작성하였다. 사고유형의 표준화는 사상자유형, 사고대상, 사고 위치, 사고형태로 구분하여 분류하고 이를 포함한 4자리의 표준화코드를 제시하였다. 사고원인의 표준화는 원인제공자, 음주여부, 1차 원인, 2차 원인을 포함한 4자리의 표준화코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표준화코드는 도시철도 역사 내 철도안전사상사고의 체계적인 비상관리 및 긴급대응에 기본이 되는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