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비만형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6초

베이지안 네트워크와 특이값 분해 알고리즘을 이용한 운동 추천 시스템 (An exercise recommendation system using bayesian network an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algorithm)

  • 신아영;임유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70-47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해 홈 트레이닝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효율적인 운동을 위해 사용자의 식습관, 신체조건, 선호도 등을 바탕으로 적합한 운동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을 활용해 비만의 정도에 따라 사용자를 분류하고, 운동 데이터를 소모 칼로리에 따라 클러스터링 한다. 다음으로 비만의 정도와 운동 레벨에 따라 정해진 추천 점수를 통해 사전 선호도 확률을 계산하고,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통해 사후 확률을 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특이값 분해 알고리즘(SVD)를 활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운동을 추천한다. 제안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비교 실험을 진행하여 회귀 문제 평가 척도인 RMSE 값 측면에서 성능을 분석하였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에서 berberine과 silibinin 복합투여를 통한 지질대사 개선과 항비만 효능 증진 (Combination of berberine and silibinin improves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efficacy in high-fat diet-fed obese mice)

  • 이진형;최영훈;윤영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3호
    • /
    • pp.291-29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HFD)를 급식하여 제조한 비만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berberine (BBR)과 silibinin (SBN) 복합투여가 혈중 지질대사 및 항비만 개선 효능에 유의적인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HFD로 유도된 비만마우스를 8 주 동안 HFD의 지속적인 제공와 함께 BBR 및 SBN (BBR-SBN) 조합을 투여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체중과 식이량을 측정하였고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HDL 콜레스테롤 수준을 분석하였다. HFD를 제공한 마우스는 정상 대조군(NC) 그룹에 비해 체중과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가 급격히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마우스에 BBR-SBN조합을 투여하였을 때 체중 증가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치는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HFD그룹의 복부지방 무게는 유의하게 증가했으며 부고환 지방조직 내의 지방세포의 크기가 NC 그룹에 비해 크게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BBR-SBN 그룹에서는 지방세포의 크기가 NC 그룹의 크기와 비슷했으며 복부지방 무게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더불어, HFD 그룹에서 보이는 간 조직의 거대 소포성 지방구의 축적은 BBR-SBN 그룹에서 크게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BBR-SBN 조합이 HFD 유발 비만마우스에서 체중 및 복부 지방 증가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혈청 내의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수준을 낮추어 항비만 효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 항비만 치료 및 개선제제로서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체중 변화, 체지방, 혈압 및 C-peptide/혈당 비 (Past and Present Obesity, Parameters of Body Fat and Blood Pressure in Korea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 박혜자;이인옥;김세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34-1043
    • /
    • 2001
  •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past and present obesity among patients with NIDDM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of body fat, blood pressure and C-peptide/glucose ratio according to obese diabetic patients (BMI$\geq$25 kg/$m^2$) and nonobese (BMI<25 kg/$m^2$). Also the final factor is to observe the anthrometric change patterns in the study. Method: The weight at 20 years-old, previous maximal body weight, and acute weight loss were queried. Current height, body weight, BMI, waist & hip circumferences, waist-hip ratio, skinfold thicknesses,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and fasting C-peptide were measured in one hundred sixty-seven NIDDM patients. The differences of the parameters ccording to obese and nonobese, and three anthropometric change patterns were analyzed. Result: Results were as follows: 1. 66.5 % of the NIDDM patients had a history of past obesity as assessed by their maximum weight, while only 33.2% of them were currently obese (p's < 0.001). 2. The waist & hip circumferences, skinfold thicknesses, systolic, diastolic &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in obese patients were greater than those of nonobese patients (all p's < 0.001). 3. The waist and the hip circumferences, and skinfold thicknesses (subscapula & triceps) were highest among the obese-obese group. WHR and abdominal skinfold thickness in the obese-obese and obese-nonobes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onobese- nonobese group. Systolic & diastolic and mean arterial blood pressures in the obese-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obese-nonobese and nonobese-nonobese groups(all p's < 0.005). 4. The abdominal and subscapular skinfold thicknesses in female diabetic patients were greater than those of male patients (all p's <0.0001). Conclusion: Although most Korean NIDDM patients were previously obese, many of them were not obese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Greater central and upper body adiposicity and higher blood pressure was shown in obese diabetic patients. Also, greater central and upper body adiposicity was demonstrated in female diabetic patients.

  • PDF

비만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중성지방과 C-peptide 증가 (Triglycerides and C-peptide are Increased in Obese Type 2 Diabetic Patients)

  • 김희승;송민선;유양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4권2호
    • /
    • pp.41-49
    • /
    • 2002
  • Aim To evaluate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level in obese and nonobese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206 obese(76 male, 130 female) and 442 nonobese(208 male, 234 female) type 2 diabetic patients underwent fasting blood glucose, 2-hour postprandial blood glucose, $HbA_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microalbuminuria,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and C-peptide were measured. Diabetes was diagnosed according to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ADA)criteria. Obesity was defined as body mass index(BMI, kilograms per meters squared)${\geq}25$. Results In male, systolic blood pressure, triglycerides, microalbuminuria and C-peptide were significant higher in obese than nonobese patients. Fasting blood glucos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bese than nonobese patients. Diastolic blood pressure, 2-hour postprandial blood glucose, $HbA_1c$,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were no difference between 2 groups. In female, triglycerides and C-peptide were significant higher in obese than nonobese patients,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2-hour postprandial blood glucose, $HbA_1c$,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microalbuminuria,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were no difference between 2 groups. Conclusion Our present study supports that increased triglycerides play a major role in increasing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CHD) in obese women type 2 diabetic patients.

  • PD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PPAR$\alpha$)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 윤미정
    • 한국동물학회:뉴스레터
    • /
    • 제18권2호
    • /
    • pp.6-11
    • /
    • 2001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alpha$ (PPAR$\alpha$)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고지혈증 치료제인 fibrate류의 약물들이 PPAR$\alpha$ activator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짐으로써 크게 증대되었다. PPAR$\alpha$는 fibrate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peroxisome proiferator (PP)에 의해 활성화되는데 이들을 쥐에 단기간 투여할 경우 간의 peroxisome수와 지 방산 산화효소의 유전자발현이 증가되고 장기간 투여 할 경우 간암을 발생시키지만, fibrate류의 약물들을 고지혈증 환자에게 투여 할 경우 간암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써 PP에 대한 반응성에 있어서 species difference를 나타낸다 PPAR$\alpha$는 핵에 존재하는 orphan receptor로서 PP에 의해 활성화되어 9-cis-retinoic acid receptor(RXR)와 heterodimer를 이룬 후 target gene들의 upstream에 있는 peroxisome proliferator response element (PPRE)에 결합하여 target gene들의 발현을 조절한다. 지금까지 연구된 PPAR$\alpha$의 target gene들은 모두 lipid와 lipoprotein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 한 결과들을 기초로 lipid 대사 및 energy balance와 관련된 질병들 - 동맥경화증, 관상동맥질환, 비만, 제 2형 당뇨병 등에서 PPAR$\alpha$의 역할이 집중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PPAR$\alpha$가 활성화되면 lipoprotein lipase와 HDL이 증가되고 apo C-III가 감소됨으로써 동맥경화증에 대한 예방적 기능을 나타내고, 몸무게를 감소시킴으로써 비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켜 제 2형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PPAR$\alpha$-null mouse에서는 이러한 효과들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이들 질병에서 PPAR$\alpha$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비만도와 외식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Obesity Index and Attributes of Selecting Places to Eat Out by Food-Related Lifestyle Types - Focusing on Pusan University Students -)

  • 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58
    • /
    • 2012
  • 본 연구는 부산지역 K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유형에 따른 군집을 도출하고 각 집단과 외식선택속성과 비만도와의 차이를 고찰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PASW Statistic 18.0(Predictive Analytics Software)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t-test, ${\chi}^2$-test, 비 계층적 군집분석과 ANOVA을 실시하였다. 남자 대학생들의 평균키는 175.59 cm, 체중은 69.53kg이고, 여자 대학생들의 평균키는 162.81 cm, 체중은 53.42kg으로 나타내었다. 남학생 체질량지수를 저체중이 1.7%, 정상체중은 64.6%, 과체중 19.7%이고, 비만은 14.0%로 나타났다. 여학생 체질량지수는 저체중이 22.9%. 정상체중은 62.7%, 과체중이 8.5%, 비만은 5.9%를 나타내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항목은 건강추구, 안전성추구, 분위기추구, 미각추구, 서양음식추구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외식선택속성은 음식의 질과 서비스, 합리적인가격, 접근성과 분위기, 먹어본 경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군집1은 [식생활 무관심형 집단] 군집2는 [건강지향형 집단] 군집3은 [건강무관심형 집단]으로 군집 명을 부여하였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군집과 외식선택속성 요인간의 차이분석에서 군집1은 먹어본 경험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군집2는 음식과 서비스의 질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고, 군집3은 접근선과 이미지에서 높은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 PDF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형 동물모델에서 부자 물추출물의 비만 및 당대사 개선 효능 평가 (Evaluation of Efficacy of Aconitum carmichaeli Debx Extract on Obesity and Glucose Tolerance in Diet Induced Obese Mice)

  • 송미영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6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Aconitum carmichaeli Debx (ACD) on obesity and glucose tolerance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mice. Methods: Five-week-old C5BL/6 mice were fed a high fat diet (HFD) containing or not containing ACD (100 or 300 mg/kg) for 16 weeks. Body weight, food intake, fasting blood glucose, and body temperature were checked every week and then organs, blood serums were collected after 16-week treatment. Furthermor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as carried out after treatment. Results: ACD treated mice showed no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and adipose tissue weight as compared with HFD mice. Lipid accumulations in liver and serum lipid levels were not different between ACD treated and HFD mice. However, ACD extract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and dose-dependently reduced fasted plasma glucose and glucose tolerance as determined by OGTT.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ACD might prevent diet-induced glucose tolerance in mouse models of obesity.

비만형 동물모델에서 복합 한약 추출물 CAPA의 비만 및 당대사 개선 효능 (The Mixed Herbal Extract, CAPA, Prevents Obesity and Glucose Intolerance in Obese Mice)

  • 송미영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9-126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ixed herbal extract from Cinnamomum cassia Blume,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Pueraria lobata Benth, and Aconitum carmichaeli Debx (CAPA) on obesity and glucose tolerance in obese mice. Methods: Animals were divided in 6 groups, normal diet, high fat diet (HFD), HFD with CAPA 100 mg/kg (CAPA 100), CAPA 300 mg/kg (CAPA 300), and metformin 200 mg/kg or lorcaserin 10 mg/kg as positive controls, and treated for 16 weeks. Body weight, food intake, fasting blood glucose, and body temperature were checked every week and then organs, blood serums were collected after treatment.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was also carried out after treatment. Results: Compared to HFD, CAPA extract treated mice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 adipose tissue weight, lipid accumulations in liver and serum lipid levels without a reduction of food intake. And fasting glucose and glucose tolerance were all improved in the CAPA treated mice.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CAPA extract can prevent diet induced obesity and glucose intolerance without a reduction of energy intake in obese mice.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남성에서 간 효소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Hepatic Enzymes in Metabolically Healthy Obese Men)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8-255
    • /
    • 2017
  •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metabolically healthy obese, MHO)은 대사적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으며, 과도한 체지방에도 불구하고 인슐린 감수성을 유지하는 비만의 표현형이다. 이 연구는 20세 이상 70세 이하의 남성을 대상으로 비만과 대사적 이상 유무에 따라 MHNO, MHO와 MAO군으로 분류하여 간 효소의 차이를 알아보고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남성에서 간 효소가 대사적 이상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지 그 임상적 의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Executive Summary of The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NCEP-ATP III) 진단기준으로 대사적 이상을 평가하였으며, 비만 진단기준은 WHO에서 제시하는 아시아인의 기준을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최종 연구 대상자 9,683명 중 대사적으로 건강한 정상체중군(metabolically healthy non obese, MHNO) 2,878명,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군(metabolically healthy obese, MHO) 5,427명, 대사적으로 이상이 있는 비만군(metabolically abnormal obese, MAO) 1,378명 이었다. AST, ALT, GGT는 MAO군보다 MHO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나(각각 p<0.001), MHO군은 MHNO군보다는 간 효소치가 높게 나타났다(각각 p<0.001). 또한 간 효소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관련이 있으며, 허리둘레,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은 AST, ALT, GGT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남성에서 간 효소가 대사적 이상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인 것을 확인하였다.

채식 성인여성의 식사형태 및 비타민, 영양제 복용과 혈중 지질, 혈당, 혈압과의 관련성에 관한 비교연구 (The Study of the Diet Style and Relationships among Vitamin and Nutrient Supplement Intakes, Serum Lipid Levels, Blood Sugar and Blood Pressure of Adult Female)

  • 차복경;최원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06-314
    • /
    • 2002
  • 조사대상자의 평균나이는 채식인 44.2세, 비채식인 40.5세, BMI는 각각 22.4, 21.0이었고, WHR은 0.8, 0.8였고, %BF는 28.7, 26.5였으며, 채식인의 평균채식기간은 13.1년이었다. 조사대상자중 비만인 사람의 식사 형태는 채식인은 볼륨형(58.8 %), 미식가형(20.6%), 다이어트형(8.8%), 패스트푸드형 (5.9%), 밸런스형(5.9%)의 순이었고 비채식인은 미식가형(33.3%), 볼륨형 (27.8%), 다이어트형 (16.7%), 패스트푸드형 (11.1%), 밸런스형(11.1%)의 순이었다. 채식인은 식사의 양이 많은 사람에게서 비채식인은 미식가형에서 비만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체중인 사람의 식사형태는 책식인은 볼륨형(45.1 %), 미식가형 (32.4%), 밸런스형 (16.2%), 다이어트형 (4.2%), 패스트푸드형 (2.1%)의 순으로 볼륨형과 미식가형이 약 78% 정도를 차지하였다. 비채식인은 볼률형(34.2%), 미식가형(26.1 %), 패스트푸드형 (22.6%), 밸런스형 (10.6%), 다이어트형 (6.5 %)의 순으로 의외로 볼륨형이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중성지방은 채식인 136.7 mg/dL, 비채식인 130.5 mg/dL 였고, total-cholesterol은 채식인 161.4 mg/dL, 비채식인 189.6 mg/dL, HDL-cholesterol은 채식인 48.2 mg/dL, 비채식인 50.8 mg/dL, LDL-cholesterol은 채식인 86.6 mg/dL, 비채식인 111.1 mg/dL, AI는 채식인 2.4, 비채식인 2.9, 혈당은 채식인 90.8 mg/dL, 비채식인 103.6 mg/dL, 수축기 혈압은 채식인 107.5 mmHg, 비채식인 119.3 mmHg, 이완기혈압은 채식인 72.4 mmHg, 비채식인 73.6 mmHg이었다. 조사대상자의 total-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AI, 수축기혈압 및 혈당은 비채식인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심혈관질환 예견지수인 HDL-cholesterol/total-cholesterol 비는 채식인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조사 대상자의 비타민 및 영양제 복용실태는 비타민을 복용한다고 한 사람은 채식인 53명(22.6%), 비채식인 71명 (29.0%), 영양제를 복용한다고 한 사람은 채식인 24명(10.2%), 비채식인 15명 (11.0%), 비타민이나 영양제를 먹지 않는다고 한 사람은 채식인 158명(67.2%), 비채식인 147명(60.0%)으로 두 군이 비슷한 비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