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밀유지

Search Result 13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영업비밀 원본 증명 서비스 개시

  • 한국특허정보원
    • Patent21
    • /
    • s.92
    • /
    • pp.26-27
    • /
    • 2010
  • 기업의 존폐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영업비밀은 상당한 노력으로 비밀유지 활동(비밀관리성 요건 충족)이 전제되어야 보호받을 수 있다. 영업비밀의 법적 보호요건은 비공지성, 경제성 유용성, 비밀 관리성이다. 특히 산업현장에서 비밀 관리성의 요건을 충족하기에는 많은 어려움과 비용이 소요된다. 더욱이 비밀 유지의 특성상 영업비밀의 존재와 보유시점을 공신력 있게 입증하기에는 쉽지 않은 일이다. 특허청과 한국특허정보원이 함께 시작한 "영업비밀 원본 증명 서비스(www.tradesecret.or.kr)"는 영업비밀의 비밀 관리성의 요건 충족과 보유 시점의 입증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 PDF

자나깨나 영업비밀 보호

  • Eom, Jae-Min
    • Venture DIGEST
    • /
    • s.105
    • /
    • pp.38-39
    • /
    • 2007
  • IT벤처기업이나 디지털 콘텐츠기업에게 있어 영업비밀은 전 재산이나 다름 없을 정도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업들 중 임직원들의 퇴직 후 경쟁업체 취업제한, 비밀유지 서약 등 영업비밀에 대한 보안대책을 가지고 있는 업체는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통계에 따르면, 영업비밀의 유출을 시도하는 주된 주체는 퇴직 임직원 이 69.4%, 현직 임직원이 16.7%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벤처기업들은 막대한 자금과 시간을 투입해 훌륭한 기술을 개발하고서도 영업비밀을 보호할 전문지식과 경험이 부족해 영업비밀이 경쟁업체에 유출되어 소송에 휩싸이거나 경쟁력을 잃게 되기도 한다. 영업비밀 보호는 한 기업의 존망을 넘어 그야말로 국가의 성장동력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영업비밀 보호와 관련된 법률적 제반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Self-Disclosure and Confidential Responsibility of Professor Regarding Employee Invention (직무발명에 대한 교수의 자기 공개와 비밀유지 의무에 관한 연구)

  • Na, Dong-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752-758
    • /
    • 2020
  • A professor is an employed as a member of a college, and his invention is transferred to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IACF). A professor often reveals his inventions in a thesis or at a symposium before the IACF applies for a patent. Such self-disclosure could be in violation of the confident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analyzes the number of patent invalidation trials as well as self-revealed patent applications raised in connection with the confidential responsibility. This study also scrutinizes cases to figure out whether the confidential responsibility was breached depending on the time of the self-disclosure both before and after the succession of an invention. In addition, side effects that could accompany self-disclosure are investigated. In the case of the self-disclosure by the professor, an invention to which the college belongs fails to secure patent right or it is hard to obtain comprehensive right. Even if rights were secured, it could be invalidated. Furthermore, they could infringe the confidential responsibility of employees under the Invention Promotion Act, and also could contravene the confidential responsibility specified by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if the succession of the invention is confirmed. Therefore, colleges should manage self-disclosure of employee invention and take appropriate action.

경업.전직금지 vs.생존권

  • Son, Seung-U
    • Digital Contents
    • /
    • no.2 s.141
    • /
    • pp.108-113
    • /
    • 2005
  • 회사의 중대한 콘텐츠 관련 정보나 첨단 기술의 유출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영업 비밀의 유출을 시도하는 주대상은 퇴직사원이 69.4%, 현직사원이 16.7%로 나타났다. 그러나 퇴사후 몇 년 간 취업제한 비밀유지 서약 등 퇴직자에 대한 보안관리를 공식화하고 있는 기업은 49.5%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IT중소 벤처기업들은 영업 비밀보호에 대한 적절한 법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 않는 등 그 중요성을 인식 하지 못하고 있어 향후 심각한 분쟁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이번 호에서는 디지털콘텐츠 기업을 위한 영업 비밀 보호 방안에 관한 법적 문제를 다로가자 한다.

  • PDF

Case Study of Korean-French Companies' Dispute at the Arbitration Stage in the ICC Arbitral Tribunal and at the Enforcement Stage in the Korean Court (국제중재판정 및 집행판결 과정에서의 쟁점들에 관한 사례연구)

  • Shin, Seung-Nam
    • Journal of Arbitration Studies
    • /
    • v.18 no.1
    • /
    • pp.185-207
    • /
    • 2008
  • 한국 기업과 프랑스 기업 간에 한국기업이 프랑스기업으로부터 의약품의 임상자료 등에 관한 비밀정보 (Confidential information)를 받아서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에 의약품 제조허 가를 받기 위해 활용하는 과정에서 체결한 비밀유지 계약 (Secrecy Agreement)의 위반행위 여부의 분쟁이 발생하였다. 이 분쟁은 비밀유지계약 내의 중재조항에 의거하여 프랑스기업에 의해 프랑스 파리 소재 국제중재 판정부 (ICC Court Arbitral Tribunal) 에 회부되었고 한국기업이 응소하여 중재판정부에서 분쟁 사실들에 관한 양 당사자 회사들의 전문가들의 증언, 준비 서면들을 검토하여 비밀유지계약 각각의 조문의 해석을 통해 중재판정이 내려졌다. 이 중재판정은 ‘외국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뉴욕협약’에 의거하여 중재판정 집행지국인 우리나라의 법원에서 집행판결을 거치게 되었다. 이때 한국법원에서는 뉴욕협약상의 집행거부 사유들에 관한 판단을 한 후 프랑스기업의 일부 승소의 집행판결을 내렸다. 본 사례연구의 시사점을 보면, 중재조항에 의거한 ICC 중재판정부의 심사절차는 각 나라 고유의 판례나 규정보다는, 중재인들의 건전한 상식에 근거하여 중재판정이 내려졌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법원 역시 중재인의 건전한 상식에 근거를 둔 중재판정의 세부적 내용에 대하여 중재권한, 국제적 공공질서 상의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외국중재판정을 그대로 집행함을 인용하는 판결을 내렸다는 점이다. 따라서, 한국기업들이 국제분쟁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중재판정이 내려진 후 집행단계에서 중재판정 내용을 바꾸려는 노력을 하기보다는, 중재 절차 진행단계에서 한국 기업에게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유리한 증거들을 중점적으로 적극 활용하여 중재인들의 건전한 상식에 바탕을 둔 중재판정을 유리한 방향으로 내리도록 유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 PDF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U. S. Secret Records Management (미국의 비밀기록관리체제에 대한 역사적 이해)

  • Lee, Kyong-Ra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3
    • /
    • pp.257-297
    • /
    • 2010
  • The U. S. government has a long history to classify and manage governmental records which are created, collected, and preserved for itself. During the colonial period before the independence, the U. S. mostly practiced the maintenances of secret records and restrictions of access to the records following a long convention without any specific legal authority. Since establishment of the U. S. Constitution, the government had kept secret records on the basis of constitutional authority. However, the U. S. government began to take shape the secret records management system when it participated in the World War I, which required the system to reflect the needs in reality to manage drastic increases in important military and foreign relation documents. The World War II made the U. S. government strengthen its secret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its conception of secret records management system at that time has sustained until now.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secret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U. S. government continues to be managed by constitutional authorities and the executive orders which are opt to change. This article intends to review the secret records management system of the U. S. from the initial history of the U. S. to the Cold War. To understand its system of secret management, the paper investigates the U. S. secret records management history by dividing into three periods: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its tradition(the Colonial era~just before the WWI); the period of taking shape of its system (the WWI~the WWII); and the period of current conception of its system. The criteria of these divisions are created based on the differences of the laws relevant to the secret records and the application methods of secret management system in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