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만증

Search Result 37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Combined Effects of Curcumin Administration and 630 nm LED Phototherapy against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in BALB/c Mice (BALB/c 마우스에서 DNCB-유도 아토피 피부염 유사병변에 대한 Curcumin 투여와 630 nm LED 광치료의 병용 효과)

  • Jekal, Seung-Joo;Park, Mi-Suk;Kim, Dae-Jung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49 no.2
    • /
    • pp.150-160
    • /
    • 2017
  • Atopic dermatitis (AD) is a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It is characterized by eczematous lesions, skin dryness, and pruritus. The existing treatment drugs for AD have side effects, especially if the drugs are taken for extended periods. Therefore, new alternative therapies are necessa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bined effects of curcumin administration and LED irradiation on AD. AD-like lesions were induced in BALB/c mice by repeated application of 1-chloro-2,4-dinitrobenzene (DNCB) to the shaved skin of the ear and neck. Thirty male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vehicle, DNCB, curcumin, LED, and curcumin+LED groups. Curcumin (0.1 g/kg/day) was administrated repeatedly during a period of 14 days (experimental period) and 630 nm LED irradiation ($5J/cm^2/day$) was performed in the acryl box once a day for 10 days, after inducing AD-like lesions via DNCB application. The severity of AD-like lesions was evaluat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using a modified SCORAD index. Both ear and neck skin tissues were examined histologically for epidermal thickness, mast cell, eosinophil counting, and dermal collagen density. Epidermal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were detected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TUNEL, respectively. These were all reduced in SCORAD index, epidermal thickness, collagen density, number of mast cell and eosinophil in dermis, and number of proliferating cell and apoptotic cell in epidermis by curcumin administration and 630 nm LED irradiation. Moreover, all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urcumin+LED group compared with the curcumin group and LED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mbined therapy of curcumin and LED is more effective than a single treatment. We recommend that this can be a feasible alternative therapy to manage AD.

Association of Adiponectin Polymorphisms with Type 2 Diabetes in Korean Population (한국인에서의 아디포넥틴의 유전자다형성과 제2형 당뇨병과의 연관성)

  • Yoo, Min;Kim, Su-W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10
    • /
    • pp.1495-1498
    • /
    • 2009
  • Type 2-diabetes is a typical polygenic disease complex, for which several common risk alleles have been identified. Adiponectin, which modulates insulin resistance as well as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has recently been associated with type 2-diabetes (T2DM).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genotype for the T45G and G267T polymorphisms in adiponectin genes in the Korean population and compared genotypes of patients with those of a control group. 100 patients (63 male, 37 female), who previously underwent T2DM and 100 controls (36 male, 63 fe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re wa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T45G polymorphism in the adiponectin gene and T2DM.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adiponectin T45G polymorphism may be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T2DM. Further studies with a larger population may b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methods at genetic levels such as DNA chip.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ulsatilla koreana Methanol Extract in Lipopolysaccharid-Exposed RAW 264.7 Cells (Lipopolysaccharide를 처리한 RAW 264.7 세포에서 백두옹 메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 Lee, Gui Sun;Kim, Doo Hee;Park, Joong Hyun;Choi, Hee Seung;Heo, Seong Kyu;Cha, Yun Yeop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 /
    • v.17 no.1
    • /
    • pp.1-9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ulsatilla koreana (PK) methanol extract on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inflammatory. Methods: There were five groups. They were control group, LPS-exposed PK methanol extract group ($0{\mu}g/ml$, $10{\mu}g/ml$, $30{\mu}g/ml$, $100{\mu}g/ml$). To measure out cytotoxicity of PK, we performed the MTT assay.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K, we examined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beta}$, IL-6,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L-10). Results: 1. The extract of PK (${\sim}100{\mu}g/ml$) itself did not have any cytotoxic effect in RAW 264.7 cells. 2. The concentration of plasma NO and PGE2 in PK methanol extract group showed a lower value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3. The concentration of plasma $IL-1{\beta}$, plasma IL-6, and plasma $TNF-{\alpha}$ in PK methanol extract group showed a lower values than those of control group. 4. The concentration of Plasma IL-10 in PK methanol extract groups showed higher than control group; however, these values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extract of PK could be used as a protective agent against inflammation.

Experimental study for Selective Withdrawal on Stratified Water Tank by using PIV (PIV를 활용한 성층수조에서 선택취수방안에 대한 실험적 연구)

  • Son, Byung-Ju;Park, Jae-Hyeon;Kim, You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56-559
    • /
    • 2007
  • 고탁수 장기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고탁수층을 선택취수하여 우선 배제함으로써 하류하천의 고탁수 발생일수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와 같은 선택적 취수기법은 저수지 운영에 있어서 고탁수층을 우선 배제한 후 홍수기 이후에 저수지내로 유입되는 청수를 담수하여 호소 내 탁도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택취수 시 성층수괴의 동수역학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Two-tank 기법을 이용하여 성층구조를 구현해 내었는데, 소금물의 밀도변화를 이용하여 수심 1m의 성층수조를 만들었고, 밀도경사가 상이한 성층구조에서 취수조건을 변화시키면서 비교란 유속계인 PIV 시스템을 이용해 유속의 흐름을 Vector와 Contour로 분석하였다. 선택취수에 대한 흐름의 동수역학적 분석결과 취수유량보다는 밀도성층경사 변화에 더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취수유량을 줄이거나 밀도성층경사를 급하게 했을 때에는 선택취수 영역(withdrawal zone)의 수직방향 폭은 줄어드는 반면, X축으로의 영향범위는 증가함을 나타냈다. 취수유량을 증가시키거나 성층밀도경사를 완만히 했을 땐 선택취수 영역(withdrawal zone)의 수직방향 폭은 증가하였고 X축으로의 영향범위는 축소됨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Richardson 수로도 판단되어지는데, Richardson 수가 증가하면 유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도성층경사가 크다는 것인데 이럴 경우 선택취수 영역(withdrawal zone)의 수직방향 폭 최대가 되고 선택취수 영역(withdrawal zone)의 수직방향 폭은 최소가 된다. 선택취수 영역(withdrawal zone)의 수직방향 폭이 최소가 되면 취수구 직경 D의 1.8배의 값을 가지고 Richradson 수가 최소가 되더라도 취수구 직경 D의 3.3배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상수위계는 한강홍수통제소 관할의 전류, 청담대교 등 4개소 낙동강 홍수통제소 2개소, 지자체 등에 적용되었으며, 적용 결과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수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존 CCD 카메라 이외에 CCTV를 이용한 영상수위계를 개발하여 영상의 화질 개선뿐 아니라 하천화상 감시 기능을 강화하였다.소류의 섭취율은 높았다. 집단간의 상관도를 보면 교육별로 김치, 장아찌, 콩이 각각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멸치가 유의한 차가 없었고(p>0.5), 수입별로는 콩이 유의한 차가 없었다(p>0.5). 4. 영양지식(營養知識) 검토 가정생활(家庭生活)에 필요(必要)한 일반적(一般的)인 영양지식(營養知識)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어린이 영양, 편식의 해로움, 비만증의 해로움, 임신부 그리고 수유부 영양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그다음으로 이유기 영양, 어린이 발육에 필요한 식품, 식품과 영양소와의 관계, 우유의 성분, 노인영양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비율이 낮았으며, 인체의 영양소, 식단작성여부, 간식의 이론, 식품감별법에 대하여는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각 영양지식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지식이 높았고, 교육별 집단간의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0.001

  • PDF

A Development of Realtime Urban Flood Forecasting Service (도시하천의 실시간 홍수예측서비스 개발)

  • Kim, Hyung-Woo;Lee, Jong-Kook;Ha, Sa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32-536
    • /
    • 2007
  • 급속한 도시화 및 지구온난화로 인한 집중호우로 홍수피해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4대강 중심의 홍수예경보시스템이 구축되는 등 다양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고 있으나 중소하천이 분포되어 있는 도시유역에서의 홍수예측기능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 도시하천에 적용 가능한 실시간 도시홍수예측서비스 시스템(Realtime Urban Flood Forecasting Service, U-FFS)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탄천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실시간 강우 및 수위관측소를 설치하여 수문데이타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위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구축에는 이미 국내외 학계에서 그 정확도가 입증된 바 있는 Data-driven 모델의 일종인 ANFIS(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수위예측모형은 지정된 시간에 자동으로 작동 가능한 실행파일로 프로그래밍되어 최종적으로 홍수예측 웹서비스와 연동된다. U-FFS는 집중호우 발생 시 최종 유출구의 30분, 1시간, 2시간 후의 수위 예측값을 웹 상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홍수예측 정보를 누구나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범운영 결과, 30분 및 1시간 후의 수위 예측은 정확도가 매우 뛰어났으며 2시간 후의 수위 예측의 정확성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전반적인 홍수예측 판단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시스템의 홍수예측모형은 생성 및 수정이 간편하여 그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안전함을 지향하는 각종 U-City나 홍수피해가 빈번한 도시유역에 적용하면 기존 시스템과 차별화된 실시간 홍수예측 서비스가 가능해져 홍수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취수구 직경 D의 3.3배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상수위계는 한강홍수통제소 관할의 전류, 청담대교 등 4개소 낙동강 홍수통제소 2개소, 지자체 등에 적용되었으며, 적용 결과 비교적 안정적이면서 정확하게 수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존 CCD 카메라 이외에 CCTV를 이용한 영상수위계를 개발하여 영상의 화질 개선뿐 아니라 하천화상 감시 기능을 강화하였다.소류의 섭취율은 높았다. 집단간의 상관도를 보면 교육별로 김치, 장아찌, 콩이 각각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멸치가 유의한 차가 없었고(p>0.5), 수입별로는 콩이 유의한 차가 없었다(p>0.5). 4. 영양지식(營養知識) 검토 가정생활(家庭生活)에 필요(必要)한 일반적(一般的)인 영양지식(營養知識)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어린이 영양, 편식의 해로움, 비만증의 해로움, 임신부 그리고 수유부 영양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그다음으로 이유기 영양, 어린이 발육에 필요한 식품, 식품과 영양소와의 관계, 우유의 성분, 노인영양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비율이 낮았으며, 인체의 영양소, 식단작성여부, 간식의 이론, 식품감별법에 대하여는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각 영양지식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지식이 높았고, 교육별 집단간의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0.001

  • PDF

Non-Point Source Mitigation Analysis by Applying Riparian Area in Nakdong River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수변구역 조성에 따른 낙동강유역의 비점오염원 저감효과 분석)

  • Han, Kun-Yeun;Kim, Dong-Il;Park, K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97-601
    • /
    • 2007
  • 1990년대 정부는 비점오염원 부하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1995년부터 한강, 낙동강, 금강 그리고 영산강 이른바 4대강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의 조사연구사업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비점오염원의 경우 처리시설만으로는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특성 때문에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한 대책 마련과 제도적 관리방안의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하고, 토지매수를 통한 비점오염물질 저감효과 분석을 위해 토지매수에 따른 비점오염원에 의한 오염물질 변화 해석 및 토지매수에 따른 최적 수변녹지대 조성을 위한 식생 효과를 분석 하였다. 수변구역 내의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이 수변구역(riparian buffer strip), 또는 수변완충구역(riparian buffer zone)을 조성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수변구역은 하천유역의 토양, 식물, 동물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하천흐름을 조절하고, 물을 저장하며, 물에서 유해한 물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수중 및 육상의 식물과 동물을 위한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수질과 수량 그리고 생태계 측면에서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낙동강 수계에 수변구역 조성시의 수질개선효과 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지매수가 상수원 수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분석을 위해서 SWAT 모형을 적용하여 유량 및 수질모의를 실시하였다. 유역내 수변구역을 조성시 수변구역의 범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점오염원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있었다.로 대부분의 가정(家庭)은 아침 식사로 밥을 좋아하였다. (8) 편식을 고치는 것이 어렵다고 하였으며, 어린이 간식에 대하여는 깊은 관심을 나타냈다. 2. 영양교육(營養敎育) 현황실태(現況實態) (1)식생활(食生活)에 필요한 지식(知識)은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와 텔레비젼을 통해서 대체로 얻고 있다. (2) 음식과 영양섭취와의 관계성이 있다고 답한 주부(主婦)는 70.8% 이었으며, 가족(家族)의 영양(營養)에 대하여 늘 생각하는 주부는 60% 이었다. 3. 식품섭취 빈도 거의 먹지 않는 식품(食品)으로 버터가 43.%로 가장 높았고, 육류의 섭취율이 낮았다. 반면, 김치와 채소류의 섭취율은 높았다. 집단간의 상관도를 보면 교육별로 김치, 장아찌, 콩이 각각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멸치가 유의한 차가 없었고(p>0.5), 수입별로는 콩이 유의한 차가 없었다(p>0.5). 4. 영양지식(營養知識) 검토 가정생활(家庭生活)에 필요(必要)한 일반적(一般的)인 영양지식(營養知識)은 대체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어린이 영양, 편식의 해로움, 비만증의 해로움, 임신부 그리고 수유부 영양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알고 있다고 하였으며, 그다음으로 이유기 영양, 어린이 발육에 필요한 식품, 식품과 영양소와의 관계, 우유의 성분, 노인영양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비율이 낮았으며, 인체의 영양소, 식단작성여부, 간식의 이론, 식품감별법에 대하여는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냈다. 각 영양지식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지식이 높았고, 교육별 집단간의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0.001

  • PDF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대두부산물의 지방세포분화 유도유전자의 발현저해 및 전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 Choi, Mi-Sun;Kim, Jee-In;Jeong, Jin-Boo;Lee, Su-Bok;Jeong, Jae-Nam;Jeong, Hyung-Jin;Seo, Eul-Won;Kim, Taek-Yoon;Kwon, Oh-Jun;Lim, Jae-Hwa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1 no.3
    • /
    • pp.358-367
    • /
    • 2011
  • Soybean is known to contain various phytochemicals that are related to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obesity effects in mice and humans. The anti-obesity effect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to adipocytes was investigated by suppress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ipid accumulation with Oil Red-O assay and quantitative PCR. In inducing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in the presence of an adipogenic cocktail, isobutylmethylanthine (IBMX), dexamathasone, and insulin, treatment with filtrated soybean soaked water, soybean milk, and soycurd residue from soybean curd processing significantly decreased mRNA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 such as PPAR${\gamma}$, Fabp4, and Scd1, adipsin, apolipoprotein (APOE) and adiponectin (ADIPOQ) without any significant cytotoxicity. We also determined the well-known isoflavones in soybean, such as daidzein and genistein, in the by-product extracts. Taken together, we suggest that soybean by-product extract showed anti-obesity effect by suppressing adipocyte related gene expression, and that by-products collected during soybean curd processing may be a good candidate as an ingredient in health care products.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upon Anti-inflammation and Intestinal Mucous Membrane Permeability (청국장의 항염증 및 장점막 투과성 개선 효과)

  • Kim, Hyung-Gu;Lee, Myeong-Jong;Kim, Ho-Jun;Kim, Ki-Cheol;Bose, Shambhunath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 /
    • v.12 no.1
    • /
    • pp.33-47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rmented soybean upon anti-inflammation, cytotoxicity, antioxidant and intestinal mucous membrane permeability by measuring the cell viability, NO (nitric oxide) production, DPPH, Polyphenol, HRP and TEER in cells like Raw 264.7 and HCT 116 using fermented soybean. Methods Raw 264.7 cell and HCT 166 cell were used in this study. And fermented soybean powder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soybean powders for the control group. There was inflammation response upon using lipopolysaccharide(LPS). Fermented soybean powders and soybean powders were in a respectively different dose added to the cells with LPS. MTT assay, NO, DPPH and Polyphenol measurement, TEER, HRP were conducted for each c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i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1. In Raw 254.7 cells added with $100{\mu}l/ml$ unfermented soybean powders, 104.95% higher than 62.59% was measured. In Raw 254.7 cells added with $100{\mu}l/ml$ fermented soybean powders, there was 74.90% measured higher than 62.59%, which was a significant result. 2. By a gradual increase of unfermented soybean powders like $0.1{\mu}l/ml$, $1.0{\mu}l/ml$, $10{\mu}l/ml$, $100{\mu}l/ml$, the measured NO were also gradually decreased $53.12{\mu}M$, $47.57{\mu}M$, $37.02{\mu}M$, $28.16{\mu}M$. In case of cells added with fermented soybean powders, $43.95{\mu}M$ NO was measured in $0.1{\mu}l/ml$ which is significant, and in other cases, mostly measured over$ 56.72{\mu}M$. 3. It was inferred that fermented soybean powders hav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aintaining intestinal mucous membrane permeability because the measured values of cells in both groups were all higher than $133.62{\Omega}$ measured of cells added with only LPS. And measured values of cells in both groups were all lower than 2.26 measured of cells added with only LPS. 4. In case of experiment DPPH and polyphenol measurement, fermented group was all higher than unfermented group. Conclusion From the results of conducting MTT assay, NO measurement, and TEER, HRP by using cells Raw 264.7 and HCT-116,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cytotoxicity, anti-inflammatory effects, both unfermented soybean powders and fermented soybean powders were shown to have intestinal mucous membrane permeability improvement effects. This effects could be applicable for autoimmune diseases,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and so additional studies are expected in the future. From the results of conducting DPPH, Polyphenol measurement, Fermented soybean may be useful as potential antioxidant.

The Effect of Haptoglobin on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3T3-L1 Preadipocytes.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합토글로빈에 의한 염증성 cytokine 발현 조절)

  • Cho, Jin-Kyung;Kim, Nam-Hoon;Oh, Mi-Kyung;Park, Seon-Joo;Kim, In-Soo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8 no.4
    • /
    • pp.537-541
    • /
    • 2008
  • White adipose tissue is now recognized as an important endocrine organ which secretes various signal factors and proteins termed 'adipokine'. Haptoglobin (Hp), which has been known as an acute phase protein, belongs to the adipokine. However, the function of Hp in adipose tissue remains unclear. To verify the role of Hp in preadipocytes, in this study, 3T3-L1 preadipocyte cells were stably transfected with human Hp gene and Hp-overexpressing cells were made. The Hp had no effect on cell growth of preadipocytes.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the Hp inhibited gene expression of IL-6 and COX-2 and enhanced HO-1 synthesis in preadipocytes. Moreover, invasion assay showed the Hp suppressed migration of monocytes to preadipocyt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p may inhibit an inflammatory reaction in adipose tissue by regulating the expressions of pro-inflammatory and anti-inflammatory mediators, and by repressing monocytes/macrophages infiltration.

Improvement effect of cooked soybeans on HFD-deteriorated large intestinal health in rat model (쥐 모델에서 고지방사료로 악화된 대장 건강에 대한 콩의 개선 효과)

  • Choi, Jae Ho;Shin, Taekyun;Ryu, Myeong Seon;Yang, Hee-Jong;Jeong, Do-Youn;Unno, Tatsuya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4 no.4
    • /
    • pp.383-389
    • /
    • 2021
  • Obesity is associated with impaired intestinal epithelial barrier function, which contribute to host systemic inflammation and metabolic dysfunction. Korean traditional foods, fiber-rich bean products, have been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in anti-inflammatory responses, but has not reported the large intestinal health.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testinal health promoting effect of cooked soybeans (CSB) on high fat diet (HFD)-induced obesity model. SD rat were fed either a HFD or HFD supplemented with 10.6% CSB (HFD+CSB) for animal experimental period. CSB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HFD-induced weights of body and fat. Also, CSB treatment improved HFD-reduced tight junction components (ZO-1, Claudin-1, and Occludin-1) mRNA expression in large intestine tissue. Additionally, histopathological evaluation showed that CSB treatment attenuated the HFD-increased 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 and epithelial damages in large intestine tissue. At the genus level, effects of CSB supplement not yet clear, while dietary effects showed differential abundance of several genera including Lactobacillus, Duncaniella, and Alloprevotella. NMDS analysis showed significant microbial shifts by HFD, while CSB did not shift gut microbiota. CSB increased the abundance of the genera Anaerotignum, Enterococcus, Clostridium sensu stricto, and Escherichia/Shigella by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effect size analysis, while reduced the abundance of Longicatena and Ligilactobacillu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SB supplement improves HFD-deteriorated large intestinal health by the amelioration of tight junction component, while CSB did not shift gut microbiot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