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마모량

Search Result 76,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Tribological Properties of Pressureless-sinteed Silicon Carbide (상압소결 탄화규소 소결체의 마찰마모특성)

  • Baik, Yong-Hyuck;Choi, Woong;Seo, Young-Hean;Park, Yong-Kap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5 no.7
    • /
    • pp.721-725
    • /
    • 1998
  • In this study solid-phase sintered silicon caribide samples composed of SiC powder having boron and car-bon black as additives were prepared by pressureless sintering at $1950^{\circ}C$. The bending strength the frac-ture toughness and the specific werar rate of the samples were examined and the micro structures of the broken and the worn surface were observed by SEM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i-bological charcteristics and the micro structure.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cro struc-tures and the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s for the frictional opponents SiC and $Al_{2}O_{3}$ pins were investigated Conclusions are as follows ; 1. The specific were rate of the samples for the SiC pin was larger than that for the $Al_{2}O_{3}$ pin. HOwever the specific wear rate for the $Al_{2}O_{3}$ pin was increased about 6,45 times as that for the SiC pin under the load increasing. 2. The specific wear rate of the SiC pin was larger than that of the $Al_{2}O_{3}$ pin. owever the specific wear rate of the $Al_{2}O_{3}$ pin was increased about 4 times as that of the SiC pin under the load increasing 3. The micro stucture of the worn surface showed a flat face without cracks in the case that the frictional opponents has the low friction coefficient but in the case of without cracks in the case that the frictional opponents has the low friction coefficient but in the case of the high friction coefficient the micro structure of the worn surface showed an uneven face having spread-ed cracks. 4. The trib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solid-phase sintered SiC samples was similar to that of li-quid-phase sintered ones when the pin having the high friction coefficient was used.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of PTFE Composite (첨가제에 의한 PTFE 복합재료의 마찰마모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용직;김윤해
    • Composites Research
    • /
    • v.13 no.4
    • /
    • pp.11-18
    • /
    • 2000
  • This study is mainly concerned with friction and wear properties for the piston ring of non-lubricating air compressor which made of PTFE-polyimide composites. At the PTFE and polyimide alone mixture specimens, PTFE80%-polyimide20%, which shows the lowest mean friction coefficient and specific wear rate at 0.94m/s sliding speed. In case of the specific wear rate, copper30% specimen shows the lowest value of 2.537-5(mm3/Nm) in all specimens. It considered that the friction coefficient is affected by generating speed and quantity of wear film. In case specific wear rate, i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urface hardness of wear film is proportioned to specific wear rate.

  • PDF

Friction and Wear Characteristics of Hybrid Fiber Reinforced Composites (혼성섬유 보강복합재의 마찰 및 마모특성)

  • Ju, Hyeok-Jong;Lee, Yeong-Jae;Choe, Don-Muk;O, In-Seok;Sim, Gyu-Yu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5 no.3
    • /
    • pp.316-323
    • /
    • 1995
  • 페놀수지 결합재에 PAN섬유(PF), PAN계 탄소섬유(CF) 그리고 아라미드 섬유(AF)를 보강재로 사용하여 단일섬유 보강복합재를 제조하였으며 이들 섬유를 각각 두 종류씩 혼성하여 혼성섬유 보강복합재를 제조하였다. 각 보강복합재를 섬유의 보강분율에 따른 마찰 및 마모특성을 시험하였다. CF 보강복합재(CFRP)가 마찰계수와 마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F 보강복합재(PFRP)는 가장 높은 마찰계수와 마모량을 나타내었다. PF에 CF나 AF를 보강한 혼성복합재의 경우 마찰계수가 0.311~0.328로 혼성비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PF의 보강분율이 증가할수록 마모량은 증가하였다. CF와 AF를 보강한 혼성복합재의 마찰계수는 0.264~0.309로 가장 낮게 나타났고, AF의 보강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마찰계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가장 적은 마모량과 함께 안정된 마모형태를 보였다.

  • PDF

The effect of cylinder wear on the oil consumption (엔진시린더의 마모가 오일 소모에 미치는 영향)

  • 강석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3 no.4
    • /
    • pp.18-25
    • /
    • 1991
  • 디젤엔진에서 윤활오일의 소모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비정상적인 시린더 마모 때문이다. 시린더 라이너의 작동기구를 L-link 피스톤운동 측정장치로 조사하여 피스톤 top-land의 탄소분 축적이 비정상시린더 마모의 주요 원인임이 증명되었다. 또 피스톤 top-land의 축소는 마모 방지의 유용한 방법인 것으로 이론과 실제에서 입증되었다. 오일 소모와 시린더 마모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들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 PDF

Assessment of Failure for Fretting-Wear of Steam Generator U-Tubes in Operating Nuclear Power Plants (증기발생기 U-튜브의 마모 손상평가)

  • 김일곤;박진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10a
    • /
    • pp.273-279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증기발생기 튜브의 마모마손에 대한 평가 방법을 열수력해석, 자유진동해석, 비선형해석, 마모량예측 등의 과정을 통해 증기발생기튜브의 마모량과 수명을 예측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증기발생기 비선형충격해석에서 사용되는 정확한 난류 여기진동가진 가진력의 확보가 정확한 마모치를 예측할 수 있고, 2) 마모치예상을 위한 수식의 사용시 튜브의 미끌림거리 over bar L값이 매우 주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3) 충격력과 마모치의 연관관계에 대한 정확한 정의가 본 연구에 사용된 Archard의 마모방정식 이외에 여러 가지가 있으나, 아직 이들에 대한 정보부족으로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하다.

  • PDF

인공관절의 수명 향상을 위해 PIII&D (Plasma Immersion Ion Implantation & Deposition) 기술로 제조된 인공관절용 NbN 박막의 마모 특성 평가

  • Park, Won-Ung;Jeon, Jun-Hong;Mun, Seon-U;Choe, Jin-Yeong;Im, Sang-Ho;Han, Se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189-189
    • /
    • 2011
  • 인공관절은 노인성 질환이나 자가 면역질환, 신체적인 외상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관절의 손상 부위를 대체하기 위해 고안된 관절의 인공 대용물이다. 인공 관절 중 인공 고관절의 경우 관절 운동을 하는 라이너(Liner)와 헤드(Head) 부분이 인공관절의 수명을 결정하게 되는데, 헤드 부분에 메탈소재와 라이너 부분에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는 MOP (metal on polymer) 구조의 인공관절은 충격흡수의 장점이 있는 반면 wear debris에 의한 골용해로 인하여 관절이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재 시술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메탈 헤드의 마모로 인한 금속이온의 용출은 세포 독성의 문제를 야기하여 인공관절의 수명을 낮추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인공관절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DLC, ZrO, TiN 등의 높은 경도 값을 갖는 박막을 금속 헤드 위에 증착하여 상대재인 인공관절용 고분자 소재의 마모량을 줄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III&D (Plasma Immersion Ion Implantation & Deposition)공정을 이용하여 Co-Cr-Mo 합금 소재 niobium nitride (NbN) 박막을 증착하여 상대제인 UHMWPE (ultra high molecular polyethylene)의 마모를 줄이고자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마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박막 증착전에 질소를 이온주입하는 pre-ion implantation 공정을 도입하였으며, 또한 Co-Cr 합금과 NbN박막 사이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박막의 증착 초기에 이온주입과 증착을 동시에 수행하는 dynamic ion mixing공정을 수행하였다. NbN 박막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XRD, XPS, AFM 등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상대재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마모량을 측정하기 위해 Pin-on-disk tester를 이용하여 마모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모 실험 결과, pre-ion implantation 공정을 도입한 경우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Co-Cr 합금에 비하여 마모량을 2배 이상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dynamic ion mixing 공정을 도입한 경우 장시간의 마모 시험에 대한 마모 특성이 향상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pecific Wear Amount of Base oil in Automotive Lubricant (자동차 윤활기유의 비마모량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eon, Chan-Yea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3
    • /
    • pp.488-492
    • /
    • 2009
  • This paper have been analyzed specific wear characteristics of various base oils used in the automobile engine by experimental study. Specific wear amount has been calculated by the measured normal force and friction force under various speed operating conditions, such as, viscosities and temperatures. It have been verified that the specific wear characteristics relation of the base oil used in a engine oil is related to the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The Effect of Mn on the Elevated Temperature Sliding Wear Behavior of Fe-20Cr-1C-1Si Hardfacing Alloy (Fe-20Cr-1C-1Si 경면처리 합금의 고온 Sliding 마모거동에 미치는 Mn의 영향)

  • Kim, Geun-Mo;Kim, Jun-Gi;Yang, Yeong-Seok;Gang, Seong-Gun;Kim, Seon-Ji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9 no.9
    • /
    • pp.937-942
    • /
    • 1999
  • Fe계 합금의 적층결함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Mn이 Fe-20Cr-1C-Si 경면처리 합금의 변형유기 상변태거동과 상온 및 고온 마모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5ksi의 접촉응력에 대하여 0~25wt.% Mn을 첨가한 시편은 모두 상온에서 마모손실량이 적은 우수한 마모저항성을 보였는데 Mn 첨가량이 5wt.% 이하인 시편의 경우 마모표면에서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가 발생한 반면 15wt.% 이상 Mn을 첨가한 시편에서는 ${\gamma}$$\longrightarrow$$\varepsilon$변형유기 상변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0^{\circ}C$까지 고온 마모시험결과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가 발생한 5wt.% 이하 Mn 첨가시편은 Mn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마모손실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Mn 첨가는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에 있어서 고온 마모저항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Mn이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의 M(sub)d 온도를 감소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반면에 ${\gamma}$$\longrightarrow$$\varepsilon$변형유기 상변태가 일어난 15wt.% 이상 Mn 첨가 시편의 경우 Mn 첨가량 증가에 따른 고온 마모손실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gamma}$$\longrightarrow$$\varepsilon$변형유기 상변태는 ${\gamma}$$\longrightarrow$$\alpha$\`변형유기 상변태에 비해 온도의 존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alysis of Mechanical Face Seals for Design Purpose Part II: Thermoelastic, Wearing and Vibrational Effects (설계목적을 위한 기계평면시일의 해석, 제2보: 열탄성, 마모 및 진동의 영향에 관하여)

  • Kim, Chung-Kyun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6 no.2
    • /
    • pp.34-42
    • /
    • 1990
  • 기계명면시일의 접촉 운동면에서 유체가 비압축성이고, 점서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 대한 체적 누설 유동량과 마찰 토오크를 멱급수의 방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되고 있는 설계인자로 시일의 경사도, 접촉 운동면에서의 사인파형, 코우닝, 열탄성 변화량, 마모량, 시일의 스프링 강성도에 따른 축방향의 변화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계산된 결과에 의하면 특히 회전속도가 증가되면 열탄성 변화량에 의한 시일의 누설 유동량과 마찰 토오크는 커다란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PIII&D(Plasma Immersion Ion Implantation & Deposition) 공정으로 제조된 인공 관절용 NbN 박막코팅층의 특성 평가

  • Park, Won-Ung;Choe, Jin-Yeong;Jeon, Jun-Hong;Im, Sang-Ho;Han, Se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349-349
    • /
    • 2011
  • 인공관절은 노인성 질환이나 자가 면역질환, 신체적인 외상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관절의 손상 부위를 대체하기 위해 고안된 관절의 인공 대용물이다. 인공 관절 중 인공 고관절의 경우 관절 운동을 하는 라이너(Liner)와 헤드(Head) 부분이 인공관절의 수명을 결정하게 되는데, 헤드 부분에 메탈소재와 라이너 부분에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는 MOP(metal on polymer) 구조의 인공관절은 충격흡수의 장점이 있는 반면 wear debris에 의한 골용해로 인하여 관절이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재 시술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인공관절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 DLC, ZrO, TiN 등의 높은 경도 값을 갖는 박막을 금속헤드 위에 증착하여 상대재인 인공관절용 고분자 소재의 마모량을 줄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III&D(Plasma Immersion Ion Implantation & Deposition)공정을 이용하여 Co-Cr-Mo 합금 소재에 질소 이온을 주입 한 후 NbN 박막을 증착하여 상대재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의 마모량을 줄이고자 하였다. NbN 박막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XRD, XPS, AFM 등의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상대재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마모량을 측정하기 위해 Pin-on-disk tribometer를 이용하여 마모 실험을 진행하였다. 마모 실험 결과, NbN 박막을 단순 증착한 경우, 현재 인공관절용 헤드(Head) 소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Co-Cr-Mo 합금에 비하여, 상대재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마모량을 약 20%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o-Cr-Mo 합금 소재에 질소 이온주입을 하여 표면을 개질한 후, NbN 박막을 증착한 경우, 마모량이 최대 50%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