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독창성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5초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affolding Types in Wiki-based Collaborative Learning on Creativity)

  • 황경양;김회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6-78
    • /
    • 2019
  • 본 연구는 67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위키 기반 협력학습 상황에서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창의성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캐폴딩 유형에 따른 창의성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 집단에 따른 사전-사후 창의성의 효과에서는 유창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창의적 강점은 실험집단 1이 사전-사후 향상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 2는 독창성이 타집단에 비하여 사전-사후 향상도가 높았으며, 비교집단은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창의적 강점은 사전보다 사후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메타인지적 자기 스캐폴딩은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실험집단 1이 독창성에서 향상도가 낮은 결과는 학습자들이 교사 스캐폴딩에는 익숙하나, 메타인지적 자기 질문 스크립트를 통한 독창성 향상에 잘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키 기반 협력학습에서 학습자의 창의성 신장을 위해서 교사 스캐폴딩 뿐만 아니라 자기 스캐폴딩도 필요하며, 학습자 개인에 따른 차별화된 자기 스캐폴딩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의 양육태도간의 관계 연구

  • 박선혜;박혜원
    • 한국영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영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9-14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양육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자녀양육에 있어서 창의적인 유아로 키울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유치원 9곳의 만 5세 96명(창의적인 유아 40명, 일반 유아 56명)과 아버지 96명이었다. 유아의 창의성검사는 Torrance 창의력 도형검사를 사용하였고, 아버지양육태도검사는 이종승, 오성심(1982)이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0.0 for Window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으며,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에 전반적 창의성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 분석시 유창성과 독창성, 개방성요인에서는 창의적인 유아가 일반 유아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두 집단간 창의성에 있어서 성차는 없었다. 둘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의 아버지의 자녀창의성 인식에서는 전반적 독창성 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유창성, 추상성, 정교성의 차원에서 인식의 차이를 보여 창의성수준을 부모들이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창의적인 유아에 대한 아버지와 교사의 인식에서는 창의적인 유아의 아버지보다 현장에서 유아를 가르치는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유아의 창의성수준을 더 높게 평가하였다. 그러나 아버지와 교사간 평가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아버지의 평가수준이 매우 객관적인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셋째,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 아버지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애정-적대요인과 자율-통제요인에서 창의적인 유아와 일반 유아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창의성과 아버지 양육태도간의 상관관계분석결과 애정적 양육태도와 유창성, 독창성간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집단별 분석시 창의적인 유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에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유아의 아버지 양육태도와 유아의 창의성간의 상관에서는 아버지 양육태도의 성취-비성취 요인에서와 창의성제목의 추상성요인에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일반 유아의 아버지와 보다 더 애정적이며 자율성이 높지만 창의성이 높은 아동의 집단내에서 창의성에 특별한 영향을 더 미치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은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일반 유아의 경우 아버지의 성취지향성이 낮을 때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자녀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양육차원은 애정성이나 비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나고 있어 정서적인 측면의 지원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정부 R&D지원 유형에 따른 중소기업 기술적 성과 분석 (Technological Performance Analyses of SMEs Based on Type of Government R&D Support)

  • 이후성;이정수;박재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3-97
    • /
    • 2015
  • 중소기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 R&D지원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와 관련한 기존 대부분의 연구는 정부 R&D지원 중 재무적인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정부의 재정적 한계로 인해 정부의 비재무적인 R&D지원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부 R&D지원을 재무적, 비재무적 전략으로 유형화하고, 유형별 기술혁신 성과를 분석하였다. 동시에 R&D의 성과가 기업의 특성별로 다양할 수 있는 만큼 성과변수를 기술개발 가능성, 기술혁신성, 기술독창성으로 구분하여 지원방식과 성과의 특성 간 관계성에 대해 접근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 R&D지원은 중소기업의 기술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재무적 지원의 강도는 기술독창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 R&D지원의 규모효과에는 한계가 예상된다.

실크펩타이드 분말 첨가가 쌀다식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lkpeptide Powder on the Quality of Rice Dasik)

  • 김애정;여정숙;우경자;임영희;김미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5-69
    • /
    • 2002
  • 우리나라는 일찍이 농경문화의 정착으로 특히 곡류를 이용한 다양한 음식문화가 형성되었고 그 가운데 전통 한과류는 세계적으로 차별화된 독창성을 가지고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독창성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시대적 요청인 현대화와 서구화에 밀려 그 수요가 줄게 되었고 또한 계승노력의 부족으로 일부는 없어졌으며 극히 한정된 지역이나 가정에서 전수되어 그 명맥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과류 가운데 활용 가능성 높은 형태인 다식에 신소재인 실크펩타이드를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쌀다식의 영양성분 및 관능평가에 대한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일반성분 분석결과에서 실크펩타이드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쌀다식의 조단백질 및 조회분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p<0.05) 증가 되었다. 2. 무기질 함량은 실크펩타이드 분말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칼슘, 마그네슘 및 칼륨함량이 유의적(p<0.05)으로 증가되었다. 3. 실크펩타이드 분말 첨가비율에 따른 쌀다식의 관능평가 결과 2% 첨가군이 대조군이나 1%, 3%, 4% 첨가군에 비해 맛 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실크펩타이드 분말이 첨가된 기능성 쌀다식을 기초로 다양한 실크펩타이드 첨가 식품이 개발되어 좋은 아미노산 공급원이되기를 기대한다.

  • PDF

초.중학생 창의성 영재 선발 검사에 나타난 창의성 요인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Factors Foun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reative Gifted Student Selection Test)

  • 손충기;김명철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307-337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TTCT(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를 실시하여 창의성 영재를 선발하고, 선발된 창의성 영재들의 창의적 특성들이 초등학생과 중학생 간,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간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창의성 영재들의 창의적 특성을 규명해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교육청 산하 17개 영재교육원 학생 중 수퍼영재교육을 희망한 594명을 대상으로 창의성 영재를 선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창의성 요인의 차이 검증(t-test), 수학영재와 과학영재의 창의성 요인의 차이검증(t-test), 창의성 영재선발에 영향을 미치는 창의성 요인들의 초 중학생 간 및 수학영재 과학영재 간 차이검증(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TTCT는 창의성 영재 선발과 탈락을 변별하는 역량이 있으나, 창의성 요인 중 '유창성'과 '독창성', '유창성'과 '정교성' 간에는 각각 .78, .50의 상관계수를 보여 창의성 요인의 고유성이 낮을 가능성이 발견되었다. 또 중학생은 초등학생에 비해 유창성(원 그림)과 정교성 요인(그림구성, 그림완성, 원 그림), 제목의 추상성(그림구성)이 유의하게 낮으며, 과학 영재는 수학영재에 비해 독창성(그림구성)과 정교성(그림구성, 그림완성, 원 그림) 요인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창의성 영재 선발을 위한 검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계속 연구되어야 하며, 학년이 높아지면서 창의성이 낮아지는 문제의 해결방법과 교과별 영재의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과 TTCT창의성과의 관계 -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 개발을 위한 평가법에 관한 기초연구 -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sign creativity and TTCT's creativity - A basic research on evaluation for developing children's design creativity -)

  • 김은주;홍찬석;홍정표
    • 감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433-441
    • /
    • 2007
  • 아동에게 창의성은 아주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아동의 창의성과 관련해서, 타 학문(예를 들면, 수학, 과학, 논리, 음악 등)에서는 활발한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비해, 디자인학문에서는 아동의 창의성에 대한 평가법이나 개발법도 아주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학문에서의 아동창의성을 개발시킬 수 있는 교육법개발의 초기 단계로서,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독창성-새로움/흥미성, 실용성-기능성/실현가능성)은 문헌을 토대로 추출하였고, 초등학교2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사고의 창의성과 디자인 창의성과의 상관성을 보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실시한 결과, 디자인 창의성과 관련된 사고의 창의성 하위영역은 정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디자인 창의성과 관련된 사고의 창의성 하위영역이 반드시 정교성만 있다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영역들(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성)에 비해서 더 영향을 많이 미친다는 의미이다. 본 연구는 아동의 디자인 창의성 교육을 높이기 위한 교육법의 기본 틀을 마련하는 것이고, 이 교육법을 통하여서 디자인 창의성에 부족한 면을 보완해주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컬렉션에 나타난 현대 헤어스타일의 포스트모더니즘 표현 양상(I) (Postmodernism Expressions in Contemporary Hairstyle in Collections(I))

  • 이수인;박길순
    • 복식문화연구
    • /
    • 제14권2호
    • /
    • pp.192-205
    • /
    • 2006
  • This study first aims on preparing a systematic analysis basis for the expression aspects of hairstyle in forms of postmodernism. Secondly, it studies the meanings and aspects the hairstyle trend through a post modernism approach about its expression methods based on the suggestive collection hairstyles. Third, it confirms that hairstyle is also one of fashion that can be represented as modern society and culture by explaining that post modernism appears in hairstyles. This study analyzes the expression aspects of hairstyle in forms of post modernism that appears in modern collections by preparing theoretical theories for this study based on former studies related to post modernism theory and clothes from a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pared a theoretical analysis frame to study the expression aspects of hairstyle in forms of postmodernism first.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based on the analysis, they show that disoriginality of hairstyle can be freely interpreted by the author through borrowing and restoration, disformation through discord and incompletion, discenterization through non-westernization and sub-culture, and inter-text through many symbols and meanings. Thirdly, as the postmodernism movement that represents modern society, culture, and art movement is reflected on hairstyle, it can be considered as a small culture and a product of the era.

  • PDF

초등학교 과학과 '지구'분야의 ICT 활용 수업모듈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truction Module Using ICT on Earth Field at Elementary School Science)

  • 이용섭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409-417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ICT 활용 수업모듈의 개발과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첫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과학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개방성, 자아개념, 솔선수범, 미래지향적 자기이해, 창의성, 자기 평가력에 대해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자기주도적 학습특성의 하위요소인 학습열성, 책임감에서는 향상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ICT 활용 수업모듈을 활용한 집단은 전통적 집단에 비해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창의성의 하위요소인 유창성, 독창성에서는 향상을 보이고 있으나 융통성에서는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