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교위험도

Search Result 3,37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모의실험을 통한 가산위험모형에 대한 적합도검정법들의 비교

  • 김진흠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3 no.1
    • /
    • pp.61-71
    • /
    • 1996
  • Kim and Song(1995)과 Kim and Lee(1996)는 하나의 이지공변량(binary covariate)을 갖는 가산위험모형(additive risk model)의 적합도검정법(goodness-of-fit test)을 제안했다. 전자는 모수의 가중추정량들의 차에 기초한 검정법이며 후자는 마팅게일잔차(martingale residual)에 기초한 검정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실험을 통하여 두 검정법을 비교하였다.

  • PDF

A Study on Evacuees Risk Assesment for Application of Spatial Risk Information (공간위험정보를 적용한 대피자 위험성평가에 관한 연구)

  • Hong, Seungbum;Jang, Jae-Soon;Park, Hyun-A;Rie, Dong-H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2
    • /
    • pp.8-12
    • /
    • 2015
  • Performance Based Design is evaluating after each calculatiuon ASET and RSET. Risk informaion values such as heat, smoke, toxic gas etc are extracted by FDS in this study. These Risk informaion values by FDS apply Artisoc (evacuation simulator). Building structure made $60m{\times}65m$, exit number is made 2 positions and people in this building are 50 ramdonly. 20 times (case1~case 20) simulated and analysis evacuees risk by evacuated route positions.

A Study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for Highway Safety Facilities (고속도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정성적 및 정량적 위험도분석 연구)

  • Ji, Dong-Han;O, Yeong-Tae;Choi, Hyun-Ho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4
    • /
    • pp.99-109
    • /
    • 2007
  • Risk elements of highway safety facilities are affected by complex environments. Thus, risk-based approach for traffic safety facilities is needed. For this, in this stud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and procedure for highway safety facilities is proposed, which can be used as risk-based approach incorporating VE process. Also, for th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event tree using EPDO(Equivalent Property Damage Only) with respect to frequency and magnitude of risk events is introduced. As a result, risk index of alternative 1(140cm) and 2(127(cm) which can be used as performance factor in VE approach are estimated.

Matching-Table-Construction of Hazardous Meterial and Coding Development (위험물 매칭테이블 구축 및 코드화 방안)

  • An, Chan-Gi;Jeong, Seong-Bong;Park, Jong-Seo;Ja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04a
    • /
    • pp.435-446
    • /
    • 2012
  • 생활을 향상시키고 개선하기 위해 화학물질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 되고 있고, 또한 국내에는 38,000여종의 화학물질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화학물질은 그 이점에도 불구하고 사람이나 환경에 유해 영향을 가져올 가능성이 있어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는 3,000여종을 위험물로 분류하여 규제하고 있다. 위험물에 관련하여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총포 도검 화약류단속법, 원자력 진흥법, 농약관리법 등에서 개별적으로 규정하고 분류하고 있어 위험물질에 대한 표지사항이 해당 부처에 따라 상이하여 혼란을 야기하고 있고, 위험물에 대한 품목 및 품명의 고정으로 인하여 새롭게 생성된 위험물질에 대해 적용하는 데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의해 위험물질을 개별법에 따라 관리함으로써 중복된 위험물질 분류 및 관리의 문제가 있으며, 위험물질 분류에 있어서 위험물질에 따라 수송수단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수송수단별(도로, 철도, 해운, 항공) 위험물질에 대한 세분화된 자료가 부족하다. 따라서 수송관점에서 표준화된 위험물 물질정보의 분류와 코드화 방안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외 문헌 검토 및 위험물에 관련된 법제도 비교를 통하여 위험물 수송관리체계 정비방안과 위험물 수송사고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기존의 위험물 분류체계에서 운송관점에서의 위험물 매칭테이블을 구축하고 신속한 사고대응을 위한 위험물질별 코드화 방안을 제안하도록 하겠다.

  • PDF

A Survey on the Risk Management of Korean Banks (국내 은행의 위험관리 실태)

  • Kim, Seok-Ch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7 no.1
    • /
    • pp.307-332
    • /
    • 2000
  • 본 연구는 총 26개의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은행의 위험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정상은행과 경고은행 및 퇴출은행의 위험관리 행태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조사 결과, 최고경영자나 임원이 위험관리 부서의 책임자로 있는 경우는 없고, 금융파생상품의 사용 등 관련사항의 보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감사위원회 역시 외부전문가를 둔 은행이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되어 경영층의 위험관리 인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관리에 관한 평가나 최고경영자에 대한 보고주기도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위험 유형별로는 신용위험, 시장위험 및 유동성위험을 잘 인식하고 있는 반면, 운영위험이나 법적 위험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였다. 위험관리 담당자의 교육 주기가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60%로 가장 높았으며, 40%의 은행이 법적 위험 발생 시 책임소재가 분명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시장위험 관리에 있어서도 매일 VaR값과 실제 손익을 정기적으로 비교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15%에 불과하여 취약성을 드러냈다. 절반 정도의 은행은 금융파생상품을 전혀 이용하지 않고 있었다. 흥미롭게도 정상은행과 비정상은행 간 또는 비퇴출은행과 퇴출은행 간에 일부 항목을 제외하고는 행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국내 은행의 위험관리는 전반적으로 미흡하여 체계적인 위험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특히, 위험관리에 대한 최고경영층의 인식 제고가 요망되며, 합리적 은행구조조정을 위해서는 당해 은행의 위험관리 실태와 그에 따른 경영책임을 파악해야 할 것이다.

  • PDF

산화성 고체 -셀룰로오즈의 연소위험성(III)

  • 강민호;송영호;정국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97-202
    • /
    • 2002
  • 산화성고체의 연소위험성에 대한 연구는 근래에 와서는 가연성물질과의 혼합에 따른 연소성을 측정하여 발화위험성을 상대적으로 비교 평가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다. 국내의 경우, 산화성고체는 소방법상 위험물 제1류에 속하여 있는 바, 이에 속한 물질들은 산화성고체 단독으로 또는 가연성불질과의 일정 혼합에 의해 발화시 폭발적인 연소성을 가지는 경우가 있어, 사고 발생의 위험이 높은 물질로 알려져 있다.(중략)

  • PDF

Estimation of Risk and Optimal Route to Transport Hazardous Materials -Application to Metropolitan Area- (위험물 수송을 위한 위험도 및 최적경로산정 -수도권 사례를 중심으로-)

  • 조용성;오세창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1
    • /
    • pp.75-89
    • /
    • 1999
  • 위험물차량사고는 일반차량의 교통사고시 발생하는 인명피해, 재산피해, 교통지체 외에 부가적으로 환경적 영향에 의한 엄청난 인명 및 재산손실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험물차량사고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로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물수송경로의 신중하고 체계적인 결정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험물차량의 수송경로를 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의 기준 및 목표에 따라 위험물수송경로를 설정하는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위험물수송에 수반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위험물차량의 통행시간, 거리, 비용 등을 최적화하여 위험물수송의 안전 및 운영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먼저, 위험물 수송경로의 기준지표로 사용될 위험도를 나타내기 위해 사고율과 피해가능규모를 구하도록 사 고건수, 링크 주변노출인구, 링크상의 노출인구, 밀도 등을 변수로 하는 모형식을 제안하고, 두 번째로 위험물 수송을 위한 최적경로를 산출하기 위해 위험도와 통행시간을 목적함수로 하는 다목적계획모형을 제안하였고 기존의 최적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경로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수도권지역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을 적용하고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최단경로와 비교.분석하였다. 모형적용결과, 링크주변인구만을 고려하는 기존 모형에 비해 링크상의 인구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좀더 실제적으로 교통상황을 충분히 반영한 피해규모를 산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위험도와 통행시간에 0.5의 비중을 주는 다목적모형이 기존의 위험도모형에 비해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최소 4%, 최대 12%의 통행시간 개선의 효과가 있음을 나타냈다.

  • PDF

Hybrid metrics model to predict fault-proneness of large software systems (대형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결함경향성 예측을 위한 혼성 메트릭 모델)

  • Hong, Euy-Se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5
    • /
    • pp.129-137
    • /
    • 2005
  • Criticality prediction models that identify fault-prone spots using system design specific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development costs of large systems such as telecommunication systems. Many criticality prediction models using complexity metrics have been suggested. But most of them need training data set for model training. And they are classification models that can only classify design entities into fault-prone group and non fault-prone group.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builds a new prediction model, HMM, using two styled hybrid metrics. HMM has strong point that it does not need training data and it enables comparison between design entities by criticality. HMM is implemented and compared with a well-known prediction model,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Model(BPM), considering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accuracy of prediction.

  • PDF

Flood risk assessment by multiple regression using hourly precipitation (시강우량 자료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홍수위험 평가)

  • Park, Chang Eon;Kim, Cha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4-264
    • /
    • 2016
  • 홍수위험의 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많은 지역에 수리 및 수문모형을 적용하여 홍수위험을 평가하기에는 매개변수 보정이나 모형의 검정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특히, 많은 지역에 대하여 행정구역별로 홍수위험을 평가한다던지,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위험 변화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는 더욱 그러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위관측소에서 관측되어진 유량 자료를 적극 활용하여 시강우량과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첨두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을 구축하고 홍수위험을 평가할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홍수피해는 하천의 유량 증가가 가장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비교적 하천정비가 잘 이루어진 우리나라의 경우는 하천정비 시 설정한 계획홍수량과 호우에 따라 발생되는 첨두유량을 비교하여 홍수피해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천의 첨두유량 값은 복잡한 유역특성이나 수문특성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결국은 시간별 순간 최대강우량의 조합에 의하여 크게 좌우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일부 행정구역별 대표 수위관측소를 정하고, 각 지점의 최근 10년 동안의 하천유량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단일 호우사상의 1시간, 2시간, 3시간, 5시간, 10시간, 1일, 2일, 3일, 5일, 10일 순간최대강우량과 첨두유량 사이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유의한 통계값을 보이는 자료끼리 회귀방정식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은 각 하천 지점별로 해당 하천의 수리특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진 기간 동안만을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유량자료 가운데 각 지점에서 관심수위 이상으로 유량이 크게 증가하였던 호우사상만을 사용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매우 의미 있는 회귀방정식의 도출이 가능하였는데, 의정부시 신곡교의 경우는 1시간, 10시간, 1일 강우량으로부터, 광주시 경안교 지점의 경우는 3시간, 1일, 10일 강우량으로부터, 양평군 흑천교 지점의 경우는 10시간, 3일 강우량으로부터 각각 첨두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회귀방정식이 높은 유의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유역면적이나 도달시간 등의 유역특성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회귀방정식이 도출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회귀방정식에 의하여 예상되어지는 시간별 강우량 자료를 적용하면 첨두유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를 기존 계획홍수량과 비교하여 홍수위험 정도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study on the regulation of classification of flammable materials for the rail transportation in domestic and abroad (철도위험물수송을 위한 국내외 위험물분류 기준 연구)

  • Kwon, Ky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524-535
    • /
    • 2008
  • 위험물들은 위험물의 사용 및 관리뿐만 아니라 수송시에도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각국에서는 적당한 기준을 마련하여 특별히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 철도 위험물안전수송에 관한 철도안전법 개정을 위하여 국내 철도 위험물의 수송량과 종류를 분석하고 국내외 위험물분류기준을 비교하였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 대륙을 연결하기 편리한 위치에 있어 향후 국경을 넘어 대륙을 횡단하는 국제법을 채택하는 것이 유리하고, 수송되어야 할 물질의 종류가 다양해질 것을 대비하여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위험물일람표를 채택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