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비교분석

검색결과 59,469건 처리시간 0.069초

서지데이터 분석 툴에 대한 특성 및 편의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stinctive functions and usability of bibliographic data analysis softwares)

  • 이방래;이준영;여운동;이창환;문영호;권오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1-505
    • /
    • 2007
  • 최근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은 계량서지분석에 활용하기 위한 독립형 데이터 분석 시스템 Knowledge Matrix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시스템의 성능 수준을 이 분야에서 잘 알려진 분석툴인 VantagePoint와 BibTechMon과 비교분석 하였다. 기능 비교는 데이터, 행렬, 분석, 시각화, 데이터 전처리 부문에서 수행 하였다. 분석결과 각 분석툴의 특장점이 서로 다르지만 전반적으로 KnowledgeMatrix가 좀 더 우수한 기능을 보였다.

  • PDF

한국어 언어모델의 속성 및 정량적 편향 분석: 영어 언어모델과의 비교 및 개선 제안 (Propertie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Bias in Korean Language Models: A Comparison with English Language Model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 김재민;채동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58-562
    • /
    • 2023
  • 최근 ChatGPT의 등장으로 텍스트 생성 모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텍스트 생성 태스크의 성능평가를 위한 지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전통적인 단어 빈도수 기반의 성능 지표는 의미적인 유사도를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전학습 언어모델을 활용한 지표인 BERTScore를 주로 활용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사전학습 언어모델이 학습한 데이터에 존재하는 편향으로 인해 공정성에 대한 문제가 우려된다. 이에 따라 한국어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편향에 대한 분석 연구가 필요한데, 기존의 한국어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편향 분석 연구들은 사회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속성 별 편향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사전학습 언어모델들의 속성 별 편향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 또한 미비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속성 별 편향을 비교 분석하며, 영어 사전학습 언어모델이 갖고 있는 속성 별 편향과 비교 분석하였고, 비교 가능한 데이터셋을 구축하였다. 더불어 한국어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종류 및 크기 별 편향 분석을 통해 적합한 모델을 선택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시한다.

  • PDF

각국의 단말장치 회선평형도 기술기준 비교분석

  • 백승준;김영태;김용환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5권3호
    • /
    • pp.52-59
    • /
    • 1990
  • 통신신호가 통신회선을 통하여 전파될 때, 선로에 불평형이 나타나는 경우 가입자 선로와 대지간에 유도전류가 발생하여 대지로 흘러가게 되며 통신망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고에서는 통신회선의 불평형정도를 나타내는 평행도에 관하여 그 개념을 기술하고 각국에서 제시된 기준을 비교.분석한다.

제외국의 상호접속제도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e Interconnection Policies in Foreign Countries)

  • 송석재;황건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1권4호통권42호
    • /
    • pp.191-203
    • /
    • 1996
  • 유럽 및 제외국의 상호접속 정책 현황을 조사한 결과, 각 국가들은 상호접속에 대한 경험에 따라 접속정책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험의 차이에 따라 각 국가별로 몇 개의 정책항목으로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오픈 러닝과 소셜 러닝 플랫폼의 핵심요소 비교분석 (Core Elements of Open Learning and Social Learning Platform in a Comparative Analysis)

  • 채완순;안미리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1-5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오픈 러닝과 소셜 러닝 플랫폼의 핵심요소 비교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와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와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는 데 있다. MOOC로 대변되는 오픈 러닝 사례들의 핵심요소를 분석하여 각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소셜 러닝 플랫폼을 활용한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소셜 러닝 플랫폼의 정의와 특이사항을 살펴보았다. 오픈 러닝과 소셜 러닝 플랫폼의 특이사항은 서로 어떤 상호작용을 가질 수 있을지 비교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오픈 러닝에서 발견 된 장단점과 소셜 러닝 플랫폼의 장단점으로 대치하여 서로 보완해줄 수 있는 진화한 러닝 플랫폼을 구상해보는 것은 유의미 할 것이다.

  • PDF

현행 전문대학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for Present Curriculum of Lib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of Junior College)

  • 소시중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71-196
    • /
    • 2001
  • 본 연구는 현행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여서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 업무도 변하고 그와 관련된 문헌정보와 교과과정도 변하는 모습을 보도록 하여 전문대학 문헌정보과 교과 과정이 이론보다 실무연습에 강조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현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지식을 파악하기 위한 문헌조사와 국내 전문대학 문헌정보과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여 공통교과목을 도출하며 새로운 모형교과과정표를 작성하는 것이다.

  • PDF

한국어 악센트구초 고성조와 음절 길이 (Relationship between accetual-phrase-initial high tone and its syllable duration in Korean)

  • 이숙향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1998년도 제15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워크샵(KSCSP 98 15권1호)
    • /
    • pp.184-187
    • /
    • 1998
  • 한국어의 계층적 운율구조와 음향적 길이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운율구조 계층간 비교에서 첫째, 운율단위말 음절간, 모음 길이 및 음절 길이 비교분석이 수행되었으며 둘째, 특히 본 연구의 중점적 연구대상으로서 악센트구초 고성조가 실현되는 음절과 다른 성조 이벤트가 실현되는 음절간 모음 및 음절 길이 비교 분석이 수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상위 계층의 운율단위말 음절의 모음 및 음절 길이가 하위 계층에서보다 길었으나, 악센트구말 음절의 음절 길이는 어절말 음절 길이보다 짧게 나타나 계층성에서 운율 단위말 음절의 모음 또는 음절 길이는 어절말 음절 길이보다 짧게 나타나 계층성에서 운율 단위말 음절의 모음 또는 음절길이는 운율구조와 일대일 대응관계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악센트구초 음절은 모음 길이 비교 분석에서는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음절 길이 비교 분석에서는 피험자에 따라 악센트구말 길이와 같거나 또는 더 길게, 그리고 심지어는 어절말 길이보다 길게 나타남으로써, 첫째, 악센트 구초 고성조 음절의 초성자음으로 강자음이 많이 나타남을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었으며, 둘째, F0 값만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 또한 길게 나타나 운율적으로 강한 자리임을 보여주었다.

  • PDF

경량항공기 MFD Display 비교 및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LSA MFD Display)

  • 김기우;최원혁;김영인;지민석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41
    • /
    • 2015
  • 본 논문은 경량항공기에 사용되는 MFD의 판독성 및 가시성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경량항공기 Cessna Citation Mustang 및 Cessna 172에 사용되는 Garmin사의 G1000과 개발 MFD와 비교/분석 하였다. 설문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항공 관계자들을 통해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정확성, 신뢰성, 적절성, 접근성, 주목성, 분별성, 사실성, 효율성, 디자인 등의 평가요인으로 질문을 작성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평가 및 비교/분석이 이루어 졌다. 수집된 데이터를 통해 기존의 상용 MFD와 개발 중에 있는 MFD를 비교함으로 개발 중인 MFD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개발에 더 나은 방향을 제시 할 것이다.

  • PDF

비교 문장으로부터 비교 요소 자동 추출 (Extracting Comparative Elements from Comparative Sentences)

  • 양선;고영중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A)
    • /
    • pp.225-228
    • /
    • 2011
  • 본 논문은 비교 마이닝(comparison mining) 의 일환인 비교 요소 자동 추출에 관하여 연구한다. 비교 마이닝은 텍스트 마이닝의 한 분야로서 대용량의 텍스트를 대상으로 비교 관계롤 자동 분석하며, 비교 문장인지 아닌지를 식별하는 단계, 비교 타입을 분류하는 단계, 다양한 비교 요소들을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요소를 분석 및 요약하는 단계 등을 거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타입의 비교 문장이 주어졌을때, 그 문장에서 비교 요소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의 과제를 수행하며, 우열 비교 타입 및 최상급 타입 문장들을 대상으로 비교 주체, 비교 대상, 비교 술어를 추출한다. 실험 과정으로는, 우선 비교 요소 후보들을 선정하고, 그 후 각 요소별로 확률을 계산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요소를 정답으로 채택하게 된다. 확률 계산은 지지 벡터 기계 (Support Vector Machine)를 이용한다. 인터넷 상의 다양한 도메인에서 추출된 비교 문장들을 대상으로 비교 요소 추출을 수출한 결과, 정확도 86.81 %의 우수한 성능을 산출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