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블록 모델링

Search Result 21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pendability Modeling of Software Fault Tolerance Techniques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들의 의존도 모델링)

  • 김용규;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614-616
    • /
    • 1999
  • 신뢰도 높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필요성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요즘 들어, 소프트웨어의 크기와 복잡도가 증가함으로 인해 소프트웨어의 결함 때문에 발생하는 시스템 고장이 전체 시스템 고장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고 신뢰도를 요구하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복구블록, 분산 복구블록, N-버전 프로그래밍, N 자기검사 프로그래밍과 같은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들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들에 대한 연구와 함께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들의 의존도 측정에 관한 연구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마르코프 모델을 사용해서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들의 보다 자세한 신뢰도 모델링과 가용도, 안전도 등에 관한 모델링을 제시한다. 제안된 모델 분석 결과 같은 수의 대체블록이 있을 때는 분산 복구블록, 복구 블록, N 자기검사 프로그래밍, N-버전 프로그래밍 순으로 의존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결함허용 기법들의 신뢰도민감성 분석에서는 복구블록과 분산 복구블록인 경우는 적응검사의 결함발생율에, N-버전 프로그래밍인 경우는 프로그램 버전의 결함발생율에 더 민감한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BlockSim++: A Lightweight Block-oriented Hierarchical Modeling and Simulation Framework for Continuous Systems (BlockSim++: 연속시스템의 계층적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위한 블록기반 경량 프레임워크)

  • Song, Hae-Sang;Se, Jeong-M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12
    • /
    • pp.11-22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for practical engineers a lightweight modeling and simulation environment for continuous system models specified in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which are time-domain specification of such systems. We propose a block-oriented specification formalism that has two levels: one for atomic behavior and the other the structure of models. Also we provide with a simulation framework, called BlockSim++, which make models specified in the block-oriented formalism be easily translated in object-oriented program that runs with the proposed simulation framework. The proposed formalism and framework has advantage of reuse such that it can be easily integrated into application programs and heterogeneous simulators. We illustrates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framework by a simple hybrid modeling simulation example.

Modeling the Water-Block Interaction with Discontinuous Deformation Analysis Method (불연속 변형 해석법에 의한 지하수-암반블록 상호작용 모델링)

  • 김용일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9 no.2
    • /
    • pp.149-157
    • /
    • 1999
  • A powerful numerical method that can be used for that purpose is the Discontinuous Deformation Analysis (DDA) method developed by Shi in 1988. In this method, rock masses are treated as systems of finite and deformable blocks. Large rock mass deformations and block movements are allowed. Although various extensions of the DDA method have been proposed in the literature, the method is not capable of modeling water-block interaction that is needed when modeling surface or underground excavation in fractured rock. This paper presents a new extension to the DDA method. The extension consists of hydro-mechanical coupling between rock blocks and water flow in fractures. A example of application of the DDA method with the new extension is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fracture flow could have a destabilizing effect on the tunnel stability.

  • PDF

A Fast Block-Matching Motion Estimation Algorithm with Motion Modeling and Motion Analysis (움직임 모델링과 해석을 통한 고속 블록정합 움직임 예측 방법)

  • 임동근;호요성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2
    • /
    • pp.73-78
    • /
    • 2004
  • By modeling the block matching algorithm as a function of the correlation of image blocks, we derive search patterns for fast block matching motion estimation. The proposed approach provides an analytical support lot the diamond-shape search pattern, which is widely used in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s. We also propose a new fast motion estimation algorithm using adaptive search patterns and statistical properties of the object displacement.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search pattern, we explo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on vector and the block differences. By changing the search pattern adaptively, we improve motion prediction accuracy while reducing required computational complexity compared to other fast block matching algorithms.

Reduce Blocking Artifacts of Video Stream Using Regularized Image Restoration (동영상 스트림의 블록화 현상 방지를 위한 정규화 영상복원 기법)

  • 황인경;정시창;김성진;백준기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709-71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인터 프레임(P-프레임) 압축으로 인해 발생되는 블록화 현상을 모델링 하고 기존에 정의된 제한요소를 효율적으로(reasonable) 축소하고 축소된 제한요소를 이용한 후처리를 통해 블록경계는 물론 블록 내부의 불연속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음 프레임의 예측영상을 블록화가 제거된 영상을 사용함으로써 프레임간 영상 스트림에서도 주관적으로나 객관적으로나 현저하게 블록화가 제거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HDTV나 영상통신과 같은 영상 스트림의 후처리 과정에 적합하다.

  • PDF

Postprocessing in Block-Based Video Coding Based on a Quantization Noise Model (양자화 잡음 모델에 근거한 블록기반 동영상 부호화에서의 후처리)

  • 문기웅;장익훈;김남철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8B
    • /
    • pp.1129-114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블록기반 동영상 부호화에서 나타나는 양자화 잡음을 그 특성에 맞게 모델링을 하고, 이를 기반으로 웨이블렛 변환(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여 양자화 잡음을 제거하는 후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양자화 잡음을 특정 프로화일(profile)로 표현되는 블록화 잡음과 비에지 화소(non-edge pixel)에서 백색 가우시안 특성을 가지는 나머지 잡음의 합으로 모델링 한다. 이러한 양자화 잡음의 모델을 기반으로 정칙화 미분(regularized differentiation)을 표현하는 Mallat의 1차원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영상복원 관점에서 각각의 잡음을 제거한다. 먼저, 웨이브렛 영역의 블록경계에서 임펄스로 나타나는 블록화 잡음 성분들의 크기를 추정하여 줄임으로 해서 블록화 잡음을 제거한다. 이때 임펄스 크기의 추정은 메디안 필터와 양자화 파라미터(quantization parameter), 그리고 국부 활동도(local activity)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머지 잡음은 비에지 화소에서 연역치화(soft-thresholding)을 수행함으로써 제거한다. 이러한 후처리 방법의 구현은 실시간 응용을 위해 웨이브렛 필터를 이용하여 근사적으로 공간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다양한 영상과 압축률에 대해 MPEG-4 VM(verification model) 후처리 필터(post-filter)보다 PSNR 성능뿐만 아니라 주관적 화질면에서도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An Analysis on the Process of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if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Multiplication of Decimal with Base-Ten Blocks (십진블록을 활용한 소수의 곱셈 지도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개념적 이해 과정 분석)

  • Kim, Soo-Jeong;Pang, Jeong-Suk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1 no.1
    • /
    • pp.1-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instructional methods using base-ten blocks in teaching the multiplication of decimal for 5th grade students by analyzing the process of their conceptual comprehension of multiplication of decimal. The students in this study were found to understand various meanings of operations (e.g., repeated addition, bundling, and area) by modeling them with base-ten blocks. They were able to identify the algorithm through the use of base-ten blocks and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calculations by connecting the manipulative activities to each stage of algorithm. The students were also able to determine whether the results of multiplication of decimal might be reasonable using base-ten blocks. This study suggests that appropriate use of base-ten blocks promote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multiplication of decimal.

  • PDF

Safe tunneling method using numerical modeling of rock blocks in long tunnels (장대터널에서의 암반 블록의 수치 모델링을 이용한 터널 안전 시공법)

  • Hwang, Jae-Yu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7 no.2
    • /
    • pp.167-174
    • /
    • 2015
  • Since about 70 percent of the territory is mountainous, more tunnels are constructed in Korea for maximizing the development efficiency.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tunnel construction, safe construction in tunnels has been emerged as the utmost important subject. Recently, the number of long tunnel construction is steeply increased because of the request for high speed and straight road. In this study, a safe tunneling method using numerical modeling of rock blocks in long tunnels is proposed, and then applied to the long tunnel based on real discontinuity information observed in situ. It is possible to detect key blocks all along the tunnel exactly by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program developed for the safe tunneling method using numerical modeling of rock blocks. This computer simulation method with user-friendly interfaces can calculate not only the stability of rock blocks but also the design of supplementary supports.

Improved Block-based Background Modeling Using Adaptive Parameter Estimation (적응적 파라미터 추정을 통한 향상된 블록 기반 배경 모델링)

  • Kim, Hanj-Jun;Lee, Young-Hyun;Song, Tae-Yup;Ku, Bon-Hwa;Ko, Han-Seok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4
    • /
    • pp.73-81
    • /
    • 2011
  • In this paper, an improved block-based background modeling technique using adaptive parameter estimation that judiciously adjusts the number of model histograms at each frame sequence is proposed. The conventional block-based background modeling method has a fixed number of background model histograms, resulting to false negatives when the image sequence has either rapid illumination changes or swiftly moving objects, and to false positives with motionless objects. In addition, the number of optimal model histogram that changes each type of input image must have found manually. We demonstrate the proposed method is promising through representative performance evaluations including the background modeling in an elevator environment that may have situations with rapid illumination changes, moving objects, and motionless objects.

Microprocessor FBD Visualization (마이크로프로세서 FBD 시각화)

  • 이정원;이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36-38
    • /
    • 1999
  • 하드웨어의 제품 사양에는 제품의 특징, FBD(Functional Block Diagram), 핀의 기능 및 배열, 프로그래밍 모드 및 각 블록의 기능 등이 함께 제시된다. 이 때 다른 사양과는 달리 설계 초기 단계부터 설정되는 가장 개념적인 FBD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경우 메모리 인터페이스, 레지스터 파일, 데이터패스, 예외처리기, 각종 제어기, 타이머 등으로 구성된다. FBD의 각 블록들은 여러 명의 설계자들에게 분할되고 이 중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의 대부분의 시간을 소비하게 되는 각종 제어기의 설계는 여러 블록이 공동으로 제어 신호를 공유하게 된다. 이 신호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정확성(correctness)이 결정되므로 제어기예서 각 블록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는 적절할 타이밍에 정확한 값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의 각 블록에 공급하는 제어 신호는 적절한 타이밍에 정확한 값을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FBD를 모델링할 수 있는 시각도구를 제안함으로써 제어 신호에 따른 전체 블록의 유기적인 데이터 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설계초기부터 각 블록들을 설계하는 설계자들간의 공통의 다이어그램인 FBD를 중심으로 설계를 해나감으로써 대화 오류를 감소시키고 제어신호 디버깅을 용이하게 하여 설계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