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브릿지 동작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넓은 출력범위를 갖는 LED 조명을 위한 하프-브릿지 제타 컨버터를 통합한 고효율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

  • Baek, Jae-Il;Lee, Jae-Beom;Kim, Jae-Guk;Mun, Geon-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203-204
    • /
    • 2014
  • 본 논문은 넓은 출력범위를 갖는 LED 조명을 위한 하프-브릿지 제타 컨버터를 통합한 고효율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넓은 출력 범위에서 기존의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는 낮은 시비율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영전압 스위칭이 어려워 전 출력 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획득하기 어렵다. 또한, 하프-브릿지 LLC 컨버터는 넓은 영전압 스위칭 범위를 갖지만 큰 코어 손실로 높은 효율을 획득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의 스너버 다이오드를 스위치로 변경한 새로운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낮은 출력범위에서는 스너버 스위치를 꺼서 기존의 비대칭 하프-브릿지로 동작시키며, 높은 출력 범위에서는 스너버 스위치를 켜서 하프-브릿지 제타 컨버터로 동작시켜 전 출력 범위에서 고효율을 달성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Sensor of the State of Circuit Breaker Operating Coil (차단기동작코일 단선유무 감지센서 개발에 관한 연구)

  • Yoon Jong Beom;Choi Jang Geon;Lee Jae 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summer
    • /
    • pp.616-618
    • /
    • 2004
  • 본 발명은 전기설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차단기의 동작코일 단선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조계전기, 브릿지회로, 전압분배회로 및 출력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차단기동작코일에 동작코일의 저항값보다 충분히 큰 저항를 병렬로 연결하고, 이 병렬회로를 브릿지회로의 한변으로 이용하며, 전압분배회로를 설계하여 동 브릿지회로의 전원공급용으로 사용한다. 차단기동작코일이 정상상태일 경우에는 브릿지 회로의 출력단자에는 전압이 발생하지 않아 발광다이오우드(LED)가 동작하지 않고, 단선될 경우에는 브리릿지회로의 출력단자에 전압이 발생하여 발광다이오우드가 점둥되게 함으로써 차단기 운영의 신뢰성을 높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Analysis of DC-DC Phase-Shifted Full-Bridge Converter in Light Load Condition (경부하에서 위상천이 풀브릿지 DC-DC 컨버터의 동작 분석)

  • Lee, Sunho;Park, J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430-431
    • /
    • 2018
  • DC-DC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는 경부하 운용시에 영전압 스위칭이 발생하지 않아 큰 스위칭손실이 발생한다. 경부하에서 위상천이 풀브릿지 컨버터의 낮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DCM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동작을 이용한다. 본 논문은 경부하에서 위상천이 컨버터의 DCM과 CCM (Continuous Conduction Mode) 동작의 특성 및 도통 손실 절감을 위한 동기 정류기의 제어 방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경 부하 효율 향상을 위한 하프-브릿지 LLC 컨버터를 이용한 PFM 하프-브릿지 컨버터

  • Lee, Jae-Beom;Kim, Jae-Guk;Kim, Jae-Hyeon;Mun, Geon-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185-186
    • /
    • 2014
  • 출력 인덕터를 갖는 다양한 하프-브릿지 컨버터들은 높은 출력 전류를 갖는 medium-power에서 좋은 성능을 갖는다. 하지만, 그것들은 공통적으로 출력 인덕터에 의해 발생하는 스위치 턴-오프 손실과 스너버 손실로 인하여 낮은 경 부하 효율을 나타낸다. 이러한 기존의 하프-브릿지 컨버터들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추가적인 스위치와 커패시터를 2차 측에 삽입하는 새로운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 된 회로는 경 부하 시에 추가적인 스위치를 끔으로써 below 동작을 갖는 하프-브릿지 LLC 컨버터로 동작하기 때문에, 턴-오프 손실과 스너버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넓은 영전압 스위칭 범위를 갖기 때문에 높은 경 부하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 PDF

Wide-Range ZVS Asymmetric Half-Bridge Converter with Small DC Offset Current (넓은 영전압 스위칭 범위와 작은 DC 오프셋 전류를 가지는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

  • Park, Moo-Hyun;Yeon, Cheol-O;Choi, Jae-Won;Moon, Gun-Wo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137-13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넓은 영전압 스위칭 범위와 작은 DC 오프셋 전류를 가지는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한다. 기존의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는 설계 시 홀드업 시간 만족을 위하여 정상 상태에서 극심한 비대칭 동작을 하게 된다. 이는 변압기의 큰 DC 오프셋 전류, 비대칭 전류 스트레스 등의 문제를 야기하며 이로 인하여 전반적인 변환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컨버터는 정상 상태에서 비대칭 동작을 최소화하고 낮은 입력전압에서 추가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커뮤테이션 구간을 줄여 전압이득을 높인다. 또한 추가 인덕턴스를 사용하여 영전압 스위칭 에너지를 키우고 추가 스위치의 내부 바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2차측 정류단의 전압 스트레스를 줄인다. 이를 통하여 높은 효율을 가지면서 작은 DC 오프셋 전류를 가지는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를 제안하였으며, 500W의 프로토타입 컨버터를 제작하고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 PDF

Single-phase inverter with bridgeless boost converter (브릿지리스 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한 단상 인버터)

  • Kim, Tae-Hun;Lee, Woo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170-171
    • /
    • 2017
  • 본 논문은 브릿지리스 부스트 PFC 컨버터를 사용한 저용량 단상 단방향 인버터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단상 PFC 인버터 시스템의 고효율화를 위해 브릿지리스 부스트 컨버터를 사용하였고 브릿지리스 부스트 컨버터의 CRM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제어기를 브릿지리스 부스트 PFC 인버터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ody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the Prop and Different Foot Stability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필라테스 브릿지 동작 시 소도구와 발의 불안정성 차이에 따른 신체 근육의 근활성도 비교 분석)

  • Kim, You-Sin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3
    • /
    • pp.720-726
    • /
    • 202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muscle EMGs according to the prop and different foot stability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Eighteen adult males(age, 22.3±2.1 years; height, 173.89±4.51 cm; body mass, 72.61±4.13 kg; and BMI, 24.03±1.31 kg/m2)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The Pilates bridge was composed of a total of 9 motions, according to the props (NP, no prop; RG, ring; GB, gym ball) and different foot stability (BS, basic surface; FR, form roller; BOSU, both sides up). We measured the right's muscle activities of the upper rectus abdominis, lower abdominal stabilizers, external oblique, adductor longus, rectus femoris, vastus lateralis, tibialis anterior, and biceps femori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the use of GB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activating the body muscle. And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the use of BOSU was found to be most high in activating the body muscle as well. To summarize the research findings, the use of GB and BOSU during Pilates bridge motion were discovered to enormous affect muscle activiti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ble to present efficient Pilates bridge exercises for strengthening physical strength.

Design of Non-Dissipative Snubber for Current-Fed Half-bridge Converter Operating at Duty Ratio above 0.5 (0.5보다 큰 시비율로 동작하는 전류원 하프-브릿지 컨버터의 무손실 스너버 설계)

  • 강정일;한상규;윤현기;김정은;윤명중;김윤호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7 no.5
    • /
    • pp.405-412
    • /
    • 2002
  • Since the switching device of current-fed bridge-type topology suffers from him-off voltage spikes associated with larger energy than that of voltage-fed topology, a high-efficiency non-dissipative snubber is considered essential. However, the complicated operation and the capricious performance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make the design of the non-dissipative difficult. In this paper, the non-dissipative snubber employed in the current-fed half-bridge converter operating at a duty ratio above 0.5 is completely analyzed and the design considerations are discussed. Some design example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provided to confirm the analysis and design presented in this paper.

The Study on the Power Cell Operation for H-Bridge Multi-level Inverter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 개별 전력 셀 동작에 관한 연구)

  • Kim, Bong-Suck;Lim, Ik-Hun;Lee, Joo-Hyun;Ryu, Ho-Seon;Park, 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10d
    • /
    • pp.182-18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고압전동기를 직접 드라이브 할 수 있는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의 개별 전력 셀의 동작원리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는 여러 개의 단상 Power Cell을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저전압 전력용 반도체를 사용하여 고전압을 얻을 수 있고, 정현파에 가까운 출력전압 파형을 얻을 수 있는 멀티레벨 인버터 토폴로지이다. 480V, 180kVA H-브릿지 멀티레벨 인버터를 제작하고 V/F제어, 벡터제어, 센서리스 벡터제어 이론을 적용하여 인버터 출력전압 레벨이 여러 단계이며 dv/dt가 적으며 입력단 THD를 크게 낮출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Optimized Asymmetrical Half-Brdige Converter to Multiple Output (다중출력에 적합한 비대칭 하프브릿지 컨버터)

  • Hyun B.C.;Kim W.S.;Chae S.Y.;Agarwal P.;Cho B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119-121
    • /
    • 2006
  • 본 논문은 중 전력, 고 입력 전압응용에서 많이 이용되는 비대칭 하프브릿지 PWM DC-DC 컨버터의 다중 출력 구성을 위한 최적의 설계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기본 PWM에서 부하에 따른 연속전류동작모드(CCM)의 구간을 늘여, 제어되는 전원의 부하 변동이 크더라도, 다중출력 되어지는 전원의 정상상태 동작점의 변동이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제어되는 비대칭 하프브릿지(ASHB)의 부하에 따른 시비율 변화가 작아지면 경 부하에서 변압기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줄어들어 다중 출력 되어지는 단의 전체적인 전압 스트레스가 감소한다. 또한 제안된 방식의 비대칭 하프브릿지 회로는 기존의 1차 측 전류 비대칭성을 보상하여 보다 넓은 부하 영역에서 영전압 스위칭이 가능하며 스위칭 손실과 이에 의한 EMI가 감소하게 된다. 제안된 방식은 기존 하드웨어와 비교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