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이미지

검색결과 824건 처리시간 0.026초

항공사 서비스품질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항공사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s of Service Quality on Brand Image and Brand Attitude)

  • 박혜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74-386
    • /
    • 2016
  • 본 연구는 나날이 다양화 되어 가는 항공사들을 대상으로 항공사의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태도 그리고 재이용 의도와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공사의 서비스품질은 유형적인서비스, 무형적 서비스, 인적서비스인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파악하였으며, 고객들이 갖게 되는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러한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태도가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갖게 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항공사의 유형(FSC와 LCC)에 따른 이용객의 인식하는 유형적 무형적서비스,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 재이용의도의 차이와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 서비스품질과 브랜드 태도의 관계에서 항공사 유형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항공사의 서비스품질 중 유형적서비스, 무형적서비스, 인적서비스는 브랜드이미지, 브랜드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태도 또한 재이용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공사의 서비스품질은 인적요소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품질과 브랜드이미지, 서비스품질과 브랜드 태도의 관계에서 항공사 유형은 순수 조절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의 결과, 항공사 유형에 따라 승객들은 항공사를 선택할 때 항공사의 서비스품질 뿐만 아니라 자신의 경험과 구전, 인지된 이미지에 대한 정보 등을 통해 형성된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태도가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항공사마다 차별화 되고 개성 있는 서비스전략을 고안해 낼 필요가 요구되며, 항공사 인적자원을 위한 선발, 관리, 교육훈련이 매우 중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브랜드자산에 대한 국가이미지 및 기업이미지의 영향에 연구 -중국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브랜드 및 중국 브랜드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nfluences of National Image and Corporate Image on Brand Equity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Chinese brands and Global brands-)

  • 김문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1호
    • /
    • pp.187-209
    • /
    • 2011
  • 본 연구는 중국 자국 브랜드를 포함하여 중국에 진출한 브랜드의 국가이미지 및 기업이미지를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 그리고 나아가 브랜드이미지 및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제시하여 그 역할을 검증하였는데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국가이미지는 지각된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광고 등의 다른 촉진요인과 더불어 영향요인으로 충분히 작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국가마케팅 차원에서 정부는 앞으로 중국국민들에게 상당부분의 좋은 국가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한 홍보나 광고 활동들을 체계적으로 추구해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기업이미지 중에서 특히 기업의 제조능력을 중심으로 해당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이미지에의 영향요인을 검증하였다. 결국, 기업이미지는 소비자들의 브랜드에 대한 지각된품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중국에서 한국기업들의 기업이미지 중심전략은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브랜드자산 형성에 있어서 국가이미지, 기업이미지 등의 변수가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을 높이고 브랜드이미지를 향상시켜 브랜드의 충성도를 고양할 수 있게 되고 결국 브랜드자산이 높아지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PDF

우수축산물브랜드 분석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 선종아;장석주;박노국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45-64
    • /
    • 2009
  • 국내시장의 개방화 추세에 의해 해외 농축산물 수입이 급증하고 소비자의 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의 형태가 품질우선으로 바뀌고 있다. 개별농가 및 정부. 지자체에서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농축산물의 브랜드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지속적으로 브랜드 난립, 브랜드화 및 마케팅 전략 부재 등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다. 이에, 우수축산물을 실태를 분석하여 브랜드 마케팅 전략수립을 위한 브랜드 네이밍, 브랜드 디자인 등 브랜드 이미지개발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보았다. 이는 기존의 주요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이미지 개발전략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앞으로 공동브랜드 개발주체에게 브랜드화와 브랜드 이미지 개발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이미지 일치성 관점에서 본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의 선행 변수들 (Antecedents of Attitudes Toward Private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Image Congruence)

  • 이동대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8권1호
    • /
    • pp.21-46
    • /
    • 2003
  • 유통업체 브랜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많이 진행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을 이미지 일치성 관점에서 파악하고 있다. 즉, 유통업체 브랜드와 소비자 간의 이미지 일치성, 점포와 유통업체 브랜드로 사용되는 제품군 간의 이미지 일치성, 점포와 소비자 간의 이미지 일치성 등 세 가지 종류의 이미지 일치성을 중심으로 이들이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하며 상호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 자신과 유통업체 브랜드 간의 이미지 일치성은 세 가지 이미지 일치성 중에서 유통업체 브랜드에 대한 태도 형성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와 제품군 간의 이미지 일치성도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점포와 소비자 간의 이미지 일치성이 유통업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가설과는 반대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해석도 제공되고 있다.

  • PDF

트랜스미디어 경험이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박카스 셀프스캐너 사례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rans Media Experience on Brand Image,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김신엽;권승경;백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43-653
    • /
    • 2017
  •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의 관점에서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트랜스미디어 경험이란 여러 매체를 넘나들며 자신이 필요한 콘텐츠를 향유하는 행동을 말하는데 현재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에 따라 다양한 브랜드 경험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인 트랜스미디어 사례인 박카스 셀프 스캐너 체험자 119명을 대상으로 Smart PL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브랜드 경험은 브랜드 선호도와 브랜드 이미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브랜드 선호도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선호도의 매개적 효과뿐만 아니라 직접 효과로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향후 브랜드 경험과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이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 (Online Brand Loyalty and the Congruence between Online Brand Personality and Actual Self-Image)

  • 왕샤오우;이홍일;박철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9-284
    • /
    • 2010
  • 최근 온라인 브랜드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으나 온라인 영역에서 브랜드 개성(Brand Personality)과 로열티(Brand Loyalty)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온라인 영역에서의 개성과 자아이미지(Self-Image) 그리고 로열티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절대차이모델(Absolute Difference Model)을 적용하여 온라인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 지수를 도출하고, 온라인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개성의 진실, 최신, 유능성 차원이 온라인 브랜드 로열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브랜드의 로열티를 높이기 위해서 는 자아이미지와 브랜드 개성 차원이 일치하는 타겟집단의 선정과 브랜드 이미지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브랜드 개성을 활용한 온라인 브랜드 차별화 전략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 PDF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elf-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Brand)

  • 박주영;최인혁;장경숙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3권2호
    • /
    • pp.92-114
    • /
    • 2001
  • 최근 들어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들의 마음속에 지각된 브랜드를 차별화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랜드 개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의 자아표현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브랜드 개성이 소비자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자아이미지와의 일치성과 관련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소비자들은 브랜드의 개성이 자신의 이미지와 일치할 때 해당 브랜드에 더욱 호감을 갖고 있었다. 특히, 제품에 대해 상징적 가치를 높게 지각하고 있는 헤도닉 태도가 높은 소비자의 경우에는 브랜드 개성과의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나, 헤도닉 태도가 낮은 소비자의 경우는 브랜드 개성과 자아이미지의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 형성에 중요하게 고려되지 못하였다.

  • PDF

대학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 구성요인 분석 (Understanding the Elements of Academic Library Brand Image: Based on Key Branding Concepts)

  • 박상근;박주석;조현양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96-320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측정을 위한 연구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도서관 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차원을 기능적 이미지, 경험적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의 3개의 차원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총 11개의 하부차원과 45개의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구분된 항목을 대상으로 IRT(item response test)와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3개의 차원과 9개의 하부차원 그리고 27개의 항목이 도서관의 브랜드 이미지 영향요소로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sumers' Psychological Responses to Product Design on Brand Image and Brand Equity)

  • 나광진;권민택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653-667
    • /
    • 2008
  • 디자인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적 반응과 관련된 연구는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제품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제품디자인에 대한 반응과 브랜드 이미지나 브랜드 자산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매우 제한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제품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심리적 반응을 통해 형성되는 디자인 이미지가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자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두 가지 제품 범주(효용제품과 상징제품)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두 가지 제품 범주 모두에서 제품 디자인 이미지는 브랜드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징적 제품에서 디자인 이미지가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효용 제품의 경우에는 제품 디자인 이미지가 브랜드 자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제품군 모두에서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자산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 비교 (The comparison of emotional brand image of the domestic mobile phones)

  • 정상훈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493-500
    • /
    • 2010
  •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로 인해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기 위해 다양한 차별화 전략을 고심하고 있다. 제품의 아이덴티티나 브랜드 이미지 또한 이러한 차별화 전략 중의 하나로 제품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주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에게 형성된 브랜드 이미지 중에서 제품을 사용하면서 형성된 감성적인 이미지를 브랜드 감성 이미지라고 정의하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여섯 가지 대표감성을 평가하여 국내 대표 휴대폰 브랜드 세 개(A브랜드, C브랜드, S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비교해 보았다. 휴대폰을 실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휴대폰을 사용하면서 느꼈던 감성을 평가해 봄으로써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이미지, 특히 감성적인 측면에서의 이미지를 평가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성급하게 국내 휴대폰 브랜드의 감성 이미지를 규명하기에는 다소 미흡하지만 향후 연령대, 직업, 성비 등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보다 명확한 브랜드 감성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