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브랜드 마케팅

Search Result 77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브랜드자산 강화요인의 영향성에 관한 연구

  • Gang, Seok-J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5
    • /
    • pp.145-170
    • /
    • 2000
  • 브랜드는 단순히 출처를 표시하고 품질을 보증하며 나아가 광고선전을 담당하는 기능을 하는 도구가 아니라 이를 바탕으로 기업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자산으로 부각되고 있다. 기업은 마케팅 활동을 통해 브랜드 이미지를 개발하고 소비자의 태도를 변화시키며, 자사의 브랜드자산을 증가시켜 브랜드의 시장성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장에 대한 진입 장벽 효과를 갖게 하고, 브랜드 탄력성을 높이는 등 전략적 가치를 보장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업에 있어서 새로운 마케팅 전략의 수단으로 브랜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자사의 기업가치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강력한 브랜드자산을 창출하는데 전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브랜드자산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충성도, 지각된 품질, 브랜드 연상, 광고효과의 역할은 현재와 같은 글로벌 경쟁 시장상황에서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본다. 특히 인터넷의 등장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화시대에 있어서 광고의 역할이 많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충성도, 지각된 품질, 브랜드연상, 광고효과가 브랜드자산 강화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중형승용차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현대의 소나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식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브랜드자산을 강화시키는 요인에 대한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브랜드자산에 대한 마케팅에 있어서 전략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들은 자사의 브랜드인지도를 높여서 소비자의 마음속에 자사의 브랜드가 장기간 기억될 수 있도록 브랜드인지도에 대한 전략적인 관리가 요망된다. 둘째, 소비자들이 자사의 브랜드가 경쟁브랜드보다 더 강력한 연상이 형성되도록 집중적인 마케팅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제품품질을 향상시켜 소비자들의 지각된 품질수준을 높이는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주로 단기간 작용하는 광고의 긍정적 효과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광고의 실행이 요망된다. 끝으로, 분석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브랜드충성도가 브랜드자산 강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마케팅관리자는 마케팅조사를 통해 브랜드충성도의 변화를 추적하고, 자사 제품에 대한 반복구매 및 브랜드태도의 측정을 함께 실시하여 더 높은 브랜드충성도를 소비자들이 가질 수 있도록 전략적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브랜드충성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연상, 지각된 품질, 광고효과, 브랜드인지도 순으로 모두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브랜드자산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5가지 요인들에 대해 체계적이고 보다 세밀한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브랜드자산가치의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Yong-Man;Gang, Seok-Jeo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4
    • /
    • pp.53-86
    • /
    • 1999
  • 오늘날 기업간 M & A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브랜드 자산가치에 대한 연구는 학계와 실무계에 있어 커다란 관심이 집중되면서 브랜드의 역할에 대해서 다양한 새로운 관점이 제시되고 있다. 브랜드 자산가치와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평가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 와서 브랜드 자산가치의 중요성이 부각됨으로써 브랜드 자산가치의 형성에 대한 영향요인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하지만 이틀 연구의 대부분은 제품 품질과 광고톨 중심으로 한 기업의 통제 변수인 마케팅믹스-4P(product, price, place, promotion)-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기술혁신에 힘입어 규모의 경제성이나 경험효과에 의한 비용 우위는 거의 기대될 수 없게 되었고, 품질에서도 기업간의 격차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그러고 막대한 비용의 문제로 인하여 매스미디어등의 광고를 통한 브랜드 자산가치의 형성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오늘의 국내의 기업현실을 감안하면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고객만족 실현를 위한 핵심개념인 내부마케팅과 다양한 소비자 욕구에 있어 신속히 대응하는 브랜드 수의 증가를 브랜드 자산가치의 형성에 대한 새로운 영향요인으로 선정하여 마케팅믹스 요인과 더불어 이들의 영향성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브랜드 자산가치에 대한 마케팅에 있어서 전략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첫째, 브랜드 자산가치톨 형성 내지 강화하기 위해서는 내부마케팅 요인, 브랜드수의 증가요인, 마케팅믹스 요인중에서 어느 한 요인만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3가지 요인을 동시에 활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노려야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화, 세분화되어 가고 있는 소비자 니즈에 신속히 대용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수의 증가를 통한 마케팅전략으로의 실천이 시의 적절한 방법중 하나라고 판단된다. 둘째,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그동안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소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마케팅믹스적 요인을 주로 다루어 왔는데,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내부마케팅요인과 브랜드수의 증가요인도 브랜드 자산가치의 구성요소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기업들은 이들 요인에 대한 세밀한 검토와 관심이 요구된다. 셋째, 기업들은 향후 브랜드 자산가치를 증대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전략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 PDF

여성화장품 소비자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Yang, Ye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41-164
    • /
    • 2006
  • 오늘날 새로운 마케팅 기법으로서 고객중심적인 체험마케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화장품 소비자의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설문조사는 국내 한 화장품회사의 체험행사에 참여한 여성으로 하였다. 설문은 체험마케팅 참여 전과 후로 나누어 두 차례 동일한 상대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인지도의 향상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 신뢰도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충성도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체험마케팅 행사 참여 후 브랜드이미지도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브랜드 인식을 향상하는데 있어 체험마케팅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 PDF

Brand Value-Up: A Diagnostic Tool for Brand Management (Brand Value-Up: 브랜드 진단 및 관리 모형 정립을 위한 시도)

  • 하영원;전성률;김익태;김기수;홍성민
    • Asia Marketing Journal
    • /
    • v.5 no.4
    • /
    • pp.48-71
    • /
    • 2003
  • 본 논문은 기업들의 점증하는 체계적 브랜드 관리에 대한 필요를 인식하면서 이에 부응하기 위한 하나의 브랜드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전략적인 브랜드 관리는 브랜드자산의 구축, 브랜드자산의 측정과 진단, 브랜드 자산의 관리를 포함한다(Keller 1998). 그러나 이 논문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브랜드 관리 시스템인 Brand Value-Up 은 주로 상표 자산의 측정과 진단에 관한 시스템이다. 이 논문에서 Brand Value-Up 을 제안하기 위해 우선 기존의 대표적인 브랜드 관리 시스템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들의 미비점들을 분석하였으며, 나아가서 기존 시스템들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시스템으로서 Brand Value-Up 을 소개하였다. 또한 Brand Value-Up 은 고객 중심의 브랜드진단 평가모델로서 결과지표 (Awareness Power, Functional Power, Image Power)와 성과지표(Brand Performance)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전략적인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모형으로서 제안하였다. 실제로 주요 국내 브랜드 (21 개 제품 106 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분석을 통해 Brand Value-Up 의 활용 예를 보였으며, 마지막으로 이 시스템이 갖는 마케팅적인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제지업계 브랜드 마케팅

  • Jo, Gap-Jun
    • 프린팅코리아
    • /
    • s.49
    • /
    • pp.80-85
    • /
    • 2006
  • 각 거래처 영업 중심으로 전개되던 제지업계의 마케팅 전략이 최근 브랜드 차별화를 통한 ‘브랜드 마케팅’으로 급격히 선회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마케팅’의 강화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요구받는 제지업계의 변화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징표가 되며 중간재 성격이 강한 종이가 소비재 개념으로 확대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Limited Edition Marketing in Small Brands (소규모 브랜드에서 한정판 마케팅 효과에 관한 연구)

  • Baek, Hyun-Woo;Cho, Han-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3
    • /
    • pp.361-368
    • /
    • 2022
  • According to the lack of specific research on small busines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 limited edition marketing strategy in a small business, whereas many previous studies focused only on large businesses. The test was performed by releasing and selling a limited edition (LE) product of a small brand with annual sales of about $10,000, for a limited time (one week), alongside social network advertising on Instagram. As this strategy resulted in a 10 times increase in sales from the previous year, the author concluded that a limited edition marketing campaign can significantly improve brand awareness and increase sales in a small independent business as well as larger businesses.

마케팅의 새로운 화두 ‘체험과경험’

  • Hwang, Bu-Yeong
    • Digital Contents
    • /
    • no.6 s.157
    • /
    • pp.114-117
    • /
    • 2006
  • 현대마케팅의 특징을 규정짓는 요소는 무엇일까. 최근마케팅의 가장 큰 화두는 무엇일까. 약간의 과장을 보탠다면 ‘브랜드’와 ‘정보화’의 두요소가 모든 마케팅을 규정 짓는다고 할 수있다. 정보의 교환과 소통이 인터넷이라는 혁명적인 도구를 이용해 활발해졌고, 그러한 환경변화는 마케팅의 중심에 있는 브랜드를 육성하는 방법까지도 변화시켰다. 브랜드를 제대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상투적인 마케팅 수단을 벗어나 새롭게 발전된 개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체험마케팅(Experiential Marketing)’과‘ 브랜드화 된 고객 경험(Branded Customer Experience)’이란 개념이 마케팅의 새로운 틀로 부각되고있다.

  • PDF

Effect of Social Media PR Marketing on Corporate Brand Expansion (소셜미디어 홍보마케팅이 기업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

  • Jeon, In-O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8
    • /
    • pp.157-173
    • /
    • 2014
  • In this study, how social media PR marketing affect corporate brand expansion was studied. this study consist of 5 chapters; needs and purposes in 1st, concept& characteristics, development processes, needs of social media and merits&demerits as marketing tool in 2nd. concept& characteristics and merits&demerits of corporate brand expansion in 3rd. examples of social media marketing in domestic&foreign and current statuses in 4th. In final, conclusion of the effect of social media PR marketing on corporate brand expansion were presented in each chapter.

The Effect of Cause Marketing Type (Public-volunteered vs. Corporate-driven) and Brand Authenticity on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of Brand Awareness (자발 참여형 vs. 기업 주도형 공익 마케팅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진정성을 중심으로)

  • Lee, Sinae;Min, Dong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2
    • /
    • pp.255-263
    • /
    • 2017
  • Recently, cause marketing is more focused as one of key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which in turn leads that more companies are interested in cause marketing.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wo different types of cause marketing, named as public-volunteered cause marketing and corporate-driven cause marketing. A field study using an actual brand explored the effect of cause marketing type and brand authenticity on purchase intention toward the target brand. Moreover, we examined the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of brand awareness. As our results showed, the corporate-driven cause marketing had a positive impact both on brand authenticity and purchase intention in the low (vs. high) brand awareness condition. However, the effect of public-volunteered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authenticity did not vary depending on brand awarenes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ause marketing,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ublic-volunteered cause marketing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the corporate-driven cause marketing.

The Impact of Brand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Mix Activities on Brand Performance (브랜드경영시스템과 마케팅믹스활동이 브랜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ho, Byoung-Tak;Lee, Jin-Yong;Park, Seong-Yong;Lee, Jae-Hyung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15 no.2
    • /
    • pp.71-97
    • /
    • 2005
  • Previous studies on brand performance have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topics of how marketing activities influence brand awareness and image only from a perspective of consumers and of how much brand awareness or image is related to brand performances. This study, unlike previous ones, proposes a theoretical framework and analyzes empirical data from a perspective of firms. We extend previous work by conside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brand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mix activities on the relation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performanc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performance using a data set of marketing or brand managers in 1000 firms. The results show that firms possessing higher levels of brand management system, marketing mix, market orientation exhibit superior brand performance. Besides, brand management system and marketing mix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brand performance. This study also offer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e current find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