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브랜드 공간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4초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이 만족도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F1963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the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on Satisfaction Levels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F1963 as a Subject)

  • 이찬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41-352
    • /
    • 2019
  • 최근 지역적으로 문화 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문화예술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 또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에 소재하는 F1963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식, 브랜드 품질에 대한 자각, 충성도 4가지 브랜드 자산 요인이 고객의 만족도와 지역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이 매개 효과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이용객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이 있었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지역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나타났다. 이용객들이 복합문화공간에서 얻은 만족감은 복합문화공간 자체가 가지는 브랜드 자산이 지역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 효과를 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복합문화공간이 지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면서 지역사회 및 지자체에서는 문화예술 활동의 다양성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화를 할 필요가 있다.

기업박물관의 브랜드 접점 활용연구 : 브랜드 시장주도와 소비자 인사이트 관점에서 (A Study of Utilizing Brand Touch Point of Corporate Museum : In terms of the Market-Driving Brand and Consumer Insight)

  • 김은정;장동련;홍성민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163-178
    • /
    • 2007
  • 최근 브랜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소비자들의 감성적 문화적 욕구가 증가하면서 기업들은 문화를 이용한 메세나의 지원이나 사회 환원 등을 통하여 긍정적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그 일환으로 브랜드 서비스공간들을 만들어 소비자들에게 문화공간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브랜드 서비스공간들은 소비자들에게 별다른 감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치열한 브랜드의 경쟁 속에서 파워 브랜드가 되기 위해서는 브랜드 이미지를 높임과 동시에 브랜드를 하나의 문화, 더 나아가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게 해야 한다. 브랜드를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게 하기 위해서는 신제품이나 신시장의 창출로 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펼쳐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와의 접점을 통해 소비자들의 내면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든 요소들을 한꺼번에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기업박물관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업은 박물관이라는 통로를 통해 기업의 역사를 되돌아봄으로써 미래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문화브랜드로도 거듭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박물관이 소비자에게는 단순한 브랜드 공간이 아닌 문화, 교육의 공간이 되고, 기업에게는 긍정적 기업이미지를 제고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가 만나는 접점 공간으로써 소비자들의 내면의 욕구를 파악하고, 반응을 관찰하는 공간으로 브랜드 시장 주도전략으로의 활용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효율적 사무공간 활용을 위한 브랜드확장 전략 -스타벅스를 중심으로- (Brand extension strategies for Efficient utilization on office space -A Study on Brand extension of Starbucks-)

  • 박정훈;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99-304
    • /
    • 2018
  • 본 연구는 고객들이 가장 선호적인 커피 브랜드인 스타벅스를 대상으로 효율적 사무공간 서비스를 통하여 브랜드 확장을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직장인의 업무 중 원거리로 출장이 잦으면 일반적인 호텔에서 지내는 것보다 업무를 보기 편리한 사무 최적화한 공간이 더욱 효율적이다. 회의실, 프레젠테이션 공간, 사무용품 등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개인적인 업무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침 공간을 마련하여 원하는 만큼 머무를 수 있는 스타벅스 커피 브랜드 확장으로서 새로운 개념의 '커피스텔(coffeestel)'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유 서비스, 공유 공간 등 효율적인 사무 공간 활용 방법을 전달하고자 하며, 하나의 브랜드가 패션 브랜드 외에 다양한 브랜드로 확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리테일 브랜딩의 공간 마케팅 사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marketing of Retail Branding)

  • 오정아;이현수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20
    • /
    • 2008
  • 리테일 브랜딩은 자사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소비자가 직접 체험하고 교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 마케팅 전략이다. 각 기업들은 광고 등을 통한 단순한 브랜드의 이미지 주입보다는 리테일 브랜딩 공간 제공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리테일 브랜딩이 적용한 사례의 분석을 통해 리테일 브랜딩 공간 유형을 도출하여 리테일 브랜딩 공간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공동주택 조경 관리요인이 공동주택 주거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ndscape Management Elements in Apartments on Their Housing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 최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245-257
    • /
    • 2021
  •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조경 관리요인이 거주민의 주거만족도와 공동주택의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711명을 대상으로 2021년 4월 5일부터 2021년 4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 조경 관리요인인 녹지공간, 놀이공간, 휴게공간, 수경시설의 조경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주거만족도는 높아진다. 둘째, 공동주택의 조경 관리요인인 녹지공간, 놀이공간, 휴게공간의 조경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브랜드 충성도는 높아진다. 셋째, 공동 주택의 주거만족도 수준이 높을수록 브랜드 충성도는 높아진다. 넷째, 공동주택의 조경 관리요인인 녹지공간, 놀이공간, 휴게공간, 수경시설은 모두 주거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수요자의 주거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조경 관리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아파트 관리자 및 공급자에게 유용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Loyalty in Franchise Coffee Shops: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Image)

  • 유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85-80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브랜드 이미지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스케이프 중 심미성, 청결성, 쾌적성 요인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미성, 청결성, 쾌적성, 공간성 요인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쾌적성과 공간성 요인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만족과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객만족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서비스스케이프와 고객만족, 서비스스케이프와 브랜드 충성도 사이에서 브랜드 이미지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식레스토랑의 서비스스케이프, 브랜드명성 및 체험유형이 브랜드태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icescape, Brand Reputation and Experiences on Brand Attitude and Loyalty in Korean Restaurants)

  • 이나래;하동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73-193
    • /
    • 2013
  • 본 연구는 한식레스토랑의 서비스스케이프요인(공간성, 편의성, 심미성, 쾌적성, 청결성), 브랜드 명성 및 체험유형(감성, 인지, 행동, 관계)이 방문객의 브랜드태도의 감정과 인지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브랜드태도의 감정, 인지요인과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총 353부의 설문지를 통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간성, 심미성과 쾌적성이 브랜드태도의 감정반응에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으며, 편의성과 청결성은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브랜드명성은 브랜드태도의 감정반응과 인지반응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로 브랜드태도의 감정반응과 인지반응은 체험유형의 감성, 인지, 행동, 관계요인에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태도의 인지반응은 충성도에 긍정적인 결과는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식레스토랑의 마케터들에게 서비스스케이프와 브랜드명성, 체험유형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려주며 브랜드 태도와 충성도에 있어도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임을 시사하였다.

  • PDF

메타버스와 오프라인 스토어의 브랜드 체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rand Experiences of Metaverse and Offline Stores)

  • 이광호;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26권2호
    • /
    • pp.53-66
    • /
    • 2023
  • 최근 패션 브랜드들이 사용자들의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자사의 브랜드 접점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와 오프라인 스토어에서의 브랜드 체험을 비교하고자 한다. 패션 브랜드 젠틀몬스터의 오프라인 스토어과 이를 메타버스 공간에 그대로 재현한 제페토(ZEPETO) 스토어의 브랜드 체험을 비교하였다. 실험 참가자 집단을 메타버스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집단과 오프라인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집단으로 구분하여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1) 전체 체험 반응에서 감성 보다는 새로운 정보에 반응하는 감각 체험이 주를 이루었다; (2) 메타버스보다는 제품을 직접 만지고 체험할 수 있는 오프라인 스토어에서 체험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3) 네 가지의 테마공간 유형 중에서는 제품 공간에서 가장 많은 체험 반응이 나타났다; (4) 오프라인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두 번째 그룹보다 메타버스 스토어 체험이 선행된 첫 번째 그룹에서 보다 활발한 체험 반응이 일어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가상공간에서의 메타버스 브랜드 스토어가 현실 공간의 시공간적 제약을 뛰어넘은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스토어의 경험을 더욱 의미 있고 풍부하게 만들어 주는 전략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세미나 - PB의 브랜드.패키지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and and package design for private brand)

  • 정성환
    • 월간포장계
    • /
    • 통권248호
    • /
    • pp.94-104
    • /
    • 2013
  •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는 학문적, 사회적 발전을 위한 연구, 학술 단체로서 국가와 기업의 효과적 브랜드 구축을 위한 연구와 학술발표 및 사회현장에서의 브랜드 및 브랜드디자인의 실질적 사례발굴과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제27호에 게제된 내용이다. 연구 목적은 온 오프라인을 막론하고 많은 유통업체에서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PB브랜드, 상품, 패키지의 변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대형 마트, 대형 마트의 전체 매출의 75%를 차지하고 3대 대형 마트의 그로서리(Grocery) 제품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 자료 등을 연구 분석하고 PB브랜드 패키지 디자인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고 결론에 도달하였다. 연구를 통해 PB가 변화하고 있는 유통환경, 소비환경, 소비자의 의식에서 대응하고 PB의 순기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브랜드 제품 패키지 디자인의 큰 변화의 요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PB가 가격 할인이라는 경쟁력만으로 강력한 NB들과 자사의 한정된 유통공간에서 경쟁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PB가 가지고 있는 한계는 대부분 관여도가 낮은 Me-too 제품으로 저렴한 가격을 유지해야 하며 적극적인 프로모션 활동에 제한이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PB브랜드는 다양한 상품군을 제품의 속성, 가격 등을 중심으로 한 네이밍과 레터마트로 디자인되어 있으며 NB브랜드에 비해 전략적인 부분에서 많은 차이가 있었다. PB는 프리미엄 브랜드로의 필연적으로 확장되어야 하는데 반해 브랜드 전략에 한계가 있음도 확인하여 PB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은 전략적이고, 차별화된 메시지와 정보, 확장성을 고려한 디자인과 특정한 방법으로 제한된 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선행 연구 자료를 통한 연구와 주관적인 제언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