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뷰어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4초

질환별 의료영상정보 뷰어 매칭 시스템의 구축 (Construction of Medical Image Information Viewer-Matching System Based by Diseases)

  • 노시형;함규성;정창원;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7-47
    • /
    • 2019
  • 본 논문은 의료진에게 영상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어, 환자의 질병정보와 의료영상뷰어를 매칭 지원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현재 상용화된 의료영상정보시스템들은 대부분 하나의 뷰어로 다양한 질환들의 영상정보들을 제공하거나 호환성이 없는 벤더사의 전용뷰어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질환별로 선택이 가능한 전용뷰어들을 통합한 의료영상정보 뷰어 매칭 시스템, 즉 질환별 뷰어 매칭을 위해 의료영상정보 표준인 DICOM 파일 내부에 메타데이터로 저장되는 태그정보에서 추출한 질환 정보를 기반으로 의료영상 전용뷰어들을 매칭하고, 매칭된 뷰어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 시스템으로부터 의료영상정보의 검색서비스를 통해 수행성능을 분석하고, 다양한 뷰어들과의 호환 및 뷰어제어가 가능함을 보였다.

모바일 플랫폼상의 X-File Viewer (X-File Viewer on a Mobile Platform)

  • 하경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1-7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모바일 플랫폼 환경에서 실행이 가능한 모바일 문서 뷰어를 제안한다. 제안한 문서 뷰어는 자체 파일분석을 통한 파일 decoding 엔진과 독립적인 모듈로 동작하는 엔진으로 OS에 따라 유연하게 장착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 또한 제안된 뷰어에서는 문서파일의 특정을 분석하여 문서파일의 editing tool들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스마트폰에 특화된 감성 뷰어와 디지털 만화 저작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gital Cartoon Authoring Tool with Specialized Emotion Viewer in Smart Phone)

  • 고희창;민현기;조재훈;조은애;이세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87-90
    • /
    • 2010
  • 최근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큰 화면과 터치 기능은 물론 GPS를 포함한 다양한 센서와 표현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스마트폰이 제공하고 있는 풍부한 표현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작가의 의도가 독자에게 최대한 전달될 수 있는 디지털 만화 감성 뷰어와 그 저작도구에 대하여 연구하고 구현하였다. 스마트폰에 탑재된 뷰어에서 독자는 각 Cut의 장면 전환 효과, 진동, 사운드 효과 등을 통하여 효과적인 디지털 만화읽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기능들을 컴퓨터 비전문가인 만화저작자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저작도구를 구현하였다. 저작도구는 이러한 감성표현 기능 외에도 화면전환 효과와 씬플로우(scene-flow)도 작가의 의도대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뷰어는 Apple, Android, Windows Mobile과 Symbian 운영체제에 대해 개발하였으며, 저작도구는 Windows XP 환경에서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뷰어와 저작도구가 상용화되면 현재 일본제품이 독점하고 있는 국내 이동통신의 디지털 만화 시장에 적용될 것이며, 디지털 만화의 앱스토어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VR 환경에 최적화 된 문서 뷰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ocument viewer optimized for VR environment)

  • 주용호;김상목;조옥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39-145
    • /
    • 2021
  •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VR 환경에서 문서 뷰어가 본격적인 연구·개발과 상용화의 필요성이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사용만족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VR 콘텐츠는 사실적인 3D 그래픽과 360도 비디오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감각적인 경험과 몰입을 제공한다. 이러한 개념을 PDF나 PPT, Word, CAD 등의 문서를 보는 시스템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VR 문서뷰어 프로토 타입을 개발 및 테스트하였다. 사용자의 신체 인터랙션에 따라, 시야의 방향에 따라 인터랙티브한 뷰 환경을 제공하는 뷰어로써 작용할 수 있으며, 뷰어를 이용할 시 사용자의 높은 몰입도와 집중도를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이 VR 문서뷰어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개발된 프로토 타입을 100명의 VR 경험자 및 디바이스 소유자들로 이루어진 테스트 군에 하루에 약 1시간, 3일 동안 테스트를 진행한 후 고정선택 질문의 형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VR에 최적화된 시스템으로 개발한다면 문서뷰어를 통해 볼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2D와 3D를 아우르는 뷰어 환경을 제공하여 기존의 문서뷰어를 뛰어넘는 새로운 시스템으로 사용자를 만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했다. 문서 뷰어에서 중요한 것은 사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의도와 관련된 집중도이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 환경에 맞는 문서 뷰어의 프로토 타입 연구로써, 문서를 읽을 시 몰입감을 이끌어내고 시각적인 피로도와 문서의 시각적 인지에 효과적인 새로운 문서 뷰어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3차원 웹브라우저 사이버 뷰어의 개발

  • 김현수;심원도;이재기;최형림
    • 한국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기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정보통신 기술의 활용
    • /
    • pp.321-326
    • /
    • 1997
  • 본 논문은 3차원 그래픽 환경을 인터넷상에서 지원해 주는 VRML 2.0 명세를 이용 하여 만들어진 VRML 코드를 Parsing하여 화면에 3차원으로 브라우징 하는 웹브라우저인 사이버 뷰어 개발에 관한 것으로써,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3차원 그래픽 라이브러리인 Direct 3D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사이버 뷰어는 3차원 인터페이스 상에서 간단한 마우스 조작으로, 카메라 시점을 조정하여 Walking, Driving, Flying 등의 Navigation을 지원한다. 또한, Route와 Interpolation 기능을 통하여 각 객체들에 대한 병렬적인 이벤트 처리를 통하 여 실시간 대화형의 환경을 제공해준다.

  • PDF

PDB 한글 뷰어 (PDB Korean Viewer)

  • 구형서;주영준;박양수;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3)
    • /
    • pp.373-375
    • /
    • 2002
  • 단백질의 3차 구조를 보여주는 다양한 뷰어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PDB(Protein Data Bank) 파일을 분석하여 단백질의 3차 구조를 보여주는 PDB 한글 뷰어단백질의 기능은 3차 구조(tertiary structure)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단백질의 3차 구조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단백질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의 3차 구조를 보여주는 도구가 필수적이며, 현재 단백질의 3차원 구조정보를 바탕으로 에 대해 기술한다. PDB 한글 뷰어는 기존 뷰어의 스테레오뷰(stereo view) 기능을 보완하여한 단백질의 2가지 구조를 동시에 보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아미노산 원자들에 대한 분석 기능과 PDB 데이터의 이해를 돕는 도움말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단백질의 3차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 PDF

Picircle - 새로운 이미지뷰어인터페이스디자인 제안 (Picircle - New Image Viewer Interface Design)

  • 한윤정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83-88
    • /
    • 2006
  • 우리가 사용하는 이미지뷰어프로그램은 정보전달에만 치중되어 있고 감성적인 부분이 차지하는 바가 적다. 또한 사람들에게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들을 보는 것은 많은 과정을 필요로 하고 큰 노력을 요한다. 게다가 다른 사용자들과 즉각적으로 공유하기도 힘들다. 이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새로운 이미지뷰어인터페이스를 제안해본다. 기존의 이미지뷰어프로그램들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결과와 문제점을 찾은 후 새로운 디자인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단순함(Simplicity), 즉각성(Instancy), 공유(Sharing), 감성(Sensitivity) 이렇게 네 가지 키워드이다. 사진(Picture)은 이미 지나간 과거이다. 이러한 사진의 시간개념을 Timeline 에 적용하고, 이를 원(Circle)이라는 모양으로 나타내어 사진을 볼 수 있게 하였다. 원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인터페이스는 사진을 보다 쉽고 즉각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 데모버젼으로서 매크로미디어 플래시 액션스크립트로 프로그램을 하고 파워메이트(Powermate)를 장치(Device)로 사용하여 시연하였다. 이 인터페이스는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소면 아무 곳이나 설치가 가능하다. 카페나 회의장소에서 가장 적합하게 어울릴 것이다. 사용자는 다른 이들과 함께 즉각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함께 감성을 나눌 수 있다. 새로운 인터페이스디자인이 사람들에게 쉽게 인지되어, 보다 편리하게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전자책 뷰어의 사용만족에 영향을 주는 품질 요인: 콘텐츠 유형별 비교 (e-Book Viewer's Quality Factors Influencing User Satisfaction: Comparison by Content Type)

  • 윤혜정;김두중;이중정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3-91
    • /
    • 2015
  • 정보기술의 발달은 유형의 '책'에서 무형의 '전자책'으로의 인식 전환을 불러 왔고, 전체 도서출판 시장에서 전자책 시장의 증가세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무형의 콘텐츠와 독자를 연결시켜주는 접점(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하는 전차책 뷰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말기나 PC 등에 설치하는 전자책 뷰어의 사용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가 콘텐츠 유형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전자책 뷰어의 품질을 시스템 품질과 인터페이스 품질로 구분하여, 용이성, 기능다양성, 상호작용성, 디자인 편리성, 직관적 디자인, 감성적 디자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품질 속성이 종속변수인 사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대표적인 전자책 콘텐츠 유형인 만화, 소설, 학습 콘텐츠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가설 검증 결과에 따르면, 전체 그룹에 있어서는 상호작용성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수가 사용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다. 콘텐츠 유형별로는 만화를 볼 때 전자책 뷰어의 용이성, 디자인 편리성, 감성적 디자인의 품질이 높을수록 사용만족이 높았으며, 소설을 볼 때에는 전자책뷰어의 직관적 디자인, 감성적 디자인의 품질이 높을수록 사용만족이 높았고, 학습 콘텐츠에서는 전자책 뷰어의 기능 다양성과 상호작용성이 높을수록 사용만족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전자책 뷰어의 설계 및 기획, 전략과 구축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되길 희망해본다.

격자/입자기반 유체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위한 프리뷰어의 설계 및 구현 (Previewer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Grid/Particle based Fluid Simulation Data)

  • 양현록;강경규;김동호;오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18-25
    • /
    • 2010
  • 컴퓨터 그래픽스(CG)는 영화 산업에서 없어선 안 될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많은 CG 업체들이 실제 영화 제작에 참여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회사들이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제작을 할 뿐 기술 개발에는 중점을 두지 못하는 실정이다. 때문에 상용 저작 도구가 제공하는 기능들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사용하기에 부족하더라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저작 도구의 부족한 부분을 엔지니어들이 직접 저작도구를 개발하여 보완하는 작업의 중요성에 대해서 대규모 유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시화하기 위해서 개발된 프리뷰어를 사례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프리뷰어를 유체 시뮬레이션에 특화시키기 위해서 어떻게 설계를 하고 구현을 하였는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 개발한 프리뷰어의 성능을 평가해보고 결과에 대해서 토의한다.

확장형 초고해상도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협업용 뷰어 시스템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operative Viewer System Technology Running on the Scalable High-Resolution Tiled Display System)

  • 김민영;이빛나라;조용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841-848
    • /
    • 2010
  • 타일드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 이미지나 실물 크기의 3차원 개체를 표현할 수 있고, 다수의 사용자들이 개인화된 화면을 사용하거나 남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하므로 효율적으로 협업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산 플랫폼 위에 3차원 모델, 이미지와 동영상을 조작할 수 있는 협업 뷰어 시스템을 개발했다. 본 시스템에서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입력장치를 활용하여 따로 콘텐츠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뷰어 시스템의 구조와 이를 이용해 구축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