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불활성기체

Search Result 8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 at Atmospheric in Seoul (서울 대기중 라돈농도의 분포에 관한 연구)

  • ;;;T. Iida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79-281
    • /
    • 2000
  • 발암성 물질로 알려진 라돈($^{222}Rn$)은 원래 불활성기체로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자연방사능으로 암석이나 토양 같은 지각물질에서 발생하는 우라늄($^{238}U$) 붕괴계열인 라듐($^{226}Ra$)의 붕괴과정에서 생성되는 방사성 가스이다. 라돈($^{222}R$)은 $\alpha$붕괴에 의하여 $^{218}Po$, $^{214}Po$등의 자핵종(Radon daughter)을 생성하며, 최종적으로 납($^{210}Pb$)으로 변한다 라돈이 폐에 흡입되면 붕괴하면서 $\alpha$방사선을 방출하는데, 이것이 인체의 세포를 죽이거나 염색체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폐암의 발생 위험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중략)

  • PDF

The coflow effects on the flame stability of Heptane pool fire (헵탄 풀화재에서 화염안정성에 관한 주위류 효과)

  • Jeong, Tae-Hee;Lee, Eui-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258-261
    • /
    • 2012
  • 풀화재에서 화염화염진동은 주위공기와의 밀도차에 의한 부력효과에 기인하여 주로 발생한다. 본 연구는 풀화재의 화염불안정성에 대해 산화제 유속 및 농도 변화에 따른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컵버너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산화제의 농도를 변화시켰을 경우에는 산화제의 불활성기체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청염의 길이가 길어지고 컵버너 끝단으로부터 부상되는 것이 관찰된다. 한편, 산화제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른 진동주파수가 감소함을 보인다. 이는 무차원 변수로 표현되는 주파수와 부력의 관계로 도시하였을 때 다양한 속도스케일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연료와 산화제의 유속차로 정의되는 특성속도인 경우에 정지되어 있는 공기중에서의 풀화재 진동과 일치하는 관계식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진동주파수는 산화제 희석율과는 특정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데 이는 국부적 화염구조와 연관성을 가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Extinguishing Concentration of Inert Gases in Heptane Pool Fires (헵탄 풀화재에서 불활성기체 소화농도)

  • Jung, Tae-Hee;Lee, Eui-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27 no.3
    • /
    • pp.71-76
    • /
    • 2012
  • The coflow velocity effect on the minimum extinguishing concentration(MEC)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in heptane cup-burner flames. Various inert gases($N_2$, Ar, $CO_2$, He) were added into the oxidizer to find the critical concentr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agents on flame extinc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MEC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flow velocity for most inert gases except helium, but the higher coflow velocity induced the lower burning rates of heptane. This indicated that the increase of coflow velocity resulted in the decrease of fuel velocity evaporated from fuel surface, and hence the stain rate on the reaction zone was also decreased. In the case of helium as a additive, the extinguishing concentration was independent of the coflow velocity because the heat conductivity was ten times larger than the other inert gases and flow effect by a strain rate might be compensated for heat loss to the surroundings.

Flame- Extinguishing Concentrations of Inert Gases in Jet Diffusion Flames (제트확산화염에서의 불활성기체 소화농도)

  • Ji, Jung-Hoon;Lee, Eui-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24 no.1
    • /
    • pp.21-25
    • /
    • 2009
  • Extinguishing limits of laminar ethylene/oxygen flames in both normal and inverse co-flow jet burner have been determined experimentally and computationally. An inert gas($N_2$, Ar, $CO_2$) was added into the oxidizer to find the critical concentr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agents on flame extinc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hysical aspect of inert gases was main mechanism for flame blow-out as same as cup burner test, but the flow effect should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e extinction concentration. The numerical prediction was performed with modified WSR model and the result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measurements. The experimental and numerical methods could be used for the assessment of various flame suppression agents such as minimum extinguishing concentration.

Characterization of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Polyimide Copolymer Membranes for OBIGGS (OBIGGS용 공중합체 폴리이미드를 이용한 기체분리막의 투과 특성평가)

  • Lee, Jung Moo;Lee, Myung Gun;Kim, Deuk Ju;Nam, Sang Yong
    • Membrane Journal
    • /
    • v.24 no.4
    • /
    • pp.325-331
    • /
    • 2014
  • We synthesized novel polyimides with high gas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for application of on board inert gas generation system (OBIGGS). 2,2-bis(3,4-carboxylphenyl) hexafluoropropane dianhydride (6FDA) and two kinds of amines with high permeability and solubility were used to prepare the novel polymide. 2,3,5,6-Tetramethyl-1,4-phenylenediamine (TMPD) was used to improve gas permeability and various kinds of diamines were used to improve the gas selectivity respectively. The polyimide copolymers were synthesized by commercial chemical imidization method and their average molecular weights were over 100,000g/mol. The glass temperature ($T_g$) and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were characterized using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an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The synthesized copolymers showed high $T_g$ over $300^{\circ}C$ and high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ver $500^{\circ}C$. The gas permeation properties were measured by time-lag equipment. Although general polyimides showed very low gas permeability, synthesized polyimide copolymer showed high $O_2$ permeability of 36.21 barrer with high $O_2/N_2$ selectivity around 4.1. From this result, we confirm that these membranes have possibility to apply to OBIGGS.

PECVD에 의한 다이아몬드성 탄소박막의 증착기구에 관한 연구

  • Kim, Han;Joo, Se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4.06a
    • /
    • pp.54-69
    • /
    • 1994
  • 메탄을 원료가스로 하여 ppECVD에 의해 다이아몬드성 탄소(DLC) 박막을 형성하였 으며 이 때 인가전력의 크기 및 주파수 그리고 보조가스의 종류가 opptical band gapp의 크 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DLC 박막의 opptical band gapp은 증착되는 이온의 에너지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불활성 기체를 보조가스로 사용하는 경우 인가전력에 따른 opptical band gapp의 크기가 큰 폭으로 심화되었다. 수소를 보조가스로 사용한 경우는 높은 인가전력(100W)에서 opptical band gapp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본 연구에서 새로이 제안된 증착기구의 모델에 의해 적절한 설명이 가능하였다.

  • PDF

이온소스 Cathode 형태가 이온 빔에 미치는 영향

  • Min, Gwan-Sik;Lee, Seung-Su;Yun, Ju-Yeong;Jeong, Jin-Uk;O, Eun-Sun;Hwang, Yun-Seok;Kim, Ji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45.1-145.1
    • /
    • 2014
  • 변형된 end-Hall type의 이온 소스를 사용하여 이온 소스의 형태에 따라 달라지는 이온 빔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온 소스 cathode의 wehnelt mask를 세 가지 종류로 제작하였으며, 생성된 이온 빔을 이용하여 Al이 sputter 방식으로 증착된 유리 기판을 etching 하였다. 실험 결과 wehnelt mask의 모양에 따라 focus, broad, strate의 형태로 이온 빔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l이 증착된 유리 기판의 제작을 위하여 Al target을 사용하여 RF power로 150 W, 2분간 sputtering을 하였고, 이온 소스와 기판사이의 거리를 1 cm씩 증가시켜가며 이온 빔을 2,500 V로 3분간 유리 기판을 etching한 후, 유리 기판이 etching된 모양을 통해 이온 빔의 형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sputtering과 이온 빔 처리가 가능한 챔버를 제작하였으며, scroll pump와 turbo molecular pump를 사용하였다. Base pressure $1.5{\times}10^{-6}Torr$에서 실험이 진행되었고, 불활성 기체 Ar을 사용하였다. Ar 기체를 주입시 pressure는 $2.6{\times}10^{-3}Torr$였다.

  • PDF

Measurement of Hydrogen Crossover During PEMFC Operation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구동 중 수소투과도 측정)

  • Jeong, Jaejin;Jeong, Jaehyeun;Kim, Saehoon;Ahn, Byungki;Ko, Jaijoon;Park, Kwonpi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3 no.4
    • /
    • pp.412-416
    • /
    • 2015
  • To evaluate the performance and durability of membrane, measurement of hydrogen crossover is needed during PEMFC(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operation. In this work, concentration of hydrogen at cathode was analysed by gas chromatograph during operation suppling with air instead of inert gas into the cathode. The hydrogen permeated through membrane reacted with oxygen at cathode and then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was lower than in case inert gas was supplied. Hydrogen concentration decreased as the flow rate of air increased at cathode. Increase of temperature, humidity and pressure of anode gas enhanced the hydrogen concentration at cathode. The hydrogen concentration was about 5.0 ppm at current density of $120mA/cm^2$ during general PEMFC operation.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대한 연구

  • Kim, Yun-Jung;Han, Guk-Hui;Kim, Jung-Gil;Kim, Yeon-Jeong;Jo, Hyeon;Gang, Gyeong-Hun;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204-204
    • /
    • 2016
  • 다양한 형태의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장치를 개발하고 특성을 연구하였다. 최근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를 의료 및 미용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의 생체 적용을 위해 전기적, 열적 피해가 없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개발하였다. 대기압 플라즈마 발생 장치는 크게 플라즈마 제트와 유전 격벽 방전(DBD) 플라즈마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는 고압 전극의 역할을 하는 주사 바늘과 바늘을 감싸고 있는 유리관, 유리관의 외부에 위치하는 접지 전극의 구조로 되어 있다. 방전 기체는 방전이 용이한 불활성 가스가 주로 사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N_2$나 Air같이 방전이 어려운 분자 및 혼합 기체도 사용 한다. 방전 기체에 따라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의 전극 구조를 다르게 적용하였으며, 각 구조에서의 플라즈마 방전 특성을 연구 하였다. 유전 격벽 방전 플라즈마 장치는 고압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에 유전체가 위치하는 구조이다. 방전 가스를 불어주지 않아도 대기중에서 방전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용도에 맞는 다양한 형태로 방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의 특성 연구를 바탕으로 전기적, 열적 피해가 없으며 사용자 편의성을 갖춘 다양한 형태의 대기압 플라즈마 장치를 개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기압 저온 플라즈마 발생 장치의 개발과 활용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tabilization of Inert-Gas-Diluted Co-Flow Diffusion Flame by a Pilot Flame (불활성기체로 희석된 동축류 확산화염의 파일럿화염에 의한 안정화)

  • Ahn, Taekook;Lee, Wonnam;Park, Sun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 /
    • v.20 no.4
    • /
    • pp.19-25
    • /
    • 2015
  • An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effect of a pilot flame on the flammability of inert-gas-diluted methane and propane. The diffusion pilot flame was formed with propane at the innermost nozzle of a concentric triple co-flow burner. The main diffusion flame was formed with nitrogen-diluted methane or propane at the outermost nozzle of the burner. An air flow was located in-betwe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istence of the pilot flame helped stabilizing the main flame even at the flammability limit concentration of nitrogen-diluted fuel. The co-flow burner generated re-circulation zones and local variation of equivalence ratio depending on the flow rates of the reactants, which are known to help flame stabilization. Hot-wire experiments confirmed that both heating of the reactants and supplying of active chemical species by the pilot flame contributed to stabilization of the main flam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suggest a design concept for an efficient SVRU system that minimizes the emission of unburned hydrocarbon fuel from ship fuel ta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