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투과형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3초

연속적인 사방댐이 장마 전·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Continuous Erosion Control Dams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Before and After the Rainy Season)

  • 안채희;한중수;현재빈;최준길;이황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1호
    • /
    • pp.54-63
    • /
    • 2021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3개의 사방댐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지역을 대상으로 장마 전·후의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사방댐에 의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9년 3월부터 9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은 불투과형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지역과 투과형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지역을 선정하였다. 불투과형, 투과형 사방댐 각각 상·하류로부터 총 8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유속은 장마 이후 불투과형, 투과형 모두 대부분의 지점에서 증가하였으나, 불투과형은 투과형보다 상대적으로 유속의 변화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는 장마 이후 대부분의 지점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투과형 상류지점이 상대적으로 종수 및 개체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살이목-강도래목-날도래목 (EPT) 그룹 분석은 상대적으로 불투과형에서 하루살이목이 감소하였으며, 투과형에서 날도래목이 감소하였다. 유사도 분석 결과, 불투과형, 투과형 모두 장마 전·후가 구분되었으며, 투과형이 상대적으로 장마 전·후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중구조물의 파고전달계수 산정 실험 : III. 불투과형 수중구조물 (Experimental Study on Wave Transmission Coefficients of Submerged Structures: III. Impermeable-Type Structure)

  • 이종인;조지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6호
    • /
    • pp.593-601
    • /
    • 2020
  • 콘크리트블록으로 피복된 불투과형 수중구조물을 대상으로 파랑의 전파현상을 검토하기 위해 2차원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수리실험은 수중구조물의 서로 다른 상대여유수심, 상대여유고, 상대상단폭 및 파형경사 등을 적용하여 수행되었다. 수리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불투과형 수중구조물에 대한 파고전달계수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경험식은 불투과형 수중구조물의 파고전달계수를 충분한 정도로 예측함을 확인하였으며, 기존 경험식을 개선하였다.

사방댐이 설치된 산지계곡의 장마 전·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변화 (Changes in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Before and After Rainy Season in Mountain Valley with Erosion Control Dam)

  • 안채희;한중수;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1-129
    • /
    • 2020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설치된 사방댐을 대상으로 장마 전·후의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사방댐에 의한 저서성 대형무척추 동물의 군집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9년 3월부터 9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지점은 불투과형 사방댐(전석), 투과형 사방댐(버트리스), 대조지역을 선정하여 사방댐을 기준으로 상류 2지점, 하류 2지점을 조사하였다. 유속은 불투과형, 투과형, 대조지역의 지점에서 대부분 증가하였으며, 불투과형은 St. 3에서 장마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는 장마 이후 대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과형과 대조지역의 개체수 감소율은 전석에 비해 비교적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EPT 그룹의 종수 및 개체수는 장마 이후 대부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도 분석 결과, 장마 이전에는 불투과형 및 투과형이 대조지역과 38.4%로 구분되었으나, 장마 이후에는 투과형과 대조지역이 불투과형과 51.3%로 구분되었다. PCA 분석 결과, Axis 1을 기준으로 불투과형은 장마 전·후로 양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투과형과 대조지역은 장마 전·후 음의 값을 나타내어 불투과형 보다는 투과형이 대조지역과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EPT 그룹은 불투과형에서 하루살이목, 투과형과 대조지역에서 날도래목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사방댐 설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불투과형 보다는 상대적으로 투과형이 대조지역과 장마 이후 군집 차이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조합효과 분석 실험 (Experiment for Combined Effect Analysis of Debis Flow Reduction Facilities)

  • 정욱교;전계원;최종호;김영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80-180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재해의 다양화, 대형화 하고 있다. 그 중, 산지하천에서 발생하는 재해로는 토석류 재해가 있다. 일반적으로 토석류 재해는 발생시기, 발생 위치, 발생규모 등을 예측하기 어렵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토석류 재해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국내에서는 사방사업을 주로 실시하고 있다. 사방사업에 이용되는 사방댐은 투과형 사방댐과 불투과형 사방댐으로 크게 분류된다. 불투과형 사방댐은 전체적인 토석류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 투과형 사방댐은 바위, 토사 등을 물과 분리하여 토석류의 위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투과형 사방댐과 불투과형 사방댐의 장점을 이용하여 적절히 조합한다면 토석류 유출저감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조합형 사방댐의 저감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기능을 사방댐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사방댐은 중력식 콘크리트 사방댐, 버트리스, 브레이커의 3가지 파트로 구성 하였다. 실험에 활용하기 위한 모형을 각각 분리하여 제작하고, 각각의 조합에 따라 가장 높은 저감효과를 내는 조합을 찾기 위해 토석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모형축소실험을 이용한 토석류 방지시설 충격하중 평가 (Estimation of Debris Flow Impact Forces on Mitigation Structures Using Small-Scale Modelling)

  • 이경수;조성하;김진호;유보선
    • 지질공학
    • /
    • 제27권3호
    • /
    • pp.191-20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불투과형 사방댐과 링네트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평가하기 위해 토석류 모형축소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토석류는 유체와 유사한 거동을 함에 따라 불투과형 사방댐 배면에 가해지는 토석류 충격하중은 하부구간이 4.14 kN로 가장 높게 작용하며 중간, 상부구간이 3.66 kN, 1.66 kN 가해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링네트 실험결과 또한 불투과형 사방댐 결과와 같이 충격하중은 하부구간이 크며 상부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2.28 kN, 1.95 kN, 1.49 kN).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토석류 흐름에 의한 토석류 방지시설 충격하중 흡수메커니즘을 분석한 결과, 불투과형 사방댐은 콘크리트 옹벽과 같이 구조물 자체의 강성을 이용하여 수평력에 저항하므로 실제 구조물에 작용한 수평력은 이론식과 유사한 결과가 제시되는 반면, 링네트는 강연선 탄성늘음과 네트 전면으로의 입자 투과를 이용하므로 충격하중은 사방댐 결과보다 최대 45% 감소하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강원 인제지역 토석류 사방시설의 준설 및 퇴적 특성 (Characteristic Analysis of Dredging and Sedimentation Debris Control Facilities in Inje, Gangwon)

  • 박병수;전상현;엄재경;조광준;유남재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5-22
    • /
    • 2013
  • 강원도 인제지역의 토석류 사방시설 유형에 따른 준설 및 퇴적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불투과형 및 투과형 사방댐을 각각 5개소를 선정하고 선정된 사방댐에 대한 퇴적특성 및 지하수위 분포에 대한 현장조사와 지역 내에 분포하는 51개 사방시설에 대한 유역면적, 저장능력, 준설량 등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불투과형 사방댐은 평상 시 대규모 토석류가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퇴적물이 쌓여있어 대규모 토석류 발생 시 사방댐 저장능력이 작아질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불투과형 사방댐의 평상 시 수위는 퇴적토의 지표에 위치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나, 투과형 사방댐 수위는 버트리스 부분 하단에 존재하여 큰 강우에서도 사방댐으로 인하여 지반 포화를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방시설의 저장능력과 유역면적, 준설량의 상관성 분석결과, 사방시설의 설치에 있어 유역면적에 따른 사방시설의 규모가 잘 반영되지 않았으며 큰 사방댐 시설을 건설하였으나 실제 퇴적량은 작게 나타나 향후 효율적인 사방시설의 계획 및 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에 따른 사방댐의 투과율 및 생태적 기능 분석 (Analysis of Ecological Function and Percent Passing of Erosion Control Dam by Openness)

  • 구길본;마호섭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2권6호
    • /
    • pp.1-12
    • /
    • 2018
  • 본 연구는 산지계류에 시설되는 사방댐의 투과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해예방과 생물종 다양성에 대한 적절한 보호 및 관리를 위하여 개방형에 따른 사방댐의 생태적 기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투과율이 15% 미만인 불투과형 중력식 댐은 투과형 댐으로 구조개량 하거나 전환할 경우 투과율이 0.72%에서 55.8%로 약 77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사 및 저수 등 특별한 목적을 두고 시공하는 불투과형 중력식 사방댐을 제외하고는 하류지역으로 토사의 이동, 어류 및 양서류의 상 하류에의 생태통로 등 다양한 기능을 비교적 양호하게 할 수 있는 투과형으로 개선하여 시공할 필요성이 있다. 사방댐 차단높이에 따른 개방은 유효고, 기초부의 높이 및 하부기초 부분의 매몰정도에 따라 다르므로 현장여건 및 시공목적에 따라 설계할 필요성이 있다. 횡단면의 개방형태에 따른 사방댐의 생태적 기능은 어류소통형, 홍수조절형, 저수형(산불방지취수형), 토석막이형(저사형), 토석막이형(토석형) 및 입도분석형으로 제시하였다.

유동성 복합레진의 물리적 성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OF FLOWABLE COMPOSITE RESINS)

  • 김지영;정병초;양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23-429
    • /
    • 2002
  • 최근 유동성 복합레진은 조작시 빠르고 간편하며 우수한 접근성으로 임상에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나 각 제품간 그리고 혼합형 복합레진과의 물리적 성질이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임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Filtek Flow, Tetric Flow, Revolution, Palfique Esthelite LV high flow)의 압축 강도, 상대적 유동성, 방사선 불투과성을 측정하여 그 특성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압축강도에 있어서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 각 제품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유동성 복합레진이 혼합형 복합레진(Z-100, 3M, USA)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p<0.001). 2. 각 제품간의 상대적 유동성은 Palfique Esthelite LV high flow, Revolution, Filtek Flow와 Tetric Flow 순으로 높았고(p<0.001), Filtek Flow와 Tetric Flow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모든 제품은 TeethmateF-1(Kuraray, Japan)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낮았다(p<0.001). 3. 유동성 복합레진 4종의 방사선 불투과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측정된 모든 유동성 복합레진은 상아질과 유사하거나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었고 각 제품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그 중 Tetric Flow와 Filtek Flow는 법랑질과 유사하거나 높은 방사선 불투과성을 나타내었다(p<0.001). 이상의 실험 결과는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은 혼합형 복합레진 보다 낮은 압축강도를 가지므로 임상에 적용 시 가해질 수 있는 응력을 고려하여야 하며, 각 제품간 유동정의 유의한 차이는 시술 시 재료의 선택에 고려사항이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또한 4종의 유동성 복합레진의 방사선 불투과성은 모두 국제 인증 규격에 합당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레진계 임플란트용 시멘트의 방사선 불투과성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radiopacity of different resin-based implant cements)

  • 한경환;천호영;김민수;신상완;이정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7-104
    • /
    • 2014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판되는 4종의 레진계 임플란트 전용 임시 시멘트를 디지털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여 방사선 불투과성을 비교 평가 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주문 제작한 분할형 금속몰드에 4종의 레진계 임플란트 시멘트(Estemp $Implant^{TM}$ (Spident, Incheon, Korea), $Premier^{(R)}$Implant (Premier, Pennsylvania, USA), $Cem-Implant^{TM}$ (B.J.M lab, Or-yehuda, Israel), $InterCem^{TM}$ (SCI-PHARM, California, USA))와 대조군인 Elite Cement$100^{TM}$ (GC, Tokyo, Japan)를 각각의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혼합하여 경화시킨다. 시멘트당 두께에 따라 각 10개씩 총 150개의 시편을 제작하고 각 시편을 순수(99%이상) aluminum으로 제작한 step wedge와 나란히 위치시켜 Intraoral X-ray unit (Esx, Vatech, Korea)와 디지털 X-ray sensor (EzSensor, Vatec. Korea)를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디지털 방사선 이미지를 Image J 1.47m (Wayne Rasban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USA)과 Color inspector 3D Ver 2.0 (Interaktive Visualisierung von Farbr$\ddot{a}$umen, Berlin, Germany)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luminum wedge equivalent thickness (mm Al)를 평가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5종의 시멘트 중 방사선 불투과성은 Elite Cement$100^{TM}$이 모든 두께에서 가장 높았으며 레진계 임플란트용 시멘트중에서 $InterCem^{TM}$이 가장 높았고, $Premier^{(R)}$ Implant $Cement^{TM}$, $Cem-Implant^{TM}$, Estemp $Implant^{TM}$순으로 나타났다. 레진계 임플란트용 시멘트 중 $InterCem^{TM}$은 모든 두께에서 ISO Standard No. 4049에 맞는 방사선 불투과성을 보였고, $Cem-Implant^{TM}$는 0.5 mm 두께에서만 ISO Standard No. 4049에 적합한 방사선 불투과도를 나타냈다. 결론:이번 연구에 사용된 레진계 임플란트 시멘트중 방사선 불투과도는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고, $InterCem^{TM}$ 만이 연구조건 및 기준에 만족하는 방사선 불투과도를 보였다.

새로운 레진계 근관실러와 AH Plus Jet의 물성 비교 (Physical properties of a new resin-based root canal sealer in comparison with AH Plus Jet)

  • ;김진우;박세희;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80-87
    • /
    • 2017
  • 목적: 이 연구는 새로운 레진계 근관실러인 Any-Seal의 여러 물성을 AH Plus Jet와 비교하여 평가하고자 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흐름성, 방사선 불투과성, 압축 강도를 ISO 6876/2001기준에 의해 측정하였다. 흐름성은 실러 0.05 mL를 두 개의 유리판 사이에 놓고 100 g의 무게로 눌러 측정했다. 실러 혼합 10분 뒤 무게를 제거하고 눌려진 실러의 지름을 측정했다. 방사선 불투과성은 각 근관실러를 지름 10 mm, 높이 1 mm의 디스크형 시편으로 만들어 aluminum step wedge와 함께 방사선 촬영을 하여 분석했다. 압축 강도는 각 실러를 4 mm 지름과 6 mm 높이의 실린더 형태로 만든 다음 24시간 후와 1주일 후에 측정했다. 결과: 두 근관실러의 흐름성과 방사선 불투과성 값은 ISO 6876/2001조건에 맞았다. 흐름성은 AH Plus Jet와 Any-Seal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AH Plus Jet가 방사선 불투과성 값을 나타냈다(P < 0.05). 24시간 후와 1주일 후 모두에서 AH Plus Jet가 더 높은 압축 강도를 보였다(P < 0.05). 결론: Any-Seal이 낮은 압축 강도를 보였으므로 다른 물리적, 생물적 특성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임상적 활용 전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