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완전 폐쇄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4초

구개인두 기능부전을 갖는 구개열 환자에서 폐쇄장치를 이용한 보철 치료 증례 (Palatal obturator restoration of a cleft palate patient with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a clinical report)

  • 허유리;김종욱;이경제;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3-360
    • /
    • 2013
  • 구순 구개열은 구강 악안면 부위에 발생하는 선천적 기형이다. 정상적인 연구개는 휴식 시에는 구강과 비강을 연결해 주고, 연하나 특정 발음 시에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구강과 비강을 분리하는 구개인두 폐쇄 운동을 한다. 구개인두 기능부전을 갖는 구개열 환자에서는 이 운동이 불완전하여 저작, 연하, 발음 시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때, 구개 결손부를 폐쇄하기 위해 사용하는 보철물을 구개 폐쇄장치라고 한다. 구개 폐쇄장치는 구강과 비강을 분리하여 발음, 저작, 연하, 심미적 기능을 회복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구개인두 기능부전을 갖는 선천적 구개열 환자로 구개인두 폐쇄를 이루기 위하여 모델링 콤파운드와 점막 조정재를 이용한 기능인상 과정을 시행하여 제작한 구개 폐쇄장치를 장착하여 기능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후비공 폐쇄 2례 (2 Cases of Bilateral Choanal Atresia)

  • 심강석;이석용;문태용;윤강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8.3-19
    • /
    • 1983
  • 후비공 폐쇄는 협비막의 과열부전, 협인두막의 지속적 잔존, Olfactory pit의 발생시 불완전 등의 선천성 원인과, 매독디프테리아, 수술 후 또는 외상 등으로 오는 후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선천성인 경우에는 두부, 심장, 소화기 계통에 여러 가지 기형이 동반되기도 한다. Johann Roedere (1755년)은 이 질환의 예를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Emmert (1853년)가 골성 폐쇄를 트로카를 이용하여 처음 수술을 시도한 이래 , 비강내, 구개, 상악동, 그리고 비중격을 통한 수술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나 이중 경주개 경유법이 술후 재협착 빈도가 가장 적고 또 수술시 폐쇄부의 확인이 용이하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선천성 양측 부분적 골부 후비공 폐쇄를 보인 11세 남아와 선친성 우측 완전 골막부 후비공 폐쇄와 좌측 부분적 골막부 후비공 폐쇄와 좌측 부분적 골막부 후비공 폐쇄를 보인 9세 여아에서 경구개 경유법으로 치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초등학교 어린이의 평균 구순폐쇄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Lip Closing Force and the 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이한이;백경희;김재곤;이대우;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3-352
    • /
    • 2019
  • 성장기 어린이에게서 나타나는 구순폐쇄 부전은 구강기능 및 구강 주위 조직의 구조적 발달 이상을 초래하게 되며, 이는 구강안면 근기능 이상으로 발전된다. 이처럼 입술을 다무는 것은 필수적이고 중요한 행동이므로, 입술을 다무는 힘을 측정하는 것은 구강 감각 및 운동 이상이 있는 환자를 평가함에 있어서 매우 유용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어린이의 연령, 성별에 따른 평균 구순폐쇄력을 측정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전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곳의 7 - 12 세 어린이 765명을 대상으로, 교합상태, 구순폐쇄 여부에 대한 임상 검사와 구순폐쇄력 측정을 시행하였다. 구순폐쇄력은 3회 측정하였고, 측정값의 평균을 대상자의 구순폐쇄력으로 활용하였다. Angle 분류법 및 안정시 구순폐쇄 여부는 구순폐쇄력 고저군 분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016, 0.004). 완전 구순폐쇄 군에서는 높은 구순폐쇄력 군의 비율이 높았던 반면, 불완전 구순폐쇄 군에서는 낮은 구순폐쇄력 군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흉강경을 이용한 동맥관 개존증 수술- 6례 보고 - (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for Patent Ductus Arteriosus - 6 cases report -)

  • 박찬범;권종범;원용순;박건;박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351-355
    • /
    • 2001
  • 개흉술에 의한 수술적 폐쇄방법 및 경도관 동맥관 폐쇄술은 동맥관 개존중의 치료방법으로 발전되어 왔으나, 이러한 술식은 개흉술에 의한 합병증, 지속적인 단락 및 용혈의 가능성, 기구의 이동이나 색전증의 발생, 지속적인 단락시 세균성 심내막염 방지를 위한 지속적인 항생제 사용등의 단점이 있어 저자들은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을 시행하였다. 총 6례의 환자에서 흉강경을 이용한 동맥관 개존증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대동맥 외막(adventitia) 박리중 지형이 잘 되지 않았던 1례에서는 소개흉술(minithoracotomy)로 전환하였다. 술 후 이시행한 이학적 검사상에서 모든 환아에 심잡음이 소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흉부 방사선 검사상 점진적인 폐혈관음영의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수술중 동맥관 파열이나 불완전한 동맥관 폐쇄, 기흉, 애성(hoarseness) 등의 합병증은 발생되지 않았다. 환아들은 술후 평균 3.4일째 퇴원하였으며, 퇴원후 외래추적 관찰검사시 시행한 심초음파 검사상 동맥관의 재개통이나, 잔류단락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원에서는 개흉술 및 경도관 동맥관 폐쇄술의 단점을 방지할수 있으며, 성공적인 동맥관 폐쇄, 작은 피부절개 반흔에 의한 미용적 효과, 짧은 재원기간등의 장점을 가진 흉강경을 이용항 동맥관 결찰술을 시해앟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영아기에 우연히 진단된 십이지장 격막 (Incidentally Diagnosed Duodenal Web in Infancy)

  • 김서영;한병희;박기영;남궁정만;우다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724-729
    • /
    • 2022
  • 십이지장 격막은 십이지장 관강 내의 불완전한 막으로 부분폐쇄 또는 간헐적인 완전 폐쇄를 일으킨다. 격막의 개구부 크기에 따라 폐쇄의 정도,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 영상의학적 소견이 다르다. 저자들은 이물질 섭취를 주소로 내원한 14개월 남아에서 우연히 진단된 십이지장 격막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복부 방사선 촬영, 상부 위장관조영술, 내시경, 수술 소견들을 종합하여 기술하였다. 저자들은 영아기에 섭취한 이물질의 배출이 지연되고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이물질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화할 경우, 폐쇄 위치로 십이지장을 고려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 환자의 구개부를 통한 외과적 치험례 (SURGICAL REPAIR OF COMPLETE BONY BILATERAL CHOANAL ATRESIA VIA TRANSPALATAL APPROACH)

  • 김경원;조용석;양수남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133-138
    • /
    • 1998
  • 23세의 건강한 산모에게서 정상 분만되고, 출생시 체중 3.lkg의 여자 아이가 출생 직후 청색증, 호홉 곤란 등의 소견을 보이나, 육안적으로 관찰되는 불완전 양측성 구순열 이외에는 특별한 두개안면 이형증 등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아서, 소아과 담당의사가 전비공을 통하여 비인두강 내의 분비물 등의 이물질 홉인을 시도하려다 작은 고무 도관의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후비공 폐쇄를 의심하였다. 경구 호홉관을 이용하여 기도 확보 후에 후비공 폐쇄 여부의 진단을 위해서, 비강내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의 접적 주입한 후에 방사선 사진,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을 통하여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를 확진하였다. 양측성 후비공 폐쇄는 출생시 주기적인 호홉 곤란의 증상을 보이며, 특히 포유시에 호홉 곤란의 증상이 악화되어서 신생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으로 이에 대한 외과적인 처치를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후비공 폐쇄에 대한 외과적인 처치는 비강을 통한 접큰법, 구개부를 통한 접근법, 비중격을 통한 접근법 등의 여러 가지 접근법이 있으나, 본 환자의 경우는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로 확진이 되었고, 이에 대한 저자들의 경험이 전혀 없는 상태이었기에 보다 좋은 수술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새로이 형성해준 후비공을 따라 점막 피판을 보존해 줄 수 있고, 수술 후 후비공의 개통성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구개부를 통한 접근법을 이용하여 외과적인 처치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약 1 년이 경과하였으나 임상적으로 호홉 곤란 등의 특별한 문제점이 없이 만족할 만한 경과를 보였다. 일반적인 교과서에서 설명하듯이 기성품으로 제작된 자가보전 견인자의 설압자는 이와 같은 신생아의 증례에서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너무 커서 사용이 곤란하였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유사한 증례의 수술시에 도움을 주고자 매우 희귀한 증례인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 환자에 대한 치험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악성 담관 폐쇄 환자에서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의 유증상 이탈 발생의 예측 인자 (Predictive Factors for Symptomatic Dislodgement of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Catheter in Patients with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 유희정;박정구;정규식;서광일;박현준;윤종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6호
    • /
    • pp.1350-1360
    • /
    • 2023
  • 목적 악성 담관 폐쇄 환자에서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을 시행할 때 유증상 이탈을 유발하는 예측 인자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5년 2월까지 572명의 악성 담관 폐쇄 환자에서 시행한 733건의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카테터의 거치 기간, 접근 위치, 카테터 팁의 위치, 삽입 각도, 피그테일 루프의 유무, 도관 직경을 평가하였다. 결과 추적관찰 기간 동안 157명의 환자에서 224건(30.56%)의 도관 이탈이 발생하였다. 그중 146건(19.92%)가 유증상 도관 이탈이었다. 배액관 이탈 발생까지의 기간은 평균 30일(범위: 1-159일)이었다. 유증상 도관 이탈은 배액관의 교체(137명) 또는 담관 스텐트 삽입(9명)을 통해 치료하였다. 남성(교차비: 1.636, 95% 신뢰구간: 1.131-2.367, p = 0.009), 우측 접근(교차비: 1.567, 95% 신뢰구간: 1.080-2.274, p = 0.018), 도관 삽입 각도 증가(교차비: 1.015, 95% 신뢰구간: 1.005-1.026, p = 0.005), 불완전 피그테일 루프(교차비: 1.672, 95% 신뢰구간: 1.098-2.545, p = 0.016)가 독립적인 경피경간 담도 배액술 도관 유증상 이탈의 예측 인자였다. 결론 유증상 이탈을 유발하는 예측인자에는 남성, 우측 접근, 도관 삽입 각도 증가, 불완전 피그테일 루프가 있다.

승모판막 성형술 후 재발의 원인에 대해 술기와 판막 요인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Recurred Mitral Regurgitation after Mitral Repair according to Procedure or Valve Related Causes)

  • 신홍주;유동곤;이용직;박순익;주석중;송현;정철현;송명근;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2호
    • /
    • pp.132-138
    • /
    • 2005
  • 배경: 승모판막 성형술은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에서 적절한 치료이지만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재발과 그에 따른 재수술이 제한점이다. 본 연구는 승모판막 성형술 후 재발의 원인에 대해 술기와 판막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으로 승모판막 성형술을 받은 49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원인으로는 퇴행성이 252예$(51.5\%)$, 류마티스성이 156예$(31.6\%)$, 다른 원인이 85예$(16.9\%)$였다. 성형술은 링을 사용한 판막륜성형술이 446예$(90.5\%)$, 신건삭 재건술이 227예$(46\%)$, 사각 절제술이 125예$(25.3\%)$, 건삭 전이술이 28예 $(5.7\%)$, Alfieri 방법이 8예$(1.6\%)$였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29.04\pm22.81$개월이었다. 결과: 5예의 조기 사망$(1.01\%)$과 5예의 만기 사망$(1.01\%)$이 있었다. 재수술율은 $1.42\%$였다.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재발은 45예$(9.1\%)$에서 있었다. 24예에서 술기와 동반된 재발이 발생하였는데, 불완전한 성형술로 인한 재발이 14예, 신건삭 길이의 부적합으로 인한 재발이 8예, 기타 원인으로 인한 재발이 2예 있었다. 21예에서 판막 요인에 의한 재발이 발생하였는데, 류마티스성 질병 진행으로 인한 재발이 10예, 건삭의 연장이나 탈출로 인한 재발이 5예, 기타 원인으로 인한 재발이 6예 있었다. 심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은 불완전한 성형술 후 많이 나타났으며(p<0.001),판막 요인에 의한 재발은 류마티스성 진행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결론: 승모판막 성형술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위험 인자로 수술의 완전성이 가장 중요하므로, 초기 성형술 후 수슬장에서 경식도 초음파로 검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불완전한 기계 및 랜덤가공시간을 갖는 폐쇄형 생산시스템의 성능분석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Analysis for Closed-Loop Production Systems with Unreliable Machines and Random Processing Times)

  • 김호균;백천현;조형수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0-253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approximate methods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of closed-loop production systems with unreliable machines and random processing times. Each approximate method decomposes the production system consisting of K machines into a set of K subsystems, each subsystem consisting of two machines separated by a finite buffer. Then, each subsystem is analyzed by three different analyzing methods in isolation. The population constraint of the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is taken into account by prescribing that the sum of average buffer levels in the subsystems is equal to the number of customers in the closed-loop production system. We establish a set of equations that characterize unknown parameters of the servers in the subsystems. An iterative procedure is then used to determine the unknown paramet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se methods provide a good estimation of the throughpu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