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불안정운동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27초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율동적 감각-운동훈련이 여성노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hythmic Sensorimotor Training in Unstable Surface on Balance Ability of Elderly Women)

  • 이한기;이준철;송근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1-19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sorimotor training in unstable surface on balance ability of elderly women. METHODS: Total of 40 subject were recruited from two separated institution for elderly women in Changwon and conveniently allocat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wenty women were inclu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twenty women were in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ensorimotor training in unstable surface and control group were only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ring eight weeks. To assess static balance ability used One leg stance test (OLST) and to assess dynamic balance ability used timed up and go test (TUGT) and Functional reach test (FRT). RESULTS: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balance ability. However static balance ability in experimental group improved on hard or soft surface only eye open condition. Also dynamic balance ability in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UGT or FRT. CONCLUSION: Sensorimotor training in unstable surface improved balance ability of elderly women.

자기보상 동적균형기의 동적안정성 연구 (An Investigation of Dynamic Stability of Self-Compensating Dynamic Balancer)

  • ;이종길
    • 소음진동
    • /
    • 제4권4호
    • /
    • pp.435-442
    • /
    • 1994
  • 자기보상 동적균형기는 홈이파인 원형판에 강구와 저점성유체를 지닌 구조체 이다. 유도된 운동방정식의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섭동이론을 통하여 무차원화 한 시간에 따라 섭동방정식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안정성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임계속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beta$'이 3.8 이상이면 자기보상 동적균형기는 정상 작동(안정성)을 하였으나 임계속도보다 낮은 범위에서는 어떠한 $\beta$'에 대해서도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뇌졸중 환자의 낙상위험도와 균형 및 보행능력에 대한 안정 지면과 불안정 지면에서의 과제지향적 균형운동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ask-oriented Balance Training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for Fall Risk, Balance, and Gait Abilities of Patients with Stroke)

  • 강태우;김범룡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9-9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ask-oriented balance training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in terms of the fall risk,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stroke were divided randomly into a stable surface group (SSG, N=10) or unstable surface group (USG, N=10). The participants in the SSG and USG performed task-oriented balance training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respectively. Al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the Tetrax, Berg balance scale (BBS), and 10-meter walking test (10MW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Both groups received training 30 min per day, five times per week, for six weeks. RESULTS: The within-group changes in the fall risk, BBS, and 10MW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USG and SSG (p<.05). USG showe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in the BBS and 10MWT compared to SSG (p<.05). CONCLUSION: Task-oriented balance training on an unstable surface is more beneficial in improving the balance and gait abilities of stroke patients.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양측성 과제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다리 근활성도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lateral Arm Motor Coordination Exercises Conducted on Unstable Support Surfaces on Leg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 강정일;정대근;백승윤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65-72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influence of bilateral coordination exercises on unstable support surfaces on leg muscle activation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Two groups were recruited for comparison: an experimental group of 10 individuals who performed bilateral coordination exercises on unstable surfaces and a control group of 10 individuals who performed the same exercises on stable surfaces. All participants were assigned randomly. Pre-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leg muscle activation and balance levels of the participants prior to the experiment. The intervention was comprised of three 30-minute weekly sessions for four weeks, followed by a post-test after the four-week period.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in relation to all muscles (p < .01) and balance (p < .05). Within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relation to the rectus femoris muscle, biceps femoris muscle, and balance (p < .05).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nly observed in relation to the tibialis anterior and soleus muscles (p < .05). CONCLUSION: Only the tibialis anterior and soleus musc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effectiveness may be attributed to using an ankle strategy to maintain body balance during exercise on unstable surfaces.

불연속 지형조건에 대한 Saint-Venant 방정식의 정해법 (Exact solver of Saint-Venant system with discontinuous geometry)

  • 정재영;황진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6-256
    • /
    • 2021
  • Saint-Venant 방정식은 수평규모가 수심규모보다 큰 천수흐름을 기술하는 수리동역학 모형으로 지난 수십년간 공학적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최근에도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 홍수의 위기 증대로 홍수위기관리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홍수파(flood wave), 도시침수(urban inundation), 돌발홍수(flash flood) 등의 신속한 예측을 위한 Saint-Venant 방정식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와 같은 인공구조물이 즐비한 상황에서 천수흐름을 해석하는 고전적인 수치해법들은 다양한 불연속 지형들의 존재로 인하여 불안정하며 지배방정식의 정해로 수치해가 잘 수렴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지난 수년간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불연속한 지형을 안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치기법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정해로의 수렴성, 정확성에 관하여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치해법의 주요 구조를 구성하는 Saint-Venant 방정식의 불연속한 지형조건에 대한 리만 문제의 정해를 연구하였다. 쌍곡선형 시스템의 특징을 고려하여 요소파들(elementary waves)의 공식을 유도하였는데, 질량과 에너지의 보존법칙에 위배되지 않으며 운동량이송부의 비선형성과 지형의 불연속에 의한 비엄격성을 고려할 수 있는 조건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도된 요소파들을 바탕으로 L-M & R-M 커브이론(Han et al. 2014)을 사용할 수 있는 조건과 당위성을 증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Saint-Venant 방정식의 정해법을 구성하였다. 리만문제의 다양한 초기조건들을 바탕으로 모든 경우의 정해 구조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불연속 지형에 대한 Saint-Venant 지배방정식의 정해가 다수해를 갖을 수 있음을 보였으며, 이를 근사할 수 있는 수치기법의 전략을 소개하였다.

  • PDF

비정규격자계 해양순환 모델을 이용한 하구에서의 담수 유출분석 (Fresh Water Flume Analysis Using an Unstructured Grid Ocean Circulation Model)

  • 황진환;박영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27-234
    • /
    • 2009
  • 강에서 유출된 담수가 연안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인 담수풍선의 특성을 비정규격자계를 사용하는 유한체적모델(FVCOM)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강에서 바다로 유출된 담수는 하류 쪽(강에서 바다를 보면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연안경계류와 강 하구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커지는 와류형태의 담수풍선(bulge)을 만든다. 이 담수풍선의 중심에서 수직운동이 유도되어 담수가 해저면 까지 이동한다. 조석을 고려하면 담수풍선이 사라지고, 연안경계류의 폭이 넓어진다. 간단한 염분비교방법을 이용하여 조석에 의한 성층 및 혼합의 변화를 비교하여 조석이 연직혼합을 강화시킴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담수가 방출되기 시작한 초기에는 조석에 의한 왕복운동에 의해 조석이 고려된 경우에 수평혼합이 더 크게 나타나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수직혼합에 의해 하구역의 염분이 낮아져 있어, 강 하구에서 담수의 왕복운동이 전체적인 수평 확산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진다. 조석이 없는 경우 연직혼합 없이 주로 표층에서만 관성불안정에 의해 수평 확산/혼합이 이루어져 수평 확산계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증가한다.

  • PDF

콘크리트 삼점휨 시험편의 동적 파괴거동 (Dynamic Fracture Behaviors of Concrete Three-Point Bend Specimens)

  • 연정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689-697
    • /
    • 2002
  • 콘크리트 삼점휨 시험편의 변위제어에 의한 동적 파괴실험으로 하중과 하중점-변위가 측정되었다. 변형률 게이지를 사용하여 균열의 성장길이가 측정되었으며, 균열이 성장되는 동안의 평균속도는 0.16 ~ 66 m/sec이었다. 균열성장에 대한 파괴에너지는 측정된 외부일에 대한 하중점-변위에 대한 운동에너지와 영구변형이 고려되지 않은 탄성에너지의 차이로부터 계산되었다. 모든 균열속도에 대해 23mm의 균열성장 동안 미소균열이 성장되며, 51 mm의 최대 탄성0에너지까지 안정 균열성장과 이후의 불안정 균열성장을 보였다. 균열속도가 66msec인 경우를 제외하고 80mm의 균열성장에서 균열성장의 구속이 관측되었다. 균열속도에 대한 파괴에너지와 파괴에너지율의 분석은 13mm/sec보다 느린 경우에 정적 거동을 그리고 1.9m/sec보다 빠른 속도에서 동적 거동을 보였다. 동적 실험에서 측정된 하중과 하중점-변위 관계의 큰 차이에도 불구하고 관성력과 균열성장길이 그리고 탄성에너지의 차이로 불안정 균열성장 이전의 균열속도에 대한 파괴저항은 균열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안정 균열성장 동안의 최대 파괴저항은 최대하중 이후 최대 탄성에너지에서 발생되며, 동적 실험이 정적 실험보다 147% 큰 값이었다.

감각운동 리듬(SMR파)파 직접노출에 의한 심리적 불안상태 해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itigation of Psychological Instability of Soldiers by Direct Exposure to the SMR Wave)

  • 김경래;김규범;조형석;박정순;김형준;여선구;민병찬
    • 감성과학
    • /
    • 제22권3호
    • /
    • pp.103-108
    • /
    • 2019
  • 휴전국인 우리나라는 의무복무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취업 및 진학을 한 20대 초반의 사회 초년생은 군입대 문제로 많은 고민과 큰 걱정을 하고 있다. 이에 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군 생활 적응은 사회가 같이 풀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방송사 등 문제 해결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있으나 역부족이다. 실제 군 입대 후 스트레스 및 불안정 심리상태의 장병 비중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군 생활에서 일상적인 방법을 통해 스트레스, 불안감을 감소시키고, 집중력을 향상 시키고자 실행하였다. 주의 집중력 증가 및 스트레스, 불안감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SMR파 대역의 주파수를 직접 노출시킨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대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는 신뢰수준 95%에서 t=2.487, p=0.042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즉, 가상사격영상에서 특정 주파수를 제시한 실험군의 피실험자들이 스트레스 및 불안정 심리의 완화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를 활용하면 젊은 장병들의 군 생활 적응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심전도와 뇌파의 상관관계의 확인이 필요하다.

불안정지지면과 안정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훈련이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kle Balance Training on Unstable and Stable Surface on Proprioception, Balance and Muscle Strength in Obese Middle-Aged Woman)

  • 한준호;우성희;이효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0-583
    • /
    • 2018
  • 본 연구는 지지면에 따른 발목균형훈련이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감각, 균형 및 근력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동의한 중년여성 30명중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훈련을 시행한 실험군I의 15명과 안정 지지면에서 훈련을 시행한 실험군II의 15명에게 총 6주간 매회 30분씩 훈련하였다. 훈련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훈련 전 고유수용성은 Dualer IQ 디지털 경사계로 검사를 시행하였고 균형은 BT4로 검사하고 근력은 도수근력검사기로 검사를 하고 훈련 후 다시 재측정하였다. 이에 실험군I,II 모두 고유수용, 균형, 근력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불안정한 지지면과 안정된 지지면에서의 발목균형운동은 비만중년여성의 고유수용성, 균형, 근력이 향상되는 프로그램이다.

  • PDF

불안정 지면에 앉아 추가적으로 수행한 몸통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al Trunk Exercises on an Unstable Surface on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 봉순녕;김용남
    • PNF and Movement
    • /
    • 제16권2호
    • /
    • pp.249-25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additional trunk exercises on an unstable surface on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Sixtee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n=8) and control group (n=8). All the participants underwent a typical physical therapy program for 30 min a day.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30 min trunk exercise program on an unstable surface, whereas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a 30 min trunk exercise program on a stable surface. Both groups performed the exercises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The Berg Balance Scale (BBS) was used to measure changes in balance. The gait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the GAITRite system (CIR System Inc., Clifton, NJ, USA) to examine changes in walking ability. Results: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tragroup improvement in balance, gait speed, cadence, stride length, and double support period (p<0.05). In the intergroup comparisons after the interven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ver the control group in balance, gait speed, cadence, stride length, and double support period (p<0.05). Conclusion: This study applied additional trunk exercises on an unstable surface to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atients' balance and walking abilities. Therefore, trunk exercise on an unstable surface may be applicable as an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the balance and walking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