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해시간

검색결과 3,191건 처리시간 0.036초

활성오니에서 분리한 pentachlorophenol 내성균주의 pentachlorophenol 제거에 관한 연구 (Removal of pentachlorophenol by pentachlorophenol resistant strains isolated from activated sludge)

  • 박연희;조성은;이우상;조도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4호
    • /
    • pp.242-247
    • /
    • 1992
  • 서울시 중량천 하수처리장의 활성오니로부터 총 20주의 pentachlorophenol(PCP) 내성균주들을 분리하여 B. sphaericus B-2와 B. schlegelii B-13를 포함한 Bacillus spp. 9주, Corynebacterium spp. 4주, Staphylococcus aureus S-1 1주, Aeromonas spp. A-19 1주, Arthrobacter LN-3 1주로 동정하였다. 이 균주들은 $200{\sim}300\;ppm$ PCP와 0.1% glucose가 포함된 mineral salt 배지에서 생육하였으며 PCP를 분해하는 종류 13주와 분해하지 못하고 흡착 혹은 흡수하는 종류 7주로 구분되었다. PCP 분해균주들은 대부분 배양 24시간후 생육이 최고에 도달하여 PCP를 약 $75{\sim}90%$ 분해하였으며 PCP 흡착 혹은 흡수하는 균주들은 흡착한 PCP를 배양 24시간 이후 또는 72시간 이후에 방출하였다. PCP 분해균주 B. sphaericus B-2, B. schlegelii B-13의 분해 산물을 TLC를 이용하여 검출한 결과 B. sphaericus B-2의 배양액에서 2-chlorophenol, B. schlegelii B-13에서는 2,4-dichlorophenol로 추정되는 물질과 4종의 분해산물로 보이는 물질들을 검출하였다.

  • PDF

과열(過熱) 증기(蒸氣)를 이용한 국내 폐기물(廢棄物) 유기성(有機性) 성분의 분해(分解) 특성 연구 (Degradation of Organic Component in MSW by Super-heated Steam)

  • 김우현;노선아;민태진;성현제;박성범;장하나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6호
    • /
    • pp.10-17
    • /
    • 2009
  • 과열 증기를 이용하여 생활 폐기물내 유기성 성분의 분해를 수행하고 폐기물의 특성 및 반응 시간이 폐기물의 분해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과열 증기를 이용한 분해 후 음식 및 폐지와 같은 생분해성 유기 성분은 쉽게 분해되었고 생분해성 유기 성분중 나무와 석유계 유기성 성분인 플라스틱, 금속과 같은 무기성 성분이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쉽게 분리가 가능한 상태를 형성하였다. 입자의 크기 변화를 살펴본 결과 폐기물 내 생분해성 유기 성분이 적을수록 짧은 반응 시간에도 높은 입자 크기 감소를 보였으며 반응 시간이 60분 이상에서 최대 90% 이상의 입도 감소를 나타내었다.

Oil shale의 열분해 특성 연구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Oil Shale)

  • 노선아;윤진한;길상인;이정규;김한석
    • 청정기술
    • /
    • 제24권4호
    • /
    • pp.365-370
    • /
    • 2018
  • Oil shale은 kerogen을 함유한 퇴적암으로 대표적인 비재래 에너지자원으로 알려져 있다. 열분해 공정을 통하여 oil shale이 분해되면 oil, gas 및 coke를 생성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oil shale의 청정 전환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oil shale의 TGA 및 연속 열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Oil shale의 열분해 전환율에 대한 반응 온도 및 체류시간의 영향을 살펴보고 oil의 생성율을 살펴보았다. Oil shale의 열분해 전환율은 온도와 체류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450{\sim}500^{\circ}C$, 체류시간 30 min의 조건에서 최대 oil 생산 수율을 나타내었다.

판크레아틴 소화효소의 활성화 조건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Conditions of Pancreatic Enzymes)

  • 김동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76-280
    • /
    • 2011
  • 돼지 췌장에서 추출한 판크레아틴 효소들의 활성화 조건에 대해 조사하였다. 십이지장의 첨가는 췌장의 단백질분해효소와 지방분해효소의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췌장액에 10% 십이지장을 첨가하여 $30^{\circ}C$에서 90분간 반응시키거나 $25^{\circ}C$에서 4시간 반응시켰을때 췌장의 단백질분해효소와 지방분해효소의 활성화는 정점에 도달하였고, 전분분해효소의 활성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2$5^{\circ}C$에서 4시간의 효소활성화, 원심분리, 아세톤침전 및 동결건조의 연속 공정으로 제조한 판크레아틴 효소들의 비활성도는 단백질분해효소 136 U/mg, 지방분해효소 170 U/mg 및 전분분해효소 400 U/mg으로 나타났다. 확립된 공정에 의해 제조된 판크레아틴은 USP 기준의 5.4배의 단백질분해효소, 58배의 지방분해효소 및 16배의 전분분해효소 활성을 보유한 고활성의 제품이었다.

발육단계별로 정제한 폐흡충 시스테인계열 단백분해효소의 IgG 분해양상 (Activities of different cysteine proteases of Pcrogonimn westermani in cleaving human IgG)

  • 정영배;양현종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2호
    • /
    • pp.139-142
    • /
    • 1997
  • 폐흡충 피낭유충 4주, 7주 및 16주 충체에서 분자량 15, 17, 27, 28 및 53 kDa인 시스테인 단백질 분해효소를 정제하고 각 효소가 IgG를 분해하는 양상을 비교하였고. 탈낭시킨 폐흡충 피낭 유충을 IgG 용액에 배양하여 유충이 분비하는 27 및 28 kDa 단백질분해효소가 IgG을 분해하는 양상을 관찰하였다 1시간 배양하였을 때 IgG heavy chain은 Fab로 분해되었으며 10시간 반응시킨 결과 전체 IgG 분자가 분해되었다. 피낭유충에서 정제한 27 및 28 kDa 효소, 4주, 7주(성장충) 충체 및 16주 성충에서 정제한 15, 17, 27, 28, 53 kDa 효소와 IgG를 반응시킨 결과 모 든 효소가 IgG를 hinge region에서 분해하였다. IgG 분해 양상은 피낭유충에서 가장 강하고, 성충으로 성장하면서 각 효소의 IgG 분해능이 점차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식품단백질 효소가수분해물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작용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Food Proteins)

  • 염동민;노승배;이태기;김선봉;박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6-233
    • /
    • 1993
  •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로 식품단백질로부터 생리활성 peptide의 생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효소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작용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수분해에 따른 ACE 저해능은 가수분해 8시간까지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그 후로는 완만하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복합효소, bromelain 및 pepsin등에 의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trypsin 및 $\alpha$-chymotrypsin에 의한 egg albumin 및 casein 가수분해시에는 가수분해 8시간 이후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ACE 저해능은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열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조성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glutamic acid의 함량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gg albumin 가수분해물의 경우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적은 반면 alanine 및 cysteine의 함량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Gel 여과에 의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획분별 ACE 저해작용은 서로 비슷한 획 분에서 나타났으며 이 때의 분자량은 1,400부근으로 나타났다. 5. Gel 여과에 의한 ACE 저해작용 획분의 아미노산 조성은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AC 공정에서의 고지혈증 치료제 생물분해 특성 (Biodegradation of Blood Lipid Lower Agents (BLLAs) in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Process)

  • 염훈식;손희종;류동춘;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24-131
    • /
    • 2017
  • 생물활성탄 공정과 안트라사이트를 여재로 사용한 biofilter에서 공탑 체류시간(EBCT)과 수온의 변화에 따른 8종의 고지혈증 치료제류(blood lipid regulator agents, BLLAs)의 생물분해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온 $8^{\circ}C$, $16^{\circ}C$$24^{\circ}C$에서 공탑 체류시간을 5분~15분까지 변화시켰다. 생물활성탄 공정에서 고지혈증 치료제류 8종의 생물분해 제거율은 공탑 체류시간과 수온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공탑 체류시간과 수온이 증가할수록 생분해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고지혈증 치료제류의 종류에 따른 생물활성탄 공정에서 생분해 제거율은 statin계의 경우 simvastatin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mevastatin, fluvastatin 및 atorvastatin 순이었다. 또한, Fibrate계 고지혈증 치료제들의 생물분해능은 fenofibrate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gemfibrozil, bezafibrate, clofibric acid순이었다. BAC 공정에서 생물분해 제거능이 가장 낮은 clofibric acid와 atorvastatin의 생물분해 속도상수($k_{bio}$)는 수온이 $8^{\circ}C$에서 $24^{\circ}C$로 상승하였을 경우, 각각 $0.0075min^{-1}$$0.0122min^{-1}$에서 $0.0540min^{-1}$$0.0866min^{-1}$으로 증가하여 각각 7.2배 및 7.1배 정도 증가하였다.

TiO2 나노입자 광촉매 반응에 의한 비스페놀 A의 분해 제거 및 독성 저감 (Photocatalytic Degradation and Detoxification of Bisphenol A Using TiO2 Nanoparticles)

  • 조아영;정진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4호
    • /
    • pp.330-336
    • /
    • 2015
  • 본 논문은 수용액에서 $TiO_2$ 나노입자 (Degussa P25) 광촉매 반응에 의한 비스페놀 A (BPA)의 분해 제거를 연구하였다. 3시간의 광촉매 반응 (자외선 파장 = 365 nm, 자외선 강도 = $3mW\;cm^{-2}$, $TiO_2$ 농도 = $2.0g\;L^{-1}$)에 의하여 98%의 BPA ($1.0{\times}10^{-5}M$)와 89%의 총유기탄소가 제거되었다. 그리고 광분해, 가수분해와 흡착반응에 의한 BPA의 분해 제거는 각각 2%, 5%와 13%로 나타났다. 광촉매 반응에 의한 BPA의 분해 제거는 수산화 라디칼의 소광제인 메탄올의 농도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였다. 이것은 BPA와 수산화 라디칼의 반응이 BPA 분해 제거의 주요한 기작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이 반응의 초기 유사 1차 속도 상수는 $7.94{\times}10^{-4}min^{-1}$로 계산되었으며, BPA 90%를 분해 제거하는 시간은 25분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광촉매 반응에 의한 BPA의 독성 저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물벼룩 (Daphnia magna, 생후 24시간 미만)을 이용한 급성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물벼룩에 대한 BPA의 급성독성 (48시간)은 초기 2.93 TU (독성 단위)였으며, 3시간의 광촉매 반응 후에는 무독성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BPA의 광촉매 반응에서 독성 분해산물이 생성되지 않는 다는 것을 제시한다.

회분식 초음파 전처리를 이용한 하수슬러지의 분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integration of Sewage Sludge using Batch Ultrasonic Pretreatment)

  • 고현웅;정병길;정연화;김형석;장성호;성낙창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4호
    • /
    • pp.121-129
    • /
    • 2004
  • 혐기성 소화공정은 하수슬러지의 안정화와 VS 감소 및 바이오가스 생산의 장점으로 인해 가장 일반적인 하수슬러지 처리공정이다. 혐기성 소화공정에서 하수슬러지의 분해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가수분해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전처리 방법들이 연구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초음파의 음향강도와 조사시간에 따른 하수슬러지의 초음파 분해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초음파의 음향강도와 조사시간에 따른 하수슬러지의 초음파 분해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은 초음파의 발진주파수를 40kHz로 하여 초음파 조사밀도를 각각 33W/L, 70W/L, 88W/L 및 139W/L로 변화시켜 조사하였고, 초음파 조사시간을 각각 10분, 20분, 25분, 30분, 그리고 40분으로 변화시켜 잉여슬러지와 혼합슬러지의 분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잉여슬러지와 혼합슬러지 분해에 대한 $SCOD_{Cr}/TCOD_{Cr}$비의 변화 비교에서 초음파 발진주파수가 40kHz일 때 초음파의 음향밀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조사시간이 길어질수록 $SCOD_{Cr}/TCOD_{Cr}$의 비가 증가함을 보였다. 초음파 전처리 후에 잉여슬러지와 혼합슬러지의 pH는 발진주파수 40kHz에서 음향밀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조사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 PDF

초임계수를 이용한 표고버섯 골목의 가수분해 (Supercritical Water Hydrolysis of Waste Logs after Oak Mushroom Production)

  • 구본욱;이재원;최준원;최돈하;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6호
    • /
    • pp.81-95
    • /
    • 2006
  • 표고버섯 골목의 바이오에탄올 생산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 새로운 당화 공정으로 주목받고 있는 초임계수 가수분해 공정에 대한 기초 기술을 제공하기 위하여 버섯 골목으로 사용되는 상수리나무 정상재를 다양한 초염계수 가수분해 공정에 적용하고 분해산물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초임계수 가수분해 반응 시간 및 온도의 증가에 의하여 수용성 분해산물 및 비수용성 잔사의 색 진해짐, 분해율의 증가 그리고 비수용성 잔사의 결정화도가 증가하였다. 반응 압력의 증가는 낮은 반응 온도와 짧은 반응 시간 조건에서만 분해 산물의 색변화 및 분해율의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 초염계수 가수분해는 반응 초기에 hemicellulose의 분해가, 반응 후기에는 cellulose 분해가 진행되었다. 반응 시간의 증가는 당화 수율을 향상시켰고 반응 온도의 증가는 $415^{\circ}C$까지는 당화 수율을 증가시켰지만 $415^{\circ}C$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시켰다. 낮은 반응 온도조건에서 반응 압력의 증가는 당화 수율을 증가시컸지만, 높은 반응 온도 조건에서는 오히려 당화 수율을 감소시켰다. 확인된 당화 수율의 결과를 토대로 상수리나무 정상재의 최적 초엄계수 가수분해 조건은 $415^{\circ}C$, 23 MPa, 60초로 결정하였으며, 당화 수율은 2.68%로 확인되었다. 결정된 최적 조건에서 골목의 초임계수 가수분해를 실시한 결과 당화 수율이 3.58%로 정상재의 당화 수율보다 높았다. GC-MS를 이용한 수용성 분해산물의 분석 결과, 주요 분해 산물은 1,1'-oxybis-benzene과 1,2-benzendicarboxylic acid로 확인되었고, 낮은 분해율을 보인 반응 조건에서는 pentadecanoic acid, 14-methyl-heptadecanoic acid 등과 같은 지방산류가 공통적으로 검출되었다. 반응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henol, benzene류의 증가가 확연되었지만 비수용성 잔사에서는 반응 압력의 차이에 의한 분해 산물의 변화는 없었다. 비수용성 잔사의 성분 분석 결과 60.6~79.2%의 holocellulose를 함유하고 있었고, 산 촉매 가수분해에 의하여 49.2~67.5%의 당화 수율을 보여주었다. 희산을 이용한 수용성 분해산물의 2차 가수분해에 의하여 수용성 분해 산불 내 당화 수율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