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진시료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A Study on the Smoldering hazard of Rice bran dust. (쌀겨 분진의 훈소 위험성에 관한 연구)

  • 이창우;김정환;현성호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3 no.2
    • /
    • pp.12-17
    • /
    • 1999
  • We intended to investigate combustion properties of rice bran dust. Combustion properties of h rice bran dust according to size distribution and amount were measured as temperature v variation with time using spontaneous ignition apparatus. Moreover, combustion properties w with blowing or without blowing condition were checked in order to investigate combustion p properties in spontaneous ignition apparatus according to flow condition of air. A As the mass and size of rice bran dust was increased, i띠ti외 smoldering temperature was l lowered. All of combustion forms were smoldering combustion. Initial smold얹ing temperature w was slightly lower with blowing condition than without blowing condition in spontaneous i ignition apparatus, which condition made heating value high.

  • PDF

Distribu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with Particle Size(Fine and Coarse) of Air Particles in Daejeon Region(∥) (대전지역 대기분진의 입경별 원소분포와 통계적 오염원 분류(∥))

  • 문종화;김선하;임종명;정용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95-296
    • /
    • 2003
  •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과 규제가 증가하고 쾌적한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기, 물, 토양, 생물 등과 같은 여러가지 환경시료의 분석을 통하여 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 오염원을 규명하여 환경관리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여러 가지 환경시료중 대기분진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발생원에 따라 다양한 원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환경지표시료로 이용되고 있다. 오염원의 규명을 위한 소량의 휠터상 분진시료로부터 원소의 정확한 분석은 필수적이고 중요한 선행작업이며 적합한 측정분석법의 이용이 요구된다. (중략)

  • PDF

A Comparative Assessment of INAA and ICP-MS for the Analysis of Airborne Trace Elements (대기입자 중 미량원소의 중성자방사화분석과 유도결합프라즈마분광법의 비교평가)

  • 이현석;임종명;장미숙;이진홍;문종화;정용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39-240
    • /
    • 2002
  • 유해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수용 모델링을 위해 대규모의 분진시료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나 현재로서는 미미한 실정이다. 대규모의 분진시료를 대상으로 미량금속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 국내 연구에서 사용된 XRF, ICP-AES, PLXE 분석법 대신 검출 한계가 매우 낮고 재현성이 뛰어난 중성자 방사화 분석법(INAA)과 플라스마 분광법(ICP-MS)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분야에의 적용성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유용한 연구일 것으로 판단된다. (중략)

  • PDF

Intercomparison and Determination of Trace Elements in Urban Dust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중성자방사화분석법을 이용한 대기분진중의 미량원소 비교분석)

  • Chung, Yong-Sam;Moon, Jong-Hwa;Kim, Sun-Ha;Park, Kwang-Won;Kang, Sang-Hu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3 no.2
    • /
    • pp.179-188
    • /
    • 2000
  • Trace elements in air samples artificially loaded on filters with urban dust and the bulk material of urban dust as an environmental sample were determined non-destructively using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Standard reference material (Urban Dust, SRM 1648)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 and Technology was used for the analytical quality control. The relative error for 37 elements was less than 15%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less than 10%. 29 elements in the urban dust and 21 elements in the loaded filter sample were determined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proficienc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data intercomparison was performed and 39 analytical laboratories participated in the analysis using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neutron activation analysis, particle induced X-ray emission analysis, X-ray fluorescence analysis and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Z-scores were calculated using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laboratorie's mean as target standard deviation, and a good result was obtained that the values fall between -1 and +1 except some elements.

  • PDF

A Rapid Method for Analysing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Urban Dust Us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허귀석, 김달호 (초임계유체추출과 GC/MS를 이용한 도심 대기분진 중 PAH들의 신속한 분석법에 관한 연구)

  • Heo, Gwi Seok;Kim, Dal Ho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8 no.10
    • /
    • pp.726-733
    • /
    • 1994
  •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followed by gas chromatographic separation and mass spectrometric (MS) detection were used in rapid analysi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air particulate material extracted for 30 min with 10 ml of supercritical $N_2O$ without another sample preparation step. Two samples, urban dust in Seoul area and a certified air particulate reference material 1649 supplied by the NBS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were process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extraction and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the quantitative recovery of PAH's in the SFE method was relatively lower than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ion methods, but reproducibility was resonable, and analysis time was reduced remarkably. The method has proved to be suitable for monitoring of PAH's in air particulate material.

  • PDF

Distribu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of Fine and Coarse Air Particles in Daejeon region (대전지역 대기분진의 입경별 원소분포와 통계적 오염원 분류)

  • 문종화;김선하;박광원;임종명;정용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88-289
    • /
    • 2002
  •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과 규제가 증가하고 쾌적한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기, 물, 토양, 생물 등과 같은 여러 가지 환경시료의 분석을 통하여 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 오염원을 규명하여 환경관리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여러 가지 환경시료 중 대기분진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발생원에 따라 다양한 원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관측시료로 이용되고 있다. (중략)

  • PDF

Consideration of Analysis Method of Asbestos and Existing Condition for Fibrous Materials in Domestic Air (국내 공기 중 섬유상 물질의 존재실태와 석면의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

  • Hwang, Jinyeon;Oh, Jiho;Lee, Hyomin;Lee, Jinhyun;Son, Byeongseo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8 no.2
    • /
    • pp.165-171
    • /
    • 2015
  • Dust samples collected from air in metropolitan areas of Busan and Ulsan were analyz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phase contrast dispersion microscopy and SEM. Asbestos concentration in dust samples was lower than detection limit. Many fibrous materials were observed in dust samples, but most of them were organic fibers. Inorganic fibers such as rock fiber, ceramic fiber and gypsum were contained in the samples and non-fibrous minerals such as quartz, calcite and feldspar were also occasionally observed. Domestic law requires that asbestos in air dust is mainly analyzed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From this study, however, precise analysis of asbestos was almost impossible by this method only. As indicated in JIS method of Japan, therefore, count and identification of asbestos were more efficient by dispersion staining method after removing organic materials in samples by low temperature incinerator.

Elemental Distribution and Source Identification with Particle Size(Fine and Coarse) of Air Particles in Daejeon Region($\mid$$\mid$$\mid$) (대전지역 대기분진의 입경별 원소분포와 통계적 오염원 분류($\mid$$\mid$$\mid$))

  • 문종화;김선하;임종명;정용삼;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409-410
    • /
    • 2003
  •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과 규제가 증가하고 쾌적한 주변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기물, 토양, 생물 등과 같은 여러가지 환경시료의 분석을 통하여 오염의 정도를 파악하고 오염원을 규명하여 환경관리정책에 반영하려는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여러 가지 환경시료중 대기분진은 자연적 또는 인위적 발생원에 따라 다양한 원소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환경지표시료로 이용되고 있다. 오염원의 규명을 위한 소량의 휠터상 분진시료로부터 원소의 정확한 분석은 필수적이고 중요한 선행작업이며 적합한 측정분석법의 이용이 요구된다. (중략)

  • PDF

퇴적 마그네슘의 승온속도와 열분해특성

  • Han, U-Seop;Lee, Su-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16-116
    • /
    • 2013
  • 마그네슘은 스마트폰, 전자기기 케이스, 내화벽돌과 아크용접봉 제조시의 첨가물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재활용을 위한 마그네슘 용해로를 취급하거나 가공하는 사업장이 증가하고 있어 사고위험성이 높아지고 있다. 금속분을 취급하는 사업장에서의 금속분진은 저장이나 축적 등과 같이 주로 퇴적물로서 존재한다. 퇴적분진의 발화온도는 퇴적물 형상과 두께, 입경, 분위기 가스의 유속, 산소농도, 부유분진의 농도, 퇴적밀도, 수분 등의 많은 영향인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이론적 예측이 힘들고 실험적인 측정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소성이 높고 화재폭발사고사례가 많은 마그네슘(Mg) 분진을 사용하여 승온속도 변화에 따른 열분해특성을 조사하였다. 퇴적분진의 열적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METTLER TOLEDO의 TGA/DSC1를 사용하였으며, Mg 시료의 평균입경은 38, $142{\mu}m$이다. 입경 $38{\mu}m$의 Mg 시료의 열중량분석 결과, 중량증가는 $400{\sim}500^{\circ}C$의 범위에서 시작되며 $550^{\circ}C$에서 급격하게 중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증량증가개시온도(Temperature of weight gain)는 $460^{\circ}C$에서 시작하여 $900{\sim}950^{\circ}C$ 범위에서 중량 증가 포화값에 도달하였다. 입경 $142{\mu}m$의 Mg에 대하여 공기중 승온속도를 5, 10, $20^{\circ}C/min$으로 변화시키면서 실온에서 $900^{\circ}C$까지 가열 시키는 경우의 시료의 중량 변화에 따른 열분해 특성은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2단계의 S자 곡선은 완만하게 상승을 나타내며 중량증가개시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중량증가개시온도가 승온속도에 따라 변화하는 결과를 나타내고는 있지만, 시료량의 증가에 따른 영향을 열중량분석 실험방법의 제약으로 인하여 확인할 수 가 없었다. 그러나 만일 시료량이 크게 증가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승온조건에서 중량증가 개시온도는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중량증가는 시료의 산화반응에 의한 것이므로 시료량의 증가는 시료 내부에의 열의 축적을 용이하게 하여 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산화반응이 충분히 일어나는 조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승온속도가 증가할수록 산화 반응한 괴상형태의 연소입자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승온속도에 따른 중량개시온도 곡선을 보면 [그림 24]와 같으며 승온속도 5, 10, $20^{\circ}C/min$의 증가에 따라 중량개시온도는 각각 490, 510, $530^{\circ}C$가 얻어졌으며 승온속도의 증가에 따라 중량개시온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Characteristics of Trace Metals by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in Taejon Industrial Complex (기기 중성자 방사화 분석법을 이용한 대전공단지역의 대기중 미량 금속의 특성)

  • 구부미;임종명;장미숙;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23-124
    • /
    • 2001
  • 본 연구는 대전 1, 2 공단지역을 대상으로 2000년 4월부터 2001년 1월까지 매주 1회, 24시간동안 분진시료를 포집하고, 포집된 42개의 시료를 대상으로 기기 중성자 방사화 분석법을 이용하여 독성 중금속을 포함한 약 30여종의 미량금속을 정량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