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절 절제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64초

분절성 괴사성 공장염(Segmental necrotizing jejunitis) 1례 (A Case of Segmental Nectotizing Jejunitis)

  • 유지형;김효신;김제우;정기섭;한석주;김호근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222-226
    • /
    • 1999
  • 분절성괴사성공장염은 소아에서 주로 발생되는 드문 질환으로서 복통, 구토 및 혈변을 일으키고, 공장에 괴사성병변을 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금식과 적절한 항생제투여로 대부분 치료가 가능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 절제술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1년 11개월된 여아로 내원 1주일 전부터의 발열, 복통, 구토와 혈변을 주소로 입원하여 치료하던 중 병세가 호전되지 않아 시험개복술과 함께 장간막임파선생검을 시행한 결과 분절성괴사성 공장염으로 확진된 환아 1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동맥 흉곽 출구 증후군을 일으킨 쇄골하동맥 맥관 육종 -1례 보고- (Arterial Thoracic Outlet Syndrome due to Angiosarcoma of the Subclavian Artery a case report)

  • 이철범;함시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160-1165
    • /
    • 1996
  • 저자들은 지금까지 발생보고 예가 없는 좌쇄골하동맥 맥관육종 1례 수술을 치험하였다. 제 1늑골의 기형이 있는 19세 여자 환자로, 1년 전부터 점진적으로 심해진 동맥 흉곽 출구 증후군의 증상을 나타냈다. 쇄골 중앙부를 절제한 후 폐쇄된 쇄골하 동맥 제 3부분과 상완 동맥 분절을 절제하고 대복재 정맥을 이용하여 우회로 조성술을 시행하였다. 쇄골하 동맥의 병리 조직 소견은 벽재성형 맥관 육종이었으며 혈액 응고 인자 WII과 관련되는 항원에 대한 조직 화학적 염색 소견도 양성이었다. 수술전 일상 생활을 할 수 없을 정도 심한 증상이 수술후 거의 소실되었으며, 수술후 4개월된 현재 직장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

  • PDF

근위 경골 골육종의 부분 절제술 - 증례 보고 - (Partial Resection of Osteosarcoma in Proximal Tibia - A Case Report -)

  • 송원석;이승준;원호현;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0-145
    • /
    • 2008
  • 사지 구제술이 보편화된 후 슬 관절 주위 골육종 환자의 재건 방법은 술자의 선호도에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비교적 표준화 되어 있다. 현재 주로 시행되는 사지 구제술 방법으로는 크게 인공관절 치환술, 동종골 이식술이 있다. 인공관절 치환술의 경우 매우 안정적이며 술후 기능적으로도 양호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궁극적으로 파손에 의한 제거술 시행이 필수적인 단점이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때 이식골을 이용한 재건술은 큰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동종골의 사용은 요구되는 크기와 모양을 쉽게 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자가골 이식술은 수술 절제연이 안전하고, 그 적응증이 확립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사지 구제술에 있어 분절 절제법은 골간의 병변에 있어 그 유용성이 확립되어 있으나, 골간단의 병변에 있어서는 시행 적응증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17세 환자의 근위 경골 내측과에 국한적으로 발생한 골육종의 증례에서 내측과 절제만으로도 안전한 절제연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내측과 절제술 및 저온 열처리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본 술식은 추가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소아환자에게 시행하였을 경우, 추후 파손 발생시에도 반측 치환술로 치환 가능한 방법으로 생각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사지 골육종에서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건술 (The Reconstruction with Extracorporeal Irradiated Autograft for Osteosarcoma of Extremities)

  • 김재도;이근우;정소학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
    • /
    • 2010
  • 목적: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의 추시 결과를 생존, 기능적 결과, 합병증의 측면에서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골육종으로 진단받고,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한 3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117개월(17-177개월)이었다. 남자 24예, 여자 7예 였으며 평균 나이는 24세(7-74세)였다. 절제 방법으로 골연골절제 18예, 분절절제 6예, 전관절절제 5예, 조각절제 2예였다. 재건 방법으로 체외방사선 조사를 시행한 자가골 이식군이 25예, 자가골-종양대치물 복합체군이 6예였다. 병리학적 분류 상 중심성 29예, 골막성 1예, 방골성 1예였다. 골육종의 부위는 원위 대퇴골 15예, 근위 비골, 상완골 및 근위 경골 각 3예, 원위 대퇴골, 원위 경골 및 골반골 각 2예, 종골 1예였다. 술 후 기능적 평가를 위해 MSTS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생존율 및 국소 재발,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생존율은 80.6%였고, 무병 생존율은 64.5%였다. 총 9예에서 원격 전이가 있었고, 이 중 5예에서 사망하였다. 국소 재발로 인해 1예에서 무릎위 절단술을 시행하였다. 총 31예 중 23예, 74.1%에서 합병증이 발생되었다. 불유합 7예, 심부 감염 5예, 관절 불안정성 4예, 금속물 문제 2예, 사지 부동(LLD) 2예, 금속물 주위 골절 1예, 골단판 붕괴 1예, 국소 재발 1예였다. MSTS score를 이용한 술 후 기능 평가에서는 평균 62.5%였다. 결론: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자가골 이식은 종양학적, 술 후 기능적 측면에서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분절 절제 및 조각 절제 이후 체외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재건술은 종양학적, 술 후 기능적, 합병증 발생 면에서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다범위 종격동 Dumbbell종양 - 1례 보고 - (Multilevel Dumbbell Tumor of the Posterior Mediastinum -1 Case Report-)

  • 허동명;김병호;조재훈;강동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8호
    • /
    • pp.768-771
    • /
    • 1999
  • 본 증례는 45세 남자환자로서 흉부X-선상 우측폐야에 종괴모양이 발견되어 내원하였다. 입원당시 우측제7 흉신경부위의 피부분절에 감각둔감이 있었고, 컴퓨터 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후종격동에 2개의 종양이 각각 제6 및 제7번 흉추 신경공을 통하여 척주관내로 확장되는 모양이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척수 침범소견은 없었다. 우측개흉술후 제7번 늑골두와 신경공주위의 척추경을 절제\ulcorner 후 종양을 제거하였다. 종양은 신경초종양으로 확진되었으며 수술후 환자는 별다른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 PDF

슬관절부위의 골종양에서 시행한 하지 분절 절제 및 회전 재접합술 (Segmental Resection and Rotationplasty for Bone Tumors about the Knee)

  • 한수봉;우동삼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3권1호
    • /
    • pp.16-23
    • /
    • 1994
  • A segmental resection and rotationplasty was performed in 23 patients with malignant and aggressive boning tumor of the distal femur or proximal tibia between February 1988 and September 1992 at the Severance Hospital. There were 13 male and 10 female patients. The yongest was 5 years old and the oldest was 37 years old. Mean age at operation was 22 years. Of the 23 cases 14 were osteosarcoma, 7 were giant cell tumor and 2 were synovial sarcoma. After an average observation period of 32.5months, there was no evidence of local recurrence but 6 distant metastasis developed. According to Shriner's rating scale, the functional result were excellent or good in all cases. All patient were convinced that they chosen the appropriate operative procedure and the ability to achieve high level of activity was considered as the main benefit.

  • PDF

전방 경유 디스크 절제술 및 유합술과 후방 추간공 절제술에서의 경추 추간공의 형태학적 변화 비교 (Comparison of the Morphometric Changes in the Cervical Foramen: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versus Posterior Foraminotomy)

  • 정성수;선우성;정종철;허기성;김현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12-518
    • /
    • 2021
  • 목적: 경추 추간공 협착증에서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과 추간공 절제술 후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여 그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8년 1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 및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한 186명 중에서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등을 고려한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해 선별된 102예를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술 전 및 술후 5일째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하여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을 시행 받은 군(A군-51명)과 추간공 절제술을 시행 받은 군(B군-51명) 사이의 추간공의 크기 변화 및 임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술 후 A군에서 추간공 수직 직경의 변화는 평균 1.7 mm, B군에서는 평균 1.2 mm로 증가하였으며 A군에서 0.5 mm 높게 나타났다(p=0.042). 추간공 횡단 직경의 변화는 A군에서 평균 1.2 mm, B군에서는 1.8 mm로 B군에서 0.6 mm 넓게 나타났다(p=0.021). Neck disability index (NDI),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JOA) score 모두 양 군에서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A군에서 더 높은 호전을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각각 p=0.356, p=0.607). 결론: 미세현미경과 내시경을 이용한 추간공 절제술은 전방경유 경추 추간판 절제술 및 유합술에 필적하는 임상적 결과를 보였고, 수술 후 경부의 통증 및 불편감을 줄이면서 인접분절의 퇴행변화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경추의 추간공 협착증 환자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 중 하나로 판단된다.

세기관지 유두종 1예 (A Case of Bronchiolar Papilloma)

  • 이상학;김치홍;문화식;송정섭;박성학;장은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792-797
    • /
    • 1996
  • 59세의 여자 환자가 반복되는 폐렴 및 흉수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상 우폐하엽 기저분절에 기관지 확장을 동반한 폐허탈 및 염증성 침윤소견이 관찰되었으며, 기관지내의 종괴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굴곡성 기관지경 검사상 우하엽 기저분절 기관지 입구에 점액성의 백색 표면을 보이는 돌출성 종괴가 관찰되었고 관강은 좁아져 있었으며 감자 생김상 세기관지 폐포암으로 확진되었다. 환자는 우하엽 절제술을 시행받았으며 수술후 증상없는 상태로 12개월째 추적관찰중이다. 세기관지 유두종은 극히 드문 양성 폐종양으로 알려져 있고 국내에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좌측 하폐엽에 공급하는 비정상적인 체동맥의 치료 (수술과 색전술의 비교) (Treatment of Systemic Arterial Supply to Lower Lobe of Left Lung (Operation vs. Embolotherapy): Comparison of Two Cases and Literature Review)

  • 전의용;이광우;구동억;김응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3호
    • /
    • pp.230-235
    • /
    • 2006
  • 폐에 체동맥이 분포하는 선천성 기형은 드문 질환으로 하폐엽의 기저분절에 폐동맥 대신 대동맥에서 1개 이상의 체동맥이 나오는데 정상적인 기관지와 연결 유무에 따라 폐 분획증과 좌측 폐동맥 이상 기시증(Anomalous Origin of Left Pulmonary Artery, AOLPA)으로 구분된다. 한일병원 흉부외과에서는 하행 흉부 대동맥에서 시작되는 비정상적인 체동맥을 가진 두 예의 폐동맥 기형을 경험하고, 1예는 기저분절절제술을, 다른 예는 동맥색전술을 시행하였고, 2년간 관찰한 결과 양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외과적 수술이 이 기형의 근본적인 치료법이지만, 전신상태가 불량하거나 폐기능이 저하된 고위험군에서 동맥색전술도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가능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하지 분절절제 및 회전재접합술자의 의지 보행훈련 증례연구 (A Case Study of Prosthetic Ambulation Training for Rotation-Plasty Client)

  • 이정원;정낙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5-72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rotation-plasty procedure and prosthetic ambulation training. The recent development of chemotherapy and diagnostic facility have permitted the orthopaedic surgeons to try limb saving procedures rather than amputations for the treatment of the malignant bone tumors. If the tumors around the knee joint were treated by mid-thigh amputation or hip disarticulation, it would impose the client with a great handicap for rehabilitation. Rotation-plasty procedure was first done by Borggreve, in 1930 for the congenital short femur. Recently this procedure was used a malignant bone tumor at the distal femur by Kotz and Salzer in 1982. In spite of its cosmetic problem of the distal stump, this procedure has the great functional advantage of converting the above-knee amputation to the below-knee amputation. The inverted foot was also good to control the prosthesis as a below-knee stump and heel functioned as a patella to support the body weight. This 15 years old girl case was had rotation-plasty due to osteosarcoma of the distal femur with 3rd postoperative chemotherapy, and admitted to Yonsei rehabilitation hospital for prosthetic ambulation training. Then, the case had excellent functional results of prosthetic ambulation training with rotaion-plasty after 3 month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