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재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8초

한·중·일 분재산업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onsai Industry in Korea, China and Japan)

  • 유수형;정준래;박율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19-126
    • /
    • 2019
  • 본 연구는 동양 문화권으로 분재 역사가 깊은 한·중·일 분재문화산업의 양식 및 소재 등에서 분재특성을 이해하고 문화적으로 어떤 의미와 변천이 있는지 관련 문헌자료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분재산업의 계획입안 자료를 제공하고자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가, 연령, 연간소득수준, 분재관련 활동경력 측면에서 교차분석, 인식 및 선호조사를 하였다. 분재문화의 인식조사 분석에서 분재를 하게 된 동기 및 목적은 꽃나무가 좋아서, 평소 분재에 관한 기술정보를 획득하는 곳은 분재원이며, 대부분 1곳 이상의 분재동호회에 가입하여 월 1회 이상, 평균 4시간 정도 작품 활동을 하며, 주로 대도시 지역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재문화 선호도 분석에서는 좋아하는 분재의 크기는 중품(20~50cm) 미만, 좋아하는 수종의 특성은 수형의 아름다움으로 나타났다. 분재관련 기술교육에 관한 분석에서는 분재관리 시 손질은 직접 손질, 평소 분재전문가와는 교류를 한다가 높게 나타났고, 전문가와의 교류를 통해서는 분재기술을 배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엽수 분재의 선충 조사 (Survey of Nematodes in Decideous Bonsai)

  • 최진영;정영학;이동운;추호렬;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03-315
    • /
    • 2018
  • 분재는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 임산물이다. 외국으로의 분재수출 요구도는 증가하고 있지만 수출을 위해서는 검역적 위해 요소가 제거 되어야 하는데 식물기생선충도 검역의 중요 대상이다. 우리나라 6개 분재원에서 활엽수 분재[단풍나무(Acer palmatum), 백일홍(Zinnia elegans), 쥐똥나무(Ligustrum obtusiflium), 소사나무(Carpinus turcaninowii), 애기사과(Malus sieboldii)]를 대상으로 발생하는 선충을 조사하였다. 세 종의 식물기생선충[미국검선충(Xiphinema americanum), 둥근꼬리붙이나선선충(Rotylenchus blothrotylus), 한국껍질선충(Hemicycliophora koreana)]과 세 종의 비기생 선충 [등화육각창선충(Aporclaimellus donghwaens), 둥근꼬리붙이나선선충(Egtitus andhricus), 계룡중간창선충(Mesodorylaimus usitatus)]들이 분재로부터 분리되었다. 비기생선충인 계룡중간창선충은 모든 조사 수종에서 검출되었고, 미국 과 EU연합 검역대상 선충으로는 한국껍질선충과 미국검선충의 두 종만 발견되었다. 등화육각창선충과 계룡중간창선충은 분재목 뿌리에서 분리되었고, 나머지 선충들은 토양에서 분리되었다.

가정원예의 월동관리요령

  • 김세원
    • 농약과 식물보호
    • /
    • 제7권1호
    • /
    • pp.23-29
    • /
    • 1986
  • 가정원예라 하면 분재(盆栽), 관엽식물, 난, 분화(盆花), 테라리움(Terrarium), 수경원예(水耕園藝), 정원 수 가꾸기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 분재와 실내식물(관엽식물 및 겨울철 분화)에 대한 월동관리요령과 농약사용법을 알아보기로 한다.

  • PDF

분재(盆栽)의 대량재배(大量栽培)를 위한 관수(灌水)시스템과 관리방법(管理方法)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Bottom Irriga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Cultivation of Bonsai)

  • 이기의;정진형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48-68
    • /
    • 2003
  • 현재 분재재배의 큰 문제점은 높은 노동력에 비해 생산성이 매우 낮은 것이다 본 연구는 관수시스템과 관리방법의 개발로 고품질의 분재를 대량생산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FRP분상에서 재배된 분재는 직수관수나 스프링클러 관수에 비해 저변관수시스템에서 생육이 매우 좋았다. 또한 저면관수시스템은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었고 짧은 기간에 대량생산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비닐하우스내(內)에서 저면관수 시스템의 이용은 조기생산은 물론 고품질의 분재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내한성이 약한 수종들도 겨울재배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시장을 위한 국가경쟁력에 크게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농가 수익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 PDF

분재재배

  • 최정훈
    • 월간양계
    • /
    • 제9권1호통권87호
    • /
    • pp.128-131
    • /
    • 1977
  • PDF

수출분재 주요 해충인 알락하늘소와 유리알락하늘소에 대한 포스핀 훈증 효과 검정 (Evaluation of Phosphine Efficacy on Anoplophora chinensis and A. glabripennis in Export Bonsai)

  • 이상명;정영학;이병호;김봉수;박민구;이동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51-160
    • /
    • 2018
  • 알락하늘소(Anoplophora chinensis)와 유리알락하늘소(A. glabripennis)는 전 세계적으로 검역상 중요한 하늘소과 해충이다. 우리나라에서 이들은 자연 기주목과 분재에서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재에서 phosphine의 이들 두 하늘소에 대한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Phosphine은 솔수염하늘소 유충과 알에 대해 높은 훈증효과를 보였다. $2g/m^3$ 농도의 phosphine을 24시간 훈증처리 시 유리알락하늘소와 알락하늘소 난은 부화하지 못하였고, 알락하늘소 유충은 동일농도에 168시간 훈증처리 시 100% 치사되었다. 분재 생육기(2월)나 휴면기(1월) 모두에서 phosphine 훈증제는 $2g/m^3$ 농도에서 두 알락하늘소를 100% 치사시켰다. 그러나 2월에 각 분재목[단풍나무(Acer palmatum)와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을 대상으로 훈증처리 시, 세 수종 모두에서 잎과 꽃잎의 크기가 작아지고, 꽃의 개화가 지연되는 약해가 발생되었다.

저면관수식(底面灌水式) 분상설비(盆上設備)에 의한 고품질(高品質) 분재(盆栽)의 대량생산(大量生産) (Mass Production of High-Quality Bonsai through Development of Bottom Irrigation System)

  • 이기의
    • 산업기술연구
    • /
    • 제20권A호
    • /
    • pp.5-14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ultivate a large quantity of high-quality Bonsai through the development of bottom irrigation system. Bonsai placed on the FRP bed were grown very well by bottom irrigation system compared with direct watering and sprinkler system. It was concluded that bottom irrigation system was possible to reduce considerable manual labor and produce mass production of high-quality Bonsa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