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위별 수요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Relations between Normal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and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연령과 성별에 따른 정상 혈청 Gamma-glutamyltransferase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의 관계)

  • Kwon, Se Young;Na, Young Ak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48 no.1
    • /
    • pp.22-29
    • /
    • 2016
  •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GGT) has been widely used as a marker of alcohol intake and liver failure. Recently, the relativity between GGT and various diseases has been identified with growing interest. In this study, we examined relativity between GGT value and risk factors of coronary heart diseases among those with normal GGT value, excluding heavy drinkers. Specifically, we compared the differences based on age and gender. Data from the 2011 KNHNES were used (N=3,619). When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quartile based on the serum GGT levels, there was 10~20, 21~27, 28~38, 39~71 IU/L in men, and 6~12, 13~16, 17~22, 23~42 IU/L in women. The mean of most variables was the highest in the $4^{th}$ quartile (Q4), however age and LDL Cholesterol were the highest in the $2^{nd}$ quartile (Q2) in men. The FRS and 10-year CHD risk was the highest in the $2^{nd}$ quartile in men, and the highest in the $4^{th}$ quartile in women. Increased GGT was correspondingly linked with age in women but age was the highest in GGT in the $2^{nd}$ quartile in men. In the 70's, the highest Q1 and Q2 was in men and the highest Q3 and Q4 in women. Although GGT value was within the normal range, increased GGT showed correlation with various risk factors. The FRS and 10-year CHD risk showed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long with increased GGT value.

A Study on the Single-Family House Price Determinants Analyzed by Quantile Regression: In case of locating single family houses in Seoul (분위회귀분석을 적용한 단독주택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소재 단독주택을 대상으로)

  • Yang, Seu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9 no.5
    • /
    • pp.690-704
    • /
    • 2014
  • Single family houses are the traditional & typical type of house in human history. But there had been little attention to single family houses in Korea so that there was little studies on single family houses. This study aimed to analyse price determinants of single family houses in Seoul, using Quantile Regression Analysis(QRA). Because single family houses has large levels of price,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is more proper than Ordinary Least Square(OL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land coverage ratio, zoning, passed years, basement floor, hight of land, shape of land were important factors to single family houses price. The scale of effect of land coverage ratio to single family houses price was different to price levels of single family houses. And basement floor affected more negative effects to middle price, location and zoning had positive effects to high price single family houses. The degree of influence of determinants of single family houses price was deferent by region, KangBuk and KangNam. In KangNam, land coverage ratio and accessibilities were more important in low price single family houses, green zone and more far way is affected positive effects on single family houses price. In Kangbuk, land coverage ratio affects similar effects on single family houses price.

  • PDF

Evaluation of Urban Flood Area Considering by Condition Rainfall Analysis (강우 조건별 영향을 고려한 도시지역의 침수범위 평가)

  • Keum, Ho Jun;Lee, Kyeong Wook;Kim, Byung Hyun;Kim, Hyeon Il;Han, Kun 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9-49
    • /
    • 2017
  • 최근 극한 홍수의 발생에 따른 내수배제 불량으로 인한 도시지역의 침수로 매년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홍수피해 저감 및 복구대책으로 많은 국비가 지원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예방보다는 복구비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시간 당 강우의 영향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상습적으로 일어나는 내수재해를 방지하고 자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저지대를 기준으로 상습침수 배수구역을 선택하여 1차원 SWMM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때, 가장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인 강우의 시간분포는 도시별 유역 규모 및 유출특성, 강우강도 특성 등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일 여지가 다분하여 실제 침수를 일으킨 강우와 유사한 분포를 찾기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이를 반영하기 위하여 Huff분포 모든 분위를 사용하여 SWMM 도시침수 해석을 실시하였다. 실시한 결과 맨홀의 월류량을 2차원 해석 입력자료로 사용하였으며, 2차원 해석 결과를 분위별 침수범위를 GIS를 이용하여 중첩시켜 상습 침수구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강우강도의 조건에 따라서 관로를 통하여 월류되는 시작 지점 및 그 지점을 통하여 맨홀에서의 월류량을 대략적 알 수 있었다. 또한, 능동적이며 준 실시간적인 대피지도와 우회도로설정 의사결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Bayesian Multiple Quantile Regression model and Estimation fo Future Design Rainfall with Increased Temperature (베이지안 다중분위회귀분석모형 개발 및 온도상승에 따른 미래 확률강수량 전망)

  • Uranchimeg, Sumiya;Kim, Jin-Gu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22
    • /
    • 2019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강우량 증가에 따른 이상홍수 발생 및 댐 여유고 부족 등 다양한 위험인자가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예상치 못한 이상홍수는 실제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협할 수 있으며, 하천 범람으로 인해 2차 3차 피해가 일어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다양한 자연재해로부터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방지 및 저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수공구조물이 존재하며, 수자원 관리계획 수립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강수량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연최대 강수량 및 확률강수량 산정이 필요한 시점이며, 온도변화에 따른 증기압 계산식인 Clausius-Clapeyron 관계에 따르면 대기 온도가 $1^{\circ}C$ 상승할 때 대기수분량이 6~7% 증가하여 평균 온도상승에 따라 극치강수량 발생 잠재력이 향상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상승에 따른 극치강수량의 변화를 베이지안 다중분위회귀분석모형을 통해 산정하여 CORDEX 온도자료 기반의 미래 극치강수량을 전망하였다. 본 연구결과 100년 이상 빈도의 강수량은 온도상승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하였으며, 2100년까지 온도상승을 고려한 최대 극치강수량은 1500mm를 넘을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Body fat distribution and hypertension (신체의 지방분포양상과 고혈압)

  • Lee, Choong-Won;Yoon, Nung-K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4 no.1 s.33
    • /
    • pp.57-69
    • /
    • 1991
  •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sectional association of central body fat distribution with hypertension as well as the superiority of medial calf skinfold measured as peripheral fat distribution over the conventional triceps skinfold using 450 Korean Navy divers selected by authors' convenience in 1990. Their mean age was 27.9 and range of it was 19-51. The centrally located body fat was approximated by subscapular skinfold and peripherally located fat by triceps and medial calf skinfolds. Four indices were constructed from these skinfold measures to reflect central versus peripheral fat distribution pattern : 2 ratios and 2 differences. After controlling age and overall obesity (body mass index), prevalance odds ratios of the 2/4, 3/4, 4/4 quartiles of subscapular skinfold comparing with lowest 1/4 quartile were 2.05(95% confidence interval, CI 1.18-3.59), 2.02(95% CI 1.06-3.86), 4.00 (95% CI 1.99-8.06)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subscapular and medial calf skinfolds wa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odds ratio 2.45, 95% CI 1.28-4.68 comparing highest with lowest quartiles). Triceps and medial calf skinfolds alone did not show any odds ratio not including unity. The adjusted odds ratios were generally reduced in small magnitude compared with crude odds ratios not adjusted for age and overall obesity. The medial calf skinfold appeared to be more representative of peripheral body fat distribution than triceps skinfol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entral fat distribution rather than peripheral distribution i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dependent of age and overall level of obesity and medial calf skinfold may replace conventional triceps skinfold in predicting peripheral distribution of body fat.

  • PDF

am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a climate stress test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반 댐 취약성 평가)

  • Kim, Tae Hyeong;Kang, Boo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15-415
    • /
    • 2022
  • IPCC 제5차 보고서('14) 및 세계위험보고서('15) 등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상위 위험요소로 '수자원 위기'를 꼽았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사상의 변화로 극한홍수 및 극한가뭄 등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물 관리에서 기후변화는 가장 큰 리스크 요인이므로 물관리 계획 수립 과정에서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댐 취약성 평가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미래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현업에서 의사결정 도구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과거 수문자료 및 특정 기후모델에 의존하지 않고 댐 인프라의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댐 취약성 평가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진행된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댐 취약성 평가 연구사례 및 한반도의 기후변화 영향 및 수문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 체계 및 방법론을 정립한 뒤, 월 강우량을 4분위로 나누어 각 분위별 강우량과 기온을 변경하여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기후 스트레스 시나리오와 IPCC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취약성 평가를 유출 및 저수지 모형을 결합하여 충주댐, 용담댐, 합천댐, 섬진강댐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후 스트레스에 따른 유출 취약성 평가는 20분위 수 갈수량을 이용해 연중 보장확률을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며, 온도의 영향보다는 강우의 변동이 댐 이수안전도 취약성 평가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재산세(財産稅)의 소득분배효과(所得分配效果)

  • Kim, Myeong-Suk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9 no.4
    • /
    • pp.119-136
    • /
    • 1987
  • 재산세(財産稅)의 소득분배효과(所得分配效果)는 무엇보다도 재산세(財産稅)의 부담이 최종적으로 누구에게 귀착(歸着)되는가에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재산세귀착(財産稅歸着)에 관한 전통적(傳統的) 견해(見解)와 새로운 견해(見解)를 검토하고 각 견해에 입각하여 소득10분위별(所得10分位別) 재산세실효세율(財産稅實效稅率)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재산세(財産稅)는 전통적(傳統的) 견해(見解)의 경우 대체로 역진성(逆進性)을, 새로운 견해(見解)의 경우 일부 저소득계층(低所得階層)을 제외하고는 누진성(累進性)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산세(財産稅)의 소득분배효과(所得分配效果)는 그 전가방향 및 크기뿐 아니라 재산(財産) 종류별(種類別) 규모별세율(規模別稅率)의 차이, 재산세비과세(財産稅非課稅) 및 감면규정(減免規程), 재산평가방법(財産評價方法) 등 재산세제도(財産稅制度) 및 그 운영방법(運營方法)에도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본고(本稿)에서의 검토결과(檢討結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재산세(財産稅)는 명목세율(名目稅率)과 비과세(非課稅) 및 감면규정면(減免規程面)에서는 대체로 누진성(累進性)을, 재산평가방법면(財産評價方法面)에서는 다소 역진성(逆進性)을 갖는다는 잠정적(暫定的)인 결론(結論)을 내릴 수 있다.

  • PDF

이변량 정규분포의 적합도 검정을 위한 통계량의 극한분포에 대한 연구

  • 김남현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3
    • /
    • pp.863-879
    • /
    • 1997
  • 정규분포에 대한 적합도 검정은 실제적인 측면이나 이론적인 측면에서 그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변량 정규분포의 적합도 검정을 위한 통계량을 제안하였다. 주요 아이디어는 모든 가능한 이변량 분포의 선형조합을 고려하여, 그 선형조합이 순서통계량을 이론적인 분위수와 비교하는 것이다. 또한 제안된 통계량의 극한분포가 Gaussian process의 적분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Unequal distribution of family policy in Korea (한국 가족정책의 계층화)

  • Noh, Hyeji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7 no.3
    • /
    • pp.35-60
    • /
    • 2016
  • This study analyzes the unequal distributional effect of threesome of family policy(child benefit, childcare services and parental leave) focusing on family income, mother's status in labor market in Korea. To measure the unequal distributional effect of family policies, this study used the quantil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hildcare service and parental leave, there is some difference of the rate of use by family income and mother's status in labor market. Second, total public fund for childcare services, child benefits and parental leave are high in fourth income quintile, and mothers work regularly. Third, public fund is high in fourth income quintile, dual earners, mothers work regularly, the family has many number of child, and is high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Finally, the results of quantile regression show the biggest factors of unequal distribution of family policy are mother's stable work and it deepens the inequalities and differenc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article suggests that more equal right to access and use family policy regardless of the type of employment, adequate minimum income through income transfer, and universal application of the policy.

The Effects of Regional Education Environment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of the Households (지역의 교육환경이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Park, Sun-Young;Ma, Kang-Rae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1 no.3
    • /
    • pp.3-17
    • /
    • 2015
  • In Korea, the private education spending of the households accounted for about 3% of GDP and such a education fever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financial burden of households.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gional education environment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of the households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KLIPS) data. The quantile regression model is used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regional education environment such as the degree of education fever differ across the 'quantiles' in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regions where the households resid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ivate education spending of the households in the upper quantile groups are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regional education environments than those in the lower quantile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