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쇄물

Search Result 33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ynthesis of $Al_2O_3$-SiC-C refractory powders by Self-propagating High Temperature Synthesis (연소합성법을 이용한 $Al_2O_3$-SiC-C 계 내화분말 합성의 최적조건 결정)

  • 강충일;윤존도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3a
    • /
    • pp.205-205
    • /
    • 2003
  •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양의 폐분진이 발생하며 경남지역에서는 연간 3만톤의 폐분진이 발생한다. 매년 폐기물의 발생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폐분진류의 주성분은 실리카와 알루미나가 주성분을 이룬다. 특히 주조, 제강 등 금속공업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입자가 미세한 다량의 실리카와 알루미나로 이루어져 있어 탄화규소(SiC) 및 알루미나-탄화규소-탄소(A1$_2$O$_3$-SiC-C)계 내화물 제조에 분쇄공정 없이 세라믹스의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현재 알루미나-탄화규소-탄소(Al$_2$O$_3$-SiC-C)계 내화물 제조를 위해 제조공정이 간단한 연소합성법을 이용하지만 분말제조 공정 중 분위기 조절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고 있어 시급한 대안이 필요한 상태이다.

  • PDF

A Study on Fire Risk & Countermeasure of RDF(Refuse Derived Fuel) (생활폐기물 고형연료제품의 화재위험과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 Jeong, Ui-Su;Gang, Gyeong-Sik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09.04a
    • /
    • pp.17-25
    • /
    • 2009
  • 세계의 모든 나라가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태양광, 풍력 등의 그린에너지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에너지의 효율제고 및 재생을 위하여 폐기물로부터의 자원순환을 이룩하는 폐기에너지 회수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하나의 방편이 버려지는 쓰레기에서 에너지를 회수하는 고형재생연료인 RDF(생활폐기물 고형연료 제품, Refuse Derived Fuel) 생산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강원도 원주시에서 하루 80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아직은 기술도입 초기단계에 있는 가연성폐기물의 연료화 기술이다. RDF의 특성은 불연성 성분이 제거된 일반 가연물을 분쇄하여 압출성형 가공한 펠릿형상의 고체연료로서의 열적 특성이 우수하나 화재안전 측면에서는 제조 및 취급공정에서의 일반적인 가연물 화재위험성을 가지고 있고, 저장과정에서는 축열발열에 의한 자연발화 위험성이 상존하며, 저장형태, 특히 사이로의 경우 구조특성으로 인하여 화재진압도 쉽지않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RDF 화재사례를 중심으로 그 화재 위험 특성과 안전대책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식혜제조시 쌀 품종이 당화에 미치는 영향

  • 이시경;주현규;안종국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212.1-212
    • /
    • 2003
  • 식혜 제조시 쌀 품종에 따른 당도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45종의 쌀 품종을 사용하였을 때 당화 10시간 후의 당도가 9.0~11.1 Brix로 품종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 간척과 신금오, 서안, 계화등을 이용시 당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간척과 상주품종을 비교하면 식혜제조시 당화 10시간에 약 19%의 당도 차이가 있었다. 쌀 품종 간척을 이용한 식혜의 HPLC 분석에 의한 주요 당 조성은 fructose 3.6%, glucose 9.8%, maltose 78.3%, maltotriose 8.3% 이었다. 육조 맥아와 이조 맥아를 이용한 당화력의 차이는 육조 맥아를 100메쉬로 분쇄하여 사용시 이조 맥아보다 높았다. 육조 맥아의 당화 최적온도는 6$0^{\circ}C$이었으며, 밥과 맥아 추출물의 비를 1:8로 하였을 때 막아 첨가량 25% 추출물에서 당화력이 가장 높았다.

  • PDF

Development of Food Waste Fermentation System by Low Water-Ratio Salt Minimization (절수 염분제거에 의한 음식물류 폐기물 퇴비화 시스템)

  • Han Doo 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4.11a
    • /
    • pp.324-327
    • /
    • 2004
  • 음식물류 폐기물은 염분이 물에 잘 녹기 때문에 분쇄 후 용수를 첨가하여 희석하는 방법이 가장 우수한 염분 제거 효과를 나타낸다. 보통 음식물류 폐기물의 양에 비하여 2-3배의 공업용수를 첨가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폐수처리장 부근에 설치되어 탈리액을 폐수와 함께 처리하지 않을 경우 탈리액의 처리가 문제가 된다. 많은 지역의 폐기물 처리장이 하수처리장과 별도의 장소에 설치가 된 경우가 많으므로 물을 소량사용하면서 염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파쇄과정을 통하여 $0.3\%$ 미만의 염분 함유율을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미성숙 퇴비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원적외선 가열을 통한 발효촉진 방안을 제시한다.

  • PDF

Effects of Substrate Type, Soil Depth, and Drainage Type on the Growth of Sedum kamtschaticum in Extensive Green Roof Systems (저토심 옥상녹화 시스템에서 기린초의 생육에 대한 인공배지 종류, 토심, 그리고 배수 형태의 효과)

  • Huh, Keun-Young;Kim, In-Hye;Ryu, Nam-Hy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1 no.4
    • /
    • pp.90-100
    • /
    • 2003
  • 본 연구는 기존 건축물 옥상녹화에 이용 가능한 저토심 옥상녹화 시스템 을 연구하고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해서 시스템의 개념적 모델이 선행 연구로부터 유추되었고 개념적 모델로부터 실험을 위한 시스템들이 제안되었다. 건축물 옥상 위에 설치된 이 시스템들에서 기린초의 생육에 대하여 인공배지 종류, 토심, 그리고 배수 형태의 효과들이 2002년 4월 3일부터 10월 18일까지 연구되었다. 인공배지 종류는 단용과 혼용이고, 토심은 5cm, l0cm,그리고 15cm이며, 배수 형태는 저수$.$배수형과 배수형으로 하였다. 여기서, 인공배지 단용은 폐유리 미분 100에 발포제를 1∼2정도 첨가하고, 착색제를 1정도 첨가한 후, 6∼8$^{\circ}C$/min로 승온하여 750∼85$0^{\circ}C$의 온도에서 발포시킨 다공질 유리를 수냉식으로 급랭하고, 분쇄기로 이송하여 l0mm이하로 분쇄하고 입도를 조절하여 얻어진 다공질 유리 파쇄물과 수피를 부피 비 6:4로 혼합하여 조성된 것이며 인공배지 혼용은 인공배 지 단용에 양토(모래 46%, 미사 40%, 점토 14%)를 부피비 5:5로 혼합하여 조성된 것이다. 피복면적,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시각적 질을 조사하였다. 각 변수들은 던칸의 다중범위 검정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처리들간의 유의수준은 5%였다. 그리고 기존 건축물 옥상에 대한 과부하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 각 시스템의 중량이 평가되었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실험기간 중에 피복면적에 대한 배수 형태의 효과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인공배지 혼용의 피복면적은 인공배지 단용의 것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토심 5cm처리의 피복면적은 나머지 처리들의 피복면적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낮았다. 토심 l0cm처리와 토심 15cm처리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상부와 뿌리의 생체중 및 건물중과 시각적 질에 대한 처리들의 효과는 피복면적에 대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하였다. 결과적으로, 기린초의 생육은 인공배지 단용보다 인공배지 혼용에서 더 높았고, 토심 10∼15cm에서 더 높았으며, 배수 형태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를 토대로, 기존 건축물 옥상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의 허용하중과 기린초의 생육을 동시에 고려해볼 때, 저토심 옥상녹화 시스템 은 인공배지 종류에서는 혼용이, 토심은 10cm, 그리고 배수형태는 배수형이 적합하다고 보았다. 제안된 조건으로 조성된 시스템은 인공배지가 포장용수량상태일 때 그 중량이 약 115kg/$m^2$정도로 나타났다.

Physiological properties of Leonurus sibiricus water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 (추출조건에 따른 익모초 물추출물의 생리활성 비교)

  • Seo, Ji-Hyung;Jeong, Yong-Ji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20 no.4
    • /
    • pp.592-596
    • /
    • 2013
  • To stabilize the basal extraction conditions of Leonuri herbal products, three kinds of Leonurus sibiricus water extracts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boiling extraction (I), high thermal process & boiling extraction (II), and wet grinding & boiling extraction (III)), and their physi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extraction yields of the L. sibiricus water extracts were from 13.02 to 15.90%,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The polypheno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 in extracts (II) and (III) than in extract (I). The $IC_{50}$ for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was the smallest in extracts (II), (III) and (I) in ascending order.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tracts (II) and (III) than in extract (I). Also, the ACE in hibition ability for 5 mg/mL of each extract was high in extracts (II) and (III),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extracts in terms of their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Extraction processes (II) and (III) were shown to be useful for preparing Leonurus sibiricus water extracts with healthful properties.

A study of recovery and recycling from Tin wasted resources (주석 함유 폐 자원으로부터 주석 회수 및 재활용 방안 연구)

  • Jeong, Hang-Cheol;Jin, Yeon-Ho;Kim, Geon-Hong;Jang, Dae-Hwan;Gong, M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5.11a
    • /
    • pp.217-218
    • /
    • 2015
  • 주석은 최근 첨단 전기, 전자 제품의 핵심 소재로써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전략 금속이다. 국내의 수요량은 2011년 기준 약 17,000톤 으로 99% 이상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주석 제련 산업은 전무한 상태이며 폐자원에서 재활용하는 회수 기술도 초보 단계이다. 이러한 폐자원 발생량은 12,000톤/year이며, 약 1200억원에 달하는 규모이다. 다양한 폐자원의 선별적 전처리 요소 기술 개발 및 회수 공정 시스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석 폐자원 중 solder 용융물 및 공정 스크랩 Lead solder, Lead-free solder 등 뿐만 아니라, ITO target 제조 시 발생하는 ITO sludge 등의 고상 폐자원으로부터 페자원의 물성을 파악하여 금속/산화물과의 파/분쇄 및 분급공정을 통하여 고품위의 주석 금속을 회수하였다. 뿐만 아니라, 고순도 주석시 발생하는 양극 슬라임 침출액 등의 액상 폐자원으로부터 희소금속의 추출 및 회수를 위해 습식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였다. 침출액은 주석, 구리, 납 등의 유가금속이 이온형태로 존재하고 있으며, Chlorine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고품위의 주석 산화물을 회수하기 위하여 침출액 내의 구리 제거 공정, Chlorine 제거 공정 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고품위의 산화물 회수를 수행하였다.

  • PDF

Bioleaching of Mn(II) from Manganese Nodules by Bacillus sp. MR2 (Bacillus sp. MR2에 의한 망간단괴의 생물용출)

  • Choi, Sung-Chan;Lee, Ga-Hwa;Lee, Hong-Keum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45 no.4
    • /
    • pp.411-415
    • /
    • 2009
  • Some microorganisms are capable of leaching Mn(II) from nonsulfidic manganese ores indirectly via nonenzymatic processes. Such reductive dissolution requires organic substrates, such as glucose, sucrose, or galactose, as a source of carbon and energy for microbial growth. This stud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Mn(II) leaching from manganese nodules by using heterotrophic Bacillus sp. strain MR2 provided with corn starch as a less-expensive substrate. Leaching of Mn(II) at 25.6 g Mn(II) $kg^{-1}$ nodule $day^{-1}$ was accompanied with cell growth, but part of the produced Mn(II) re-adsorbed onto residual $MnO_2$ particles after 24 h. Direct contact of cells to manganese nodule was not necessary as a separation between them with a dialysis tube produced similar amount [24.6 g Mn(II) $kg^{-1}$ nodule $day^{-1}$]. These results indicated an involvement of extracellular diffusible compound(s) during Mn(II) leaching by strain MR2. In order to optimize a leaching process we tested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action, and the most efficient conditions were $25\sim35^{\circ}C$, pH 5~7, inoculum density of 1.5~2.5% (v/v), pulp density of 2~3 g/L, and particle size <75 ${\mu}m$. Although Mn(II) leaching was enhanced as particle size decrease, we suggest <212 ${\mu}m$ as a proper size range since more grinding means more energy consumption The results would help for the improvement of bioleaching of manganese nodule as a less expensive, energy-efficient, and environment-friendly technology as compared to the existing physicochemical metal recovery technologies.

Antioxidant Activity of the Oven-dried Paprika Powders with Various Colors and Phy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k Patty Containing Various Paprika Powder (파프리카의 색이 열풍 건조한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돈육 분쇄육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평가)

  • Shim, Yong Woo;Chin, Koo Bok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33 no.5
    • /
    • pp.626-632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oven-dried paprika powder as affected by the color differences of paprika and to evaluat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ork patties with various levels of paprika powders.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the paprika were not affected by color and solvent (p>0.05). The methanol extracted paprika powder showed higher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water extracted counterpart, and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at concentration of 0.5% as compared to the reference (ascorbic acid) (p>0.05). In all treatments, the iron chelating abi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At a concentration of 1.0%, methanol extracts of orange paprika (MOP) and water extracts of red paprika (WRP) were not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ethylendiaminetetraacetic acid, EDTA). The paprika color and extraction solvent didn't affect reducing power of paprika powder at each concentration (p>0.05). Pork patties with red paprika powder were higher redness values than those with orange ones, regardless of addition level. The addition of red paprika increased the yellowness, and patties with 1.0% orange paprika powder showed the highest value. TBARS valu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paprika powder, especially, patties with 1.0% paprika powder were lower TBARS than those with 0.5% paprika powder, resulting in similar to those with ascorbic acid (p>0.05). Although the microbial counts increased with storage time, paprika powders did not inhibit microorganisms during storage. In conclusion, paprika powders could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in meat products, regardless of paprika color.

Isolation and Structural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Substances from Ethyl Acetate Extract of Conyza canadensis (망초(Conyza canadensis)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산화성 물질의 분리와 동정)

  • Hyun Sook Song
    • Journal of Naturopathy
    • /
    • v.12 no.1
    • /
    • pp.7-15
    • /
    • 2023
  • Backgrou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onents of wild Conyza canadensis, it contains physiologically active ingredients, 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ompound. Purposes: It was to study the compound's molecular structure; a previous study showed that C. canadensis contains antioxidant substances. Methods: The ultrasonic pulverized lysate of C. canadensis stem and leaves was first extracted with 90% methanol and then five organic solvents. Next, the extracts was fractionated by HPLC, LC/MS chromatography, and NMR analyzers identified the molecular structure. Results: 100 g of dry C. canadensis was sonicated in 90% methanol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11.96 g of a crude extract. Then, this crude was extracted with five types of solvents to obtain 123.8 mg of n-hexane, 448.2 mg of dichloromethane, 1047.7 mg of ethyl acetate (EA), 2563.8 mg of butanol, and 7.04 g of water. The EA extracts were fractionated by LC-MS and then re-fractionated to obtain F1 to F20. Next, the F15 was further fractionated to obtain nine fine fractions. Finally, the F17 fraction was re-fractionated to obtain ten fine fractions. As a result of LC-MS and NMR spectrometer analysis of the F15-7, the structure of this compound was confirmed as 3,5-dicaffeoylquinic aci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es of the F17-4 and F17-5 fractions, Quercetin-3-o-β-galactose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form of the F17-10 was confirmed to be 1,3,4-tri-caffeoylquinic acid.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 canadensis contained phenolic antioxidants, and its utilization may be exp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