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석구간

Search Result 5,58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new approach to estimate the link travel time by using AVL technology (AVL을 이용한 구간통행시간 산출기법 개발)

  • 김성인;이영호;남기효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2
    • /
    • pp.91-103
    • /
    • 1999
  • 이 연구는 자동 차량위치 측정기법(Automatic Vehicle Location, AVL)을 이용해서 수집한 교통상황자료를 가지고 구간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AVL기법을 이용하는 경우, 처리해야 할 자료량이 많아서 실시간에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힘들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처리해야 할 자료량을 가능한 한 줄이고 자료량이 적은 경우에도 효율적인 구간통행시간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방법론은 크게 4가지인데, 첫째, 해석 기법, 둘째, 회귀분석, 셋째, 인공지능 및 전문가 시스템, 넷째, 통계분석이다. 이 방법론을 이용해서 세 단계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첫째는 실시간 분석통계 알고리즘, 둘째는 과거자료분석 알고리즘, 셋째는 자료응합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 가운데 자료융합 알고리즘 결과가 산출하고자 하는 구간 통행시간이다. 실시간 분석통계 알고리즘은 연속하는 세 개 구간의 통행 패턴을 이용해서 가운데 구간의 통행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 실시간 분석통계 알고리즘으로 산출하지 못한 구간은 인접구간 상관도 정보를 이용해서 구간통행시간을 추정한다. 과거자료분석 알고리즘은 회귀분석을 이용해서 시간대별 통행시간 평균과 분산을 구하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인접구간 상관도 정보를 오프라인으로 구하는 알고리즘이다. 자료융합 알고리즘은 2가지 단계를 거치는데, 그것은 실시간 자료융합과 최종 자료융합이다. 실시간 자료융합은 실시간에 가까운 자료원의 실시간 분석통계 알고리즘 결과 패턴과 인접구간 상관도 정보를 이용한 구간통행시간 추정 결과를 이용해서 패턴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융합을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최종 자료융합은 실시간 자료융합 결과와 회귀분석 결과의 패턴을 이용해서 구간 통행시간을 산출한다. 이 연구를 기존 연구와 비교할 때, 세 가지 독차성이 있다. 첫째는 연속하는 세 구간 통행 패턴을 분석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노드의존 방식을 탈피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자료량이 적은 경우도 믿을만한 통행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인접구간 상관도 정보를 구간통행시간 산출에 이용하였기 때문에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는 자료원 패턴을 분류하고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료융합 하였기 때문에 수행속도가 빠르고, 신뢰성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개발한 알고리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두 가지 검증방법을 이용하였다. 첫째는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것이고, 둘째는 실제 주행조사 분석을 이용한 것이다. 두 가지 검증 결과는 알고리즘 정확도를 보여준다.

  • PDF

Analysis of stable flow traffic characteristics to develop spatial distribution models for freeway-diverging sections (지방부 고속도로-유출부 구간의 정상류 교통특성 규명 및 교통분포 모형식의 개발)

  • 최재성;김병성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5
    • /
    • pp.9-22
    • /
    • 2002
  • 고속도로-연결로는 두 개의 교통흐름이 서로 상충되는 지점으로서 복잡한 교통행태를 나타내고 고속도로 구간 중 용량저하 및 교통와해현상, 난류현상이 일어나는 구간으로서 운영상 문제점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 상태이다. 이 구간에서의 운영상태가 전체 시설물의 운영상태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 구간의 국내자료를 토대로 한 교통류 분석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교통행태에 대한 미시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기존의 HCM 모형과 같은 거시적인 분석 방법만을 가지고는 분류구간 교통현상을 규명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 분석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속도로-연결로 구간중 유출부 구간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점(구간)과 차로로 세분하여 미시적인 방법으로 교통특성을 규명하였다. 또 한 유출부 구간의 여러 지점에서 지점 및 차로별 교통량을 예측할 수 있는 교통분포 모형식을 개발하였다. 정립된 교통분포 모형식을 적용해 본 결과 유출부 구간의 분석 및 서비스 수준의 평가는 연결로 접속차로(Vl)의 교통량만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은 합리적이지 않고, 연결로나 본선 모두와 진입부를 포함한 연결로 전체를 다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시적인 분석방법을 통한 차로별 교통분포 모형식은 기존 분석방법과 비교하여 더 정확하게 그리고 폭 넓은 분석 및 적용하기에 손쉬운 모형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효과적인 분석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한 조사지점에 대한 적은 자료를 토대로 하였기 때문에 실제적용 가능성에서 향후 보강할 필요가 있으며, 다른 지점의 현장조사와 세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다.

Characteristics of River-Bed Fluctuation for Rapid Change Channel Width (하폭 급변 구간에서의 하상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Jong-Woon;Kim, Byoung-Joo;Kim, Won-Il;Ah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703-708
    • /
    • 2009
  • 자연하천은 자연적 인위적인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 하천 고유의 특성을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하상은 하천의 변화에 끊임없이 반응하며 그 응답의 특성에 의해 복잡한 형태의 안정화를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하천 내에 하폭 급변구간 같은 특이하도 구간이 산재하게 되면 하폭 급변구간의 직 상류 구간에서는 배수영향으로 인해 홍수위가 증가하게 되며, 직 하류 구간에서는 소류력의 증가로 하상 및 하안 침식을 야기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류의 일정구간에서는 유사의 국지적인 퇴적이 발생하여 하천범람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폭 급변구간 직 상 하류 및 하류구간에서 발생하는 하상변동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도특성 조사 방법에 따라 하폭 급변구간에서의 하도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2차원 수치모형인 SMS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 및 검증 하고자 한다. 감천 및 낙동강선산지구의 하폭 급변구간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하상재료의 이동성에 대한 평가 지표로 입증된 무차원소류력(${\tau}{\ast}$)의 분석결과 감천 및 낙동강선산지구의 직 상류 및 직 하류 구간에서는 하상의 세굴현상, 하류 구간에서는 유사의 국지적인 퇴적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2차원 수치모형인 SMS 모형 모의결과 전체 구간에 대해서 세굴 지향적으로 모의 되었으며, 하폭 급변부 하류 구간에 퇴적이 발생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하지만 하폭 급변구간 상류에서의 국지적인 유사 퇴적양상은 수치모의 결과 확인 할 수 없었다. 이는 수치모형의 한계로 판단된다. 하도특성 및 수치모의 결과 하폭 급변구간 하류에서 유사의 국지적인 퇴적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실제 하천에서의 하폭 급변부 하류구간에서의 하상미지형 변화에 의한 국지적 유사퇴적 현상을 입증된 거라 할 수 있다.

  • PDF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Crash Severity and Safety Countermeasures Toward Safer Work Zone Traffic Management (공사구간 교통관리특성을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및 안전성 증진 방안)

  • YOON, Seok Min;OH, Cheol;PARK, Hyun Jin;CHUNG, Bong J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4 no.4
    • /
    • pp.354-372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 crash severity at freeway work zones. A nice feature of this study was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work zone traffic management in analyzing traffic safety concerns. In addition to crash records, vehicle detection systems (VDS) data and work zone historical data were used for establishing a dataset to b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based on an ordered probit model. A total of six safety improvement strategies for freeway work zones, including traffic merging method, guidance information provision, speed management, warning information systems, traffic safety facility, and monitoring of effectiveness for countermeasures, were also proposed.

Hydraulic Characteristic Analysis of Final Closing considering non-Darcy Flow (Non-Darcy 흐름을 고려한 최종체절 수리특성분석)

  • Choi, Hung Sik;Park, Jung Soo;Shin, Heung 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469-1473
    • /
    • 2004
  • Non-Darcy흐름에 따른 호안제체의 흐름과 배수갑문을 통한 유출입 특성을 고려한 체절구간의 수리특성분석 도형에 의한 해석결과는 실측자료와 비교적 잘 일치하여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실측치와 비교한 계산결과는 본간(1958) 식에 의한 계산이 나(1987)에 의한 방법보다 비교적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완전 또는 불완전 월류의 구분이 없이 잠수도에 의한 계산을 통해서 하나의 유량계수 관계곡선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나 식의 사용성을 보여 주었다. 본간 식과 나 식에 의한 계산 값이 실측치보다는 유출입 특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에서의 체절구간의 불규칙적인 단면 양상을 감안한 유량계수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체절구간의 수리특성의 분석을 위해서 제체구간 유량의 고려는 Darcy 흐름에 기초하여 분석한 것이 지금까지의 분석이다. 제체를 통과는 유량과 개방구간을 통과하는 유량의 비가 체절구간이 좁을수록 크게 나타나 제체의 정확한 유출임 특성을 고려한 체절구간의 수리특성을 분석해야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ison of confidence intervals for testing probabilities of a system (시스템의 확률 값 시험을 위한 신뢰구간 비교 분석)

  • Hwang, Ik-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5 no.5
    • /
    • pp.435-443
    • /
    • 2010
  • When testing systems that incorporate probabilistic behavior, it is necessary to apply test inputs a number of times in order to give a test verdict. Interval estimation can be used to assert the correctness of probabilities where the selection of confidence interval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for quality of testing. The Wald interval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interval estimation.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Wald interval and the Agresti-Coull interval for various sizes of samples. The comparis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test pass probability of correct implementations and the test fail probability of incorrect implementations when these confidence intervals are used for probability testing. We consider two-sided confidence intervals to check if the probability is close to a given value. Also one-sided confidence intervals are considered in the comparison in order to check if the probability is not less than a given value. When testing probabilities using two-sided confidence intervals, we recommend the Agresti-Coull interval. For one-sided confidence intervals, the Agresti-Coull interval is recommended when the size of samples is large while either one of two confidence intervals can be used for small size samples.

Practical Use of Recent Section on Incremental Log Analysis technique (최신구간을 활용한 점진적 로그 분석 기법)

  • 김명순;박병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496-498
    • /
    • 2003
  • 본 논문에서 최신구간을 활용하여 패턴의 최신성을 보장하고 최신구간내 패턴의 누락 없이 모든 패턴을 발견할 수 있는 점진적 로그 분석 기법을 제안한다. 즉, 주기마다 최신구간이 이동되면서, 동시에 패턴의 최신성 여부가 결정되고, 이동된 최신구간내 패턴이 될 후보 패턴을 미리 예측하여 보다 합리적인 패턴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점진적 로그 분석 기법에서 간과된 대량의 로그에 숨겨진 패턴은 적어도 해당 최신구간내에서 모두 발견될 수 있고 최신성도 보증된다.

  • PDF

Design of Bottleneck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 on Web-base (Web 기반 bottleneck 구간 탐지 및 분석 시스템의 설계)

  • Sung, Yun-Gook;Cho, Kang-Hong;Choi, Young-Su;Chung,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681-684
    • /
    • 2000
  • 본 논문은 Client & Server 모델을 기반으로 선로 이용률과 응답시간을 분석, 조합하여 웹 상에서 해당 목적지 경로 사이에 있을 수 있는 bottleneck 구간을 탐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traceroute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해당 목적지 경로 사이의 인터페이스들을 추적하였다. 추적된 인터페이스들의 IP로 TCP/IP 표준 네트워크 망 관리 프로토콜인 SNMP Polling을 하여 인터페이스로부터 각종 MIB 정보들을 가져와 각 인터페이스간의 선로 이용률을 분석해냈으며, 또한 정확한 bottleneck 구간을 알아내고자 각 라우터로 ping을 실행시켜 응답시간을 계산하였다. 이렇게 얻은 선로 이용률과 응답시간으로 보다 정확한 트래픽 정보와 bottleneck 구간을 분석해낼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시스템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전문적인 지식 없이 단지 자신의 컴퓨터의 웹브라우저를 통한 서버 분석 시스템 접속만으로도 해당 구간의 어떤 부분이 bottleneck 구간인지를 탐지,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V/C and Accident Rate for Freeway Facility Sections (focused on Shingal-Ansan Freeway) (고속도로 시설물 구간의 교통혼잡도와 사고율의 관계 분석 (신갈-안산 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Oh, Cheol;Chang, Jae-Nam;Chang, Myeong-S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7 no.2
    • /
    • pp.21-27
    • /
    • 199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cident rate and V/C for freeway facility. The relationship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to predict and prevent traffic accident. The traffic volume and the number of accidents from 1992 to 1997 on Shingal-Ansan Freewa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 clarify the relationship. Hourly accident rate and V/C were calculated for each facility sections : basic freeway section, tunnel section and toll gate section. The accident rate models consisting of an independent variable of V/C were established by repression analysis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accident rates and V/C ratios represented U-shaped pattern for all sect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accident rates are highest in the low hourly V/C range, decrease with increasing V/C ratio, and then increase as the V/C ratio increases. The accident rate of toll gate section is in general higher than that of other sections. Although the accident rate of tunnel section is higher than that of basic freeway section when V/C is above 0.67,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ccident rate between basic freeway and tunnel section when V/C is between 0.5 and 0.8. Basic freeway tunnel and toll gate section have the minimum accident rate when V/C is 0.78, 0.75 and 0.57 respectively.

  • PDF

A Study on Service Level Analysis According to Geometric Structure of Two-Lane Highway (양방향 2차로도로의 기하구조에 따른 서비스수준 분석에 관한 연구)

  • Lee, Ju-Ho;Lee, Young-Woo;Lim, Chae-M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7 no.1
    • /
    • pp.47-53
    • /
    • 2004
  • 양방향 2차로 도로에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도로의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오르막 차로 및 양보차로 추월차로 등의 부가차로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차로 효율성의 비교 분석을 통한 연구에 의하여 기존의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가차로 중 추월차로 및 양보차로가 포함된 구간을 조사하여 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 특성을 분석하고 각 구간별로 서비스 수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기하구조별로 지점속도와 통행속도를 분석한 결과 지점속도는 통행속도보다 조사지점의 기하구조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아 변동이 심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행속도는 그 기하구조에 따른 교통류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차량별 지점속도의 비교 분석에서는 현재 차량성능의 진보로 인하여 조사구간의 설계속도에 반해 중차량 및 버스-트럭, 승용에 대한 차량별 속도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중차량에 대한 보정은 현장제한속도에 대하여 감안되어야 된다고 판단된다. (3) 모의실험모형과 현장조사에 의한 교통류특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시뮬레이션은 도로의 전구간에 대한 결과는 잘 반영하고 있으나 짧은 구간에 대하여 교통류의 연속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4) 추월가능 구간과 양보차로구간의 효율성을 비교해 보면, 추월율에서 양보차로구간이 추월가능구간보다 22.5%나 높게 나왔으며 총지체비교에서는 추월가능구간보다 5.56sec/h의 지체감소를 보이고 있다. 서비스 수준분석에서는 같은 C의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양보차로의 영향으로 양보차로 후구간의 서비스 수준이 A까지 상향되었다. 따라서 대향교통류의 영향을 받는 추월차로의 확보보다는 효율성이 좋은 양보차로구간의 보급이 많아야 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