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산형 제어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3초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기반의 분산형 토폴로지 제어 (Cluster-based Distributed Topology Contr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공영배;심일주;장경배;박귀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144-2145
    • /
    • 2006
  • 무선 센서네트워크는 환경 모니터링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갖고 있는 향상된 기술이다.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노드들은 특정지역에 분산되어 네트워크를 구성해서 해당 지역의 이벤트나 정보를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이때 토폴로지 제어는 네트워크의 수명과 통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 기반의 분산형 토폴로지 제어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먼저 네트워크를 클러스터 기반의 계층적인 구조로 구성한 후, 각각의 클러스터 내에서 최소 신장트리 (Minimum Spanning Tree)를 이용하여 토폴로지 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무선센서 네트워크는 에너지 효율적이며 분산된 토폴로지 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네트워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 PDF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의 직류 마이크로그리드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C Microgrid Management System Based on Intelligent Agent Systems)

  • 최민석;트린피하이;조정현;정일엽;김주용;조진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517-51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저압 직류(LVDC)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의 배전가능거리와 분산전원 수용률을 증대하기 위한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의 전압 제어 기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분산전원에 설치된 지능형 제어노드에서 자율적인 전압, 전류, 전력측정을 수행하고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압제어 민감도를 산출하며 실시간 모니터링 데이터와 함께 중앙 관리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중앙 관리시스템은 교류계통과 연계되는 주(Main) AC-DC 전력변환기와 각 분산 전원과의 협조제어를 통해 마이크로그리드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제안하는 전압제어 원리의 구현을 위해 본 논문은 지능형 에이전트 기반의 직류 마이크로그리드 관리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발된 마이크로그리드 관리시스템은 실시간 OS를 탑재한 범용 임베디드 시스템 하드웨어로 구성되며 이더넷 통신을 이용하여 멀티-에이전트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 PDF

Ad-hoc 네트워크의 Throughput 향상을 위한 적응적 MCS 레벨 기반의 분산형 전력 제어 알고리즘 (Distributed Bit Loading and Power Control Algorithm to Increase System Throughput of Ad-hoc Network)

  • 김영범;왕우붕;장경희;윤창호;박종원;임용곤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4A호
    • /
    • pp.315-321
    • /
    • 2010
  • Ad-hoc 네트워크에서는 전력을 제어할 기지국의 부재로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 시키는 중앙 전력 제어가 불가능하여, 각 노드들은 독립적이고 자동적인 방식으로 분산형 전력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해야 한다. 기존의 분산형 전력 제어 알고리즘은 수신 신호의 SINR (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에 따라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레벨을 변화 시키는 adaptive bit loading operation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 throughput 향상에 제한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Ad-hoc 환경에서 전체 throughput 을 향상시키고, outage 확률을 낮추기 위해 MCS 레벨에 따라 adaptive bit loading operation을 고려한 분산형 전력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 매우 큰 throughput 향상과 outage 확률 감소의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다.

분산 IoT센서 기반 실험실 안전관리 시스템 (Distributed IoT Sensor based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ystem)

  • 정대진;김재윤;배상중;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0-96
    • /
    • 2019
  • 최근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시약장은 IoT 기반 다양한 센서들을 활용하여 내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서버 내에서 위험상황을 식별하고 기기들에게 동작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앙 집중형 관리시스템은 여러 대의 시약장에서 측정되는 센서 데이터들을 전송받고 처리하게 될 경우 시약장의 수가 증가할 때마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중앙 집중형이 아닌 분산 환경에서 시약장 내부 환경을 분석하여 위험상황의 식별 및 기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분산 제어가 가능한 분산 IoT 센서 기반 실험실 안전관리 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이와 같이 분산형 제어가 가능한 센서 모듈을 이용한 시약장 내부 환경 제어 통해 위험상황에 대한 식별 및 대처를 자동으로 진행함으로써 기존의 시약장과 실험실을 관리하는 시스템들보다 신속한 대처 및 안전관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CAN을 이용한 차량 HVAC FAN용 DC Motor의 속도 제어 (A SPEED CONTROL OF HVAC FAN DC MOTOR IN AUTOMOTIVE USING CAN)

  • 정재웅;박종원;홍정표;손정기;권순재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6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77
    • /
    • 2006
  • 최근 네트워크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은 기존의 중앙집중식 제어방식을 벗어나 점차 분산형 제어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흔히 필드 버스라 일컫는 분산형 제어방식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CAN(Controller Area Network)는 차량내의 Wiring Harness의 공간과 중량을 덜 차지하고 Controller 간의 빠르고 안정적이며 내구성이 우수한 차량 내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N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 HVAC FAN의 엑추에이터로 사용되는 DC Motor의 속도 제어를 수행하였다.

  • PDF

CAN 기반 분산 내장형 시스템을 위한 CORBA의 설계 (Designing CORBA for CAN-based Distributed Embedded System)

  • 김기문;김세화;홍성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172-17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CAN 기반의 분산 제어 시스템을 위한 환경에 특화된 CORBA인 CAN-CORBA의 설계와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CAN-CORBA는 예약 구독 기반의 그룹 통신과 CORBA의 전통적인 연결 기반 점대점 통신을 모두 지원한다. 또한 내장형 ORB간 통신 프로토콜인 EIOP를 사용하여 메시지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CAN-CORBA는 서울대학교에서 개발한 실시간 운영체제 mArx에 완전히 구현되었다. 다양한 경험과 실험 결과는 CAN-CORBA가 극심한 자원 제약 한계를 갖는 분산 내장형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적합함을 보여주었다.

  • PDF

분산형전원 계통연계 기술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통권300호
    • /
    • pp.72-77
    • /
    • 2001
  • 분산형전원은 대개의 경우 단독으로 운전되는 것이 아니라 계통과 연계되어 수요전력과 발전전력의 과부족 조정을 위해 사용된다. 현재 일본의 배전계통은 수용가에 대하여 1방향의 조류를 전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통과 연계하는 경우 분산전원측이 계통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역으로 계통측의 사고 등에 의해서 분산형전원과 부하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특별한 배려가 필요하게 된다. ''系統運系技術要件가이드라인''은 이 때문에 기술요건을 저압선에서 특별고압선까지 연계되는 계통별로 제시하고 있으며 특히 보호장치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계통연계기술요건가이드라인은, 분산형전원을 도입하기 쉽고 사회적 요청과 기술혁신에 맞도록 개정되어 왔으며, 최근 증가된 반도체식 역변환장치를 통하여 분산형전원도 도입하기 쉽도록 개정되어 온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계통사고나 순시 전압강하로부터 분산형전원과 부하를 보호한다든지 또한 더욱 적극적으로 분산형전원을 순간전압강하대책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계통과의 연계를 고속으로 분리하는 고속해열장치가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기계식고속차단기와 고속릴레이의 조합으로 중요부하의 순간전압강하를 1사이클 이하로 할 수 있다. 분산형전원을 더욱 활용하여 큰 역조류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배전보호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어, 집중감시제어방식을 사용한 새로운 배전보호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 PDF

SDH 기반 광 전달망에서 연결 설정을 위한 집중형 제어 체계에 관한 연구 (Centralized Scheme for the Provisioning Control in the Synchronous Optical Transport Network)

  • 강동우;김달원;조규섭;예병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1B호
    • /
    • pp.707-721
    • /
    • 2005
  •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수용하기 위해 광 전송망이 핵심적인 해결책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대규모의 광 전달망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대역폭의 단대단 연결을 실시간 수준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어구조 관련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IETF와 ITU-T에서는 차세대 통합 전달망의 연결 제공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제어 평면에 대한 연구를 의욕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그러한 연구들은 기본적으로 분산형 제어체계에 기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제어 체계가 분산형에 비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장점들을 광 전달망 상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로서, 광 전달망의 연결 제어에 대한 집중형 제어 체계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고, 새로운 제어 구조의 형태와 제어 절차를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구조에 대한 IETF의 기존 라우팅 프로토콜과 시그널링 프로토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필요한 보완 부분에 대해 제시하였다.

계통연계형 태양광-풍력-축전지 하이브리드 분산전원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Grid-connected PV-WT-BESS Hybrid Distributed Generation System)

  • 전진홍;조창희;김슬기;안종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517-518
    • /
    • 2006
  • 본 논문은 태양광과 풍력, 축전지 시스템으로 구성된 계통연계형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의 구성과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자하는 계통연계형 태양광-풍력-축전지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 시스템과 풍력 발전 시스템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였으며 에너지 저장장치로는 축전지 시스템을 사용하였다. 태앙광 발전 시스템과 풍력 발전 시스템, 축전지 시스템은 모두 공통 직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계통과 연계운전을 위한 계통연계 인버터 시스템을 공통 직류단과 계통 연계점 사이에 적용하여 연계점의 출력을 제어하였다. 또한 분산전원 통합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여 전체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의 출력과 각 모듈의 상태를 감시, 제어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에 전력 평준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실험 결과의 제시를 통해 제작된 시스템과 전력 평준화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복합 분산전원 시스템은 복수의 에너지원을 이용하므로 전력공급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상용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도서지역 등에 단독 운전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 PDF

한국형 고속전철의 신경망, 제어네트웍(TCN)

  • 박재현
    • 전기의세계
    • /
    • 제53권6호
    • /
    • pp.37-42
    • /
    • 2004
  • 고속전철은 비행기가 활주로에서 이륙하는 속도를 능가하는 시속 300km이상의 고속으로 운영되는 열차로서 고도의 제어기술이 총동원되는 기술의 결합체이다. 고속전철내의 전자 장치들은 단지 추진이나 제동의 기능뿐만 아니라 차량의 상태에 대한 모니터 링, 온라인 진단, 여행자 정보서비스 및 테스트용 백업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을 보다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분산제어방식으로 구축되고 있다. 특히 20량까지 연결하여 운영하는 고속전철의 특성상 각 차량에 고루 분산되어 있는 분산제어시스템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제어네트웍은 고속전철 제어시스템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하겠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