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산분석법

Search Result 95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On a robust analysis of variance based on winsorization (윈저화를 이용한 로버스트 분산분석)

  • 성내경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8 no.1
    • /
    • pp.119-131
    • /
    • 1995
  • Based on Monte-Carlo simulation results we propose a robust analysis of variance procedure by utilizing trimmed mean and Winsorized variance. We deal with mainly the one-way classification case. We evaluate the empirical distribution of a pseudo-F statistic based on symmetrically Winsorized sum of squares when the population is normally distributed.

  • PDF

Test for reliability of MS Excel statistical analysis output and modification of macros (Focused on an Analysis of Variance menu) (MS 엑셀 프로그램의 통계분석결과 신뢰성 검증 및 매크로 보완 (분산분석 메뉴를 중심으로))

  • Kim, Sook-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9 no.5
    • /
    • pp.207-216
    • /
    • 2008
  • Statistical analysis menus of MS Excel software, with powerful spreadsheet functions has not been modified since Excel 2000 Edition and its utilization is very low. To improve utilization of Excel menu for statistical analysis, this research compared outputs of Excel statistical menus and computed test statistics, and developed high-level macros. Outputs of Excel menus, both oneway layout and twoway layout, on real data are exactly same as the computed test statistics, and therefore, Excel menus for statistical analysis are reliable. Macros to provide results for Analysis of Variance with a block and multiple comparison of means are developed using Excel functions.

  • PDF

Development of Streamtube Routing Model for Analysis of Two-Dimensional Pollutant Mixing in Rivers (하천 오염물질의 2차원 혼합 해석을 위한 유관추적모형의 개발 및 적용)

  • Baek, Donghae;Seo, Il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88-88
    • /
    • 2020
  • 수심평균 2차원 혼합모형은 하천환경에서 다양한 용존성 오염물질의 혼합현상을 모의하기 위해 널리 활용되어왔다. 2차원 혼합모형에서 분산계수는 하천의 전단 흐름에 의해 야기되는 오염물질의 퍼짐 현상을 표현하는 중요한 인자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정교한 오염물질 혼합거동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분산계수를 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분산계수를 실험적으로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모멘트법과 추적법으로 나뉘며, 비정상상태의 혼합거동에 대해 종방향 및 횡방향 분산계수를 동시에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은 추적법 계열의 2차원 유관추적법(2D STRP)이 유일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 유입된 오염물질의 2차원 혼합해석을 위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의 수치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Peclet 수의 범위에 대해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2D STRP의 적용범위 및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2D STRP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된 2차원 유관추적법(2D STRP-i)을 개발하고, 사행하천을 모형화한 실규모 하천실험시설에서 검증하였다. 기존 2D STRP의 성능평가 결과, Peclet 수가 낮은 조건일수록 농도분포의 예측 정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하안 경계에 도달하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2D STRP의 한계를 보완하여 더욱 정확한 분산계수를 산정하고자 하안 경계면 조건을 고려한 2차원 유관추적법(2D STRP-i)을 개발하였다. 2D STRP-i는 직교-곡선좌표계 기반의 2차원 이송-분산 방정식을 바탕으로 횡방향 유속분포 및 하안 경계조건을 고려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2D STRP-i는 공간적으로 상이한 이송효과 및 하안경계 조건을 적절히 반영함으로써 농도분포의 예측 정확도를 개선 시키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하안경계면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구간에서 기존 2D STRP의 결과와 비교하여 더욱 정확한 농도분포 및 분산계수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Utilization analysis by tool allocation method of two-machine flow shop FMS (2기계 flow shop FMS의 공구배분법에 의한 가동율 분석)

  • 정용식;허성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3.04a
    • /
    • pp.193-201
    • /
    • 1993
  • 일반적으로 FMS를 효율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MC에서의 가공에 필요한 여러가지 공구를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된다. 그런데 복수의 MC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각 MC마다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전종류 중복시켜서 배분하는 '전기능형' 공구배분법은 거의 100%에 가까운 가동율을 달성할 수 있으며 운용면에서도 용이하지만, 현실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많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완전히 분할해서 배분하는 '완전기능분산형'이나 일부의 공구만을 중복시켜 배분하는 '기능분산형'의 공구배분법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2기계 Flow-Shop형 FMS를 대상으로 완전기능분산형 및 기능분산형의 공구배분법에 대한 발견적 해법을 각각 제안하고, 제안된 해법이 FMS의 가동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Projection analysis for split-plot data (분할구자료의 사영분석)

  • Choi, Jaesung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0 no.3
    • /
    • pp.335-344
    • /
    • 2017
  • This paper discusses a method of analyzing data from split-plot experiments by projections. The assumed model for data has two experimental errors due to two different experimental sizes and some random components in treatment effects. Residual random models are constructed to obtain sums of squares due to random effects. Expectations of sums of squares are obtained by Hartley's synthesis. Estimable functions of fixed effects are discussed.

Nanoparticle의 분산 안정도에 따른 ATR-FTIR 분석법을 이용한 증착소재 흡착특성연구

  • Kim, Jong-Ho;Park, Jae-Seo;shahzad, Rauf;Lee, Chang-Hui;Sin, Jae-Su;Gang, Sa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13-113
    • /
    • 2016
  • 반도체 산업이 발전하고 기술이 향상됨에 따라 미세화되고 복잡한 구조의 소자가 개발되고 있으며, 2차원 소재 등 다양하고 새로운 소재들이 발견 및 연구되고 있다. 새로운 소재 또는 기술을 이용한 고품질 소자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특성(높은 순도, 우수한 분해 및 반응 특성)을 지닌 증착소재의 개발 및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기존의 증착소재의 기본 물성을 측정하는 방법인 단순 기상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FT-IR) 분석법은 실제 공정에서의 증착경향을 대변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조된 attenuated total reflection (ATR)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실제 공정에서의 증착경향을 대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반도체 증착소재의 분해 및 표면 흡착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ATR-FTIR 분석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분산안정도에 따른 nanoparticle을 ATR의 크리스탈 표면에 분포시켜 hexamethyldisilazane(HMDS) source의 흡착 효율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Nanoparticle의 분산안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suspension 상태에서 pH, sonication, 분산제를 이용하였으며, nanoparticle을 ATR crystal 표면에 분포하여 분석한 결과, 분산안정도에 따라 HMDS의 흡착효율이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 PDF

Variance components in one-factor random model by projections (사영을 이용한 일원 분산성분)

  • Choi, J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2 no.3
    • /
    • pp.381-387
    • /
    • 2011
  •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for estimating components of variance in one-factor random model. Estimates of variance components are given by the method of moments. Sums of squares due to variance sources are obtained by projections. This paper also shows how to use eigenvalues for getting the coefficients of variance components in the expression of the expectations of the mean squares. The suggested method shows easier and faster than the method of Harley's synthesis.

Predicting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 of Two-dimensional Model for Analysis of Mixing in Natural Streams (하천 혼합 해석을 위한 2차원 이송-분산 모형의 종분산계수 예측)

  • Seo, Il Won;Choi, Hwang 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5-75
    • /
    • 2015
  • 오염원과 취수장이 동일 구간 내에 공존하는 국내하천의 특성상, 하천 평면 내에서 오염물의 거동 및 혼합 특성을 보다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2차원 이송-분산 모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2차원 모형의 주요 매개변수인 종분산계수와 횡분산계수의 적절한 입력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횡분산계수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된 반면, 현재까지 종분산계수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분산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에는 실측된 농도 자료의 유무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실측된 농도 자료가 없는 경우, 이론식이나 경험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반면에 추적자 실험 등을 수행하여 실측된 농도 자료가 있는 경우, 모멘트법 또는 추적법을 적용하여 농도-시간 분포 곡선으로부터 분산계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모멘트법은 임의 지점에서 농도의 횡분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2차 모멘트의 종방향 변화율이 횡분산계수와 비례한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며, 추적법은 상류부의 관측된 농도를 입력자료로 하여 하류부의 농도를 계산한 후 계산된 농도와 실측된 하류부 농도의 비교를 통해 분산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자연하천에서의 2차원 종 횡분산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 Baek & Seo(2010)가 제안한 2차원 유관추적법(2D Stream-tube Routing Procedure)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연하천 중 다양한 사행형태를 갖으며 수질오염 사고의 위험이 높은 구간을 선정하고, 추적자로서 Rhodamine WT를 이용하여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서 수집된 수리량 및 농도자료로부터 추적자의 2차원적 거동을 분석하였으며, 2차원 유관추적법을 적용하여 종분산계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하폭 대 수심비(W/H)와 마찰손실관련 무차원변수(U/U*)의 증가에 따라 종분산계수가 증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종분산계수와 선행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차원해석을 통해 무차원 종분산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무차원 인자를 선별하고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종분산계수 추정식을 유도하였다. 추정식을 이용하여 산정한 종분산계수의 범위는 Elder (1959)가 제안한 이론값보다 약 10배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혼합 특성이 밝혀지지 않은 자연하천에 2차원 확산모형을 적용하고자 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추정식으로부터 계산된 종분산계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pplied to the Subjective Test of the Sound Quality of the Car Audio (차량 음향 시스템의 음질평가를 위한 다변량 분산분석)

  • Choi, Kyung-Mee;Doo, Se-Ji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0 no.3
    • /
    • pp.475-485
    • /
    • 2007
  • In this work we measured and analyzed the subjective opinions of consumers towards the sound quality of car audios through a questionnaire. First of all, we chose eight controllable factors which had been known to affect the quality of reproduced sound. An orthogonal design of experiments was used to imitate the objective sound environments by reproducing the combinations of 8 sound characteristics, each with two levels. Then we defined 8 corresponding response variables to measure the subjective opinions towards the quality of reproduced sound. Finally, we applied the Multivariate Analysis of Valiance to explore the significant sound characteristics which affected the subjective opinions towards the quality of reproduced sound.

Fabrication of counter electr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using surface modified and dispersion controll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표면개질 및 분산제어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염료감응태양전지 대전극의 제조)

  • Choi, Hee-Jung;Lee, Gi-Won;Park, Nam-Kyu;Kim, Kyung-Kon;Hong, Sung-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445-4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용 표면개질제를 리빙라디칼중합법을 통하여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표면개질되고 분산제어된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고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대전극 재료로 사용하였다. 우선 리빙라디칼중합법 중 nitroxide mediated polymerization (NMP) 기술을 이용하여 poly(maleic anhydride-co-p-acetoxystyrene)-block-poly(p-acetoxystyrene)를 합성하고, 공중합체중의 maleic anhydride기에 이미드화 반응을 통하여 pyrene기를 도입하였다. 공중합체 중의 p-acetoxystyrene 반복단위들은 가수분해 반응을 통하여 p-hydroxystyrene 반복단위로 변환하였으며, 제조된 공중합체의 구조와 열 특성 등을 GPC, GC, $^1H$-NMR, TGA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제조된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표면을 polymer wrapping법으로 처리하였고, 표면개질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을 다양한 용매에서 비교분석하였다. 표면이 개질되고 페이스트 내에의 분산성이 향상된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대전극 제조에 응용하였으며, 표면처리 및 분산제어 여부에 따른 제작 특성 및 동작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