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사 지연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9초

초음파 에너지 조사 시간과 분사지연에 따른 BD20의 디젤기관 연소특성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with BD20 according to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Duration and Injection Delay in a Diesel Engine)

  • 임석연;이호길;류정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38-46
    • /
    • 2008
  • An object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an engine performanc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applying BD20 fuel reformed by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to diesel engines. Before conducting the main experiment,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um injection timimg of reformed BD20 by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To control the duration of the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the capacity of an ultrasonic energy fuel supply system was tested with 550cc and 1100cc chamber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gular BD20 and reformed BD20 by ultrasonic energy irradiation, the BSFC and the Power of the reformed BD20 was improved 3% and 6%,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of non-irradiated BD20. When the fuel injection timing was delayed by $5^{\circ}$, the engine power was improved by 3%, and the BSFC was improved by 2%. The maximum cylinder pressure of reformed BD20 was improved by a maximum of 6% in comparison to that of regular BD20, and demonstrated a synergistic effect of 3% by delaying the injection timing $5^{\circ}$.

흡기밸브 닫힘 시기와 분사조건이 PCCI 엔진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 of the Intake Valve Timing and Injection Conditions on the PCCI Engine Performance)

  • 이재현;김형민;김영진;이기형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0
  • As world attention has focused on global warming and air pollution, high efficiency diesel engines with low $CO_2$ emissions have become more attractive. Premixed diesel engines in particular have the potential to achieve the more homogeneous mixture in the cylinder which results in lower NOx and soot emission. Earl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operation conditions such as the EGR, intake conditions, injection conditions and compression ratio are important to reduce emissions in a PCCI (Premixed Charg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In this study a modified cam was employed to reduce the effective compression ratio. While opening timing of the intake valve was fixed, closing timing of the intake valve was retarded $30^{\circ}$. Although Atkinson cycle with the retarded cam leads to a low in-cylinder pressure in the compression stroke, the engine work can still be increased by advanced injection timing. On that accoun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injection parameters to reduce emission and fuel consumption; as a result, lower NOx emission levels and almost same levels of fuel consumption and PM compared with those of conventional diesel engine cam timing could be achieved with the LIVC system.

방역차량의 약제 살포량 측정 정확성 개선을 위한 디지털 필터와 댐퍼 개발 (Development of Digital Filter and Damper for Improving Accuracy of Measurement of Application Amount of Disinfectants of Disinfection Vehicle)

  • 백승환;박동혁;박하나;이춘구;이중용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48-148
    • /
    • 2017
  • 방역 차량의 약액탱크, 차량의 연료, 워셔액 등의 탱크 내부에는 잔존량을 측정하기 위해 기둥과 floating box로 이루어진 부력식 수위레벨센서가 사용되고 있으나 액체레벨에 따라 float이 상하로 움직이는 측정원리상 차량 주행 중 정확성이 매우 떨어진다(Park et al. 2016). 방역차량이 주행 중 분사할 때, 슬로싱 현상과 방역소독기의 노즐과 펌프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기존의 부력식 센서를 이용한 약제 살포량 측정방법은 정확성이 매우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역차량이 주행하면서 분사할 때, 수위레벨 센서를 이용한 약제살포량 측정의 정확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디지털 칼만필터, Low pass filter와 댐퍼를 제작하여 이용했다. 본 연구에서는 압력식 레벨센서를 이용해 약액탱크의 높이당 단면적과 수위를 측정하여 약제살포량을 계산했다. Python 2.7을 이용해 디지털 칼만필터와 Low pass filter(LPF)를 구현하였으며 3D프린터를 이용해 댐퍼를 제작했다. 실내에서 슬로싱 현상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필터와 댐퍼의 수위 측정 정확성 개선효과를 확인 후 실제 방역차량에 부착하여 비포장도로에서 주행하면서 분사할 때 필터와 댐퍼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댐퍼의 공극률(p)을 바꿔가며 수위 측정 정확성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실내, 현장 실험 결과, 칼만필터가 LPF보다 개선효과가 더 크지만 데이터 50개 처리에 1.71초의 시간지연이 발생했다. 댐퍼는 수위센서를 고정시키고 유체의 운동을 방해하여 이상치와 큰 오차제거에 효과적이었다. 칼만필터와 댐퍼를 동시에 이용할 경우, 수위 측정정확성 $R^2$는 0.9985, 0.9981로 ${\pm}4.3cm$의 범위내에서 수위를 측정할 수 있었다. 필터의 시간지연과 수위 측정정확성을 고려하여 데이터 기록간격을 3초로 설정하면 ${\pm}3cm$이내에서 약탱크 내 수위를 측정할 수 있었다. 공극률(p)가 0.294, 0.291, 0.17에서 측정정확성 $R^2$는 각각 0.9897, 0.9858, 0.9872 로 p가 0.294에서 개선효과가 가장 좋았으나 개선효과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 PDF

자발화된 층류 부상화염에 대한 점화지연시간의 영향 (Effect of Ignition Delay Time on Autoignited Laminar Lifted Flames)

  • 최병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0호
    • /
    • pp.1025-1031
    • /
    • 2011
  • 자발화 특성은 디젤 및 PCCI 엔진의 설계에서 중요한 인자이다. 특히, 디젤분무화염은 자발화현상에 의해서 형성되어 노즐에서 부상된다. 노즐과 부상화염 사이의 영역에서 분무된 디젤의 중앙으로 주위 공기의 유입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부상된 화염은 매연 생성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 간단한 모델로써 동축류 제트를 적용하였고, 점화지연시간에 대한 자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메탄($CH_4$), 에틸렌($C_2H_4$), 에탄($C_2H_6$), 프로핀($C_3H_6$), 프로판($C_3H_8$), 및 노말 부탄(n-$C_4H_{10}$)의 연료들을 고온의 공기로 분사하였으며 자발화된 부상화염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 자발화된 부상화염의 높이와 열손실을 고려한 점화지연시간과의 상관관계를 결정하였다.

기체산소/케로신 연소기에서 점화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점화 과정 연구 (Ignition Transition by Ignition Position and Time of Gaseous Oxygen/Kerosene Combustor)

  • 송우석;신동수;손민;구자예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90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점화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점화 지연 및 연소 불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는 것이 목표이다. 산화제는 기체 산소를 사용하였고 연료는 액체 케로신을 사용하였다. 점화 지연 및 연소 불안정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압력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정압을 측정하였다. 모든 경우의 점화기 작동시기를 제외한 점화 시퀀스는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점화 시간은 25 ms 간격으로 설정하였다. 점화 시간이 늦어질수록 초기 압력 피크값과 점화 지연 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화 위치가 분사기로부터 멀어질수록 초기 압력 피크 이후 불안정한 화염 발달 구간이 존재하였다.

하이브리드 로켓 연소에서의 경계층 진동 변화와 저주파수 연소불안정 (Oscillating Boundary Layer Flow and Low Frequency Instability in Hybrid Rocket Combustion)

  • 김진아;이창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7권10호
    • /
    • pp.720-727
    • /
    • 2019
  • 하이브리드 로켓 연소의 저주파수 연소불안정은 고체연료의 열적지연(Thermal Lag)과 경계층 유동 변화에 의한 열전달 진동의 공진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는 연료 표면 근처의 경계층 유동의 교란이 어떤 물리적 과정에 의해 발생하여 연소불안정으로 발달하는지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산화제의 스월 분사는 연소 안정화에 매우 큰 기여를 하므로 스월 강도를 증가시키며 경계층의 변화와 연소불안정의 발생과정을 연구하였다. 경계층 섭동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소 유동장을 가시화하였고 이미지에 대한 POD(Proper Orthogonal Decomposition) 분석을 시도하였다. 스월 강도가 증가할수록 500Hz 대역 고주파수 p', q'의 결합이 약해지며 열적지연과 유사한 주파수 특성을 갖는 Rayleigh Index의 섭동 발생도 약해져 경계층 진동의 발생이 점차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고주파수 p', q'의 주기적인 결합에 의한 축 방향 경계층 진동이 나타나면 열적지연 주파수와 공진에 의한 연소불안정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피동형격납용기 분석모델 개발 및 민감도 분석

  • 정법동;김성오;황영동;장문희;정익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422-429
    • /
    • 1997
  • 피동형 격납용기 냉각계통 해석을 위하여 격납용기 압력, 온도 과도현상 분석 코드인 CONTEMPT4/MOD5 전산코드에 피동형 격납용기 열전달 모델을 추가하였다. 외부공기의 순환에 의한 철제 격납용기와 차폐건물 사이의 환형 공간의 냉각모델은 자연대류 및 혼합 대류의 기존 실험적 상관식을 사용하였고 상부에서 분사된 물의 증발에 의한 열전달 현상은 analogy 개념을 적용한 질량전달 모델을 도입하였다. 개선된 전산코드로 1000Mwe급 원전의 피동형 격납용기에 대하여 각 실험적 상관식의 차이, 물막의 형성비율, 습식냉각 지연시간 등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직분식 디젤엔진에서 엔진 매개변수들이 NO 및 soot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Parametric Study for Reducing NO and Soot Emissions in a DI Diesel Engine by Using Engine Cycle Simulation)

  • 함윤영;전광민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35-44
    • /
    • 2002
  • Engine cycle simulation using a two-zone model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ngine parameters on NO and soot emissions in a DI diesel engine. The present model was validated against measurements in terms of cylinder pressure, BMEP, NO emission data with a 2902cc turbocharger/intercooler DI diesel engine. Calculations were made for a wide range of the engine parameters, such as injection timing, ignition delay, Intake air pressure, inlet air temperature, compression ratio, EGR. This parametric study indicated that NO and soot emissions were effectively decreased by increasing intake air pressure, decreasing inlet air temperature and increasing compression ratio. By retarding injection timing, increasing ignition delay and applying EGR. NO emission was effectively reduced, but the soot emission was increased.

시간지연 모델을 이용한 충돌형 분사기의 연소응답 인자 도출 및 정량화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n Quantification of Combustion-Response Parameters of Impinging-Jet Injectors using Time-Lag Model)

  • 손진우;김철진;손채훈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2년도 제45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5-7
    • /
    • 2012
  • This study presents relations between the time lag and interaction index of the impinging-jet injectors using time lag model in a model chamber. To analyze the response of the flame, 5% amplitude of oxidizer velocity is artificially perturbed at a resonance frequency. At the mixing point of fuel and oxidizer, which determines the characteristic length, the relationship between velocity perturbation and heat release rate is quantified by combustion parameters of interaction index and time lag. As the improved method to apply the time-lag, the method using the average velocity obtained from numerical results is suggested.

  • PDF

압축착화기관에서 DME-바이오디젤 혼합연료의 분무 및 배기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Spray and Exhaust Emission Characteristics of DME-Biodiesel Blended Fuel in Compression Ignition Engine)

  • 차준표;박수한;이창식;박성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5권1호
    • /
    • pp.67-73
    • /
    • 2011
  • 본 연구는 DME-바이오디젤 혼합연료의 분무 및 연소, 배기 특성을 바이오디젤과 비교한 실험적 연구이며 실험연료는 바이오디젤 (BD100)과 중량 기준으로 DME를 20% 혼합한 DME-바이오디젤 혼합연료 (B-DME20)이다. 거시적 분무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분무 이미지로부터 분무도달거리, 분무각을 측정하였으며, 연소 및 배기 특성은 단기통 직접 분사식 압축착화 기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바이오디젤과 DME-바이오디젤 혼합연료는 분사율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혼합연료의 경우에 착화지연기간이 짧고 연소압력이 높았으며soot 배출물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