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사 입자

Search Result 286,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분무진공동결건조기 개발

  • Ryu, Gyeong-Ha;Ban, Byeong-Min;Kim, Jae-Hyeong;S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258-258
    • /
    • 2013
  • 최근 건조 제품의 양질화, 고급화 및 편의화가 요구되어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건조방법이 계속 개발 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저온과 진공하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진공 동결 건조는 가장 완벽한 건조 방법으로 최근 실용화 되고 있다. 진공동결건조란 건조의 한 종류로 수분을 함유한 시료를 동결시킨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수증기압을 3중점 이하로 낮추어 얼음을 직접 증기로 만드는 승화의 원리에 의해서 얻어진다. 분무진공동결건조의 특징은 (1) 물리적구조의 보존성, (2) 화학적인 안정성, (3) 생물학적인 활동의 보존성, (4) 제품의 높은 복원성 및 재생성이다. 따라서 분무진공동결건조 기술은 크게 진공, 분무, 동결, 건조, 멸균 등과 같은 요소기술의 복합기술이라 할 수 있다.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 진공동결건조 후 분쇄하는 방법을 사용하나 본 방법에서는 정밀화학품 제조를 위해서 분무진공동결건조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하여 적당한 크기인 5~10 um의 입경 제조가 가능하고, 공기동력학적인 입경이 기존 방식에 비해 작아서 허파까지의 운반효율이 1.5~2배 우수하다. 화학, 의학 분야에서의 분무동결 건조는 주로 민감한 제품, 즉 생물학적 고유성의 손상 없이 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어 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물의 첨가로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서 매우 각광을 받고 있다. 의약용 냉동건조 제품은 항생물질, 박테리아, 혈청, 백신, 검사 약물, 단백질을 포함하는 생물공학 제품들, 세포, 섬유, 화학제품 등이 있으며 주로 vial 또는 ampule 상태로 건조가 이루어진다.본 연구에서는 원료를 $-194^{\circ}C$의 액체질소에 분무시켜 동결된 미립자를 형성한 후 진공 및 저온상태에서얼음의 승화(sublimation)에 기반한 1차 건조와 수증기 탈착(desorption)에 기초한 2차 건조 과정으로 구성된 분무진공동결건조기를 개발하였다. 분무동결 과정의 해석을 통해 2유체식 노즐을 통해 분무된 미세 입경의 액적이 액체 질소 표면까지 도달하는 회수률, 분무 노즐의 위치, 운전 조건 및 용기의 설계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초기 액적속도, 분무노즐의 높이, 흡입구 추가에 따른 액적 유동 및 회수의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한 분사시스템 고도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형의 미세 입자가 적층된 제품의 동결건조 공정의 해석은 흡착승화 모델(sorption sublimation model)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열전달, 물질전달, 상변화 모델을 고려하여 유도되었다. 분무노즐 및 냉동/진공 배기계 시작품을 개발하여, 표면의 고다공도를 갖춘 입경 3~20 m 정도의 시료를 얻을 수 있으며, 동역학적 입경 5 m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f Extrusion Ratio on Microstructure and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Rapidly Solidified N-type $Bi_2Te_{2.75}Se_{0.15}$ (급속응고된 N-type $Bi_2Te_{2.75}Se_{0.15}$ 열전재료의 미세조직과 열전특성에 미치는 압출비의 영향)

  • 이상일;홍순직;손현택;천병선;이윤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Conference
    • /
    • 2001.11a
    • /
    • pp.30-30
    • /
    • 2001
  • $Bi_2Te_3$계 열전재료는 200~400K 정도의 저온에서 네어지 변환효율이 가장 높은 재료로써 열전냉각, 바런재로 등에 응요하기 위하여ㅠ 제조법 및 특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Bi_2Te_3$계 화합물은 rhombohedral의 결정 구조를 가지는 층상 화 ;물로 결정대칭성으로 인해 연전기적으로 큰 이방성을 나타낸다. 현재는 일반향용고법에 의해서 입자를 a축 방향으로 성장시켜 큰 결정립을 가진 다결정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나, c면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가공서이 나쁘다. 따라서 이와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가공공정 및 합금설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측히 열간 압출법으로 제조된 열전재료는 결정립의 미세화와 높은 이방성으로 성능지수와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또한 Schultz드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Bi_2Te_3$ 계 열전재료는 소성변형에 의하여 발생한 점결함에 의하여 캐리어 농도가 변화되며 이로 인하여 재료의 전기적 성질이 결정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상당히 큰 소성가공량과 열전측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압출변수 중 소성가공량에 중요한 변수로 작요아는 압출비를 변화시켜 최적의 열간 소성가공량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열전측성과 압출비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N형의 조성은$Bi_2Te_{2.75}Se_{0.15}$로서 순도 99.99를 사용하였고, dopant로 0.1wt%의 $SbI_3$를 사용하였다. $Bi_2Te_{2.75}Se_{0.15}$ 분말은 가스분사법(Gas atomization Process)를 이용하여, 용탕제조시 아르곤가스로 산화를 방지하였고, 냉매로는 질소가스를 이용하였다. 제조된 분말을 기ㅖ적 분급법을 이용하여 분급하였고, 냉매로는 질소가스를 이용하였다. 제조된 분말을 기계적 분급ㅂ법을 이용하여 분급하였고, 압출에 이용된 분말은 250$\mu\textrm{m}$이하의 크기를 사용하였다. 또한 분말제조과정 중 형성되는 표면산화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36$0^{\circ}C$에서 4시간동안 수소 환원처리를 행하였다. 제조된 분말은 열간 압출을 위하여 Aㅣcan에 넣고 냉간성형체를 만들고, 진공처리를 한 후 밀봉하여 탈가스처리를 하였다. 압출다이는 압출비가 각각 28:1과 16:1인 평다이(9$0^{\circ}C$)를 사용하여 각각 내경이 9, 12cm이고, 길이가 50, 30cm인 압출재를 제조하였다. 열간압출한 후의 미세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압출방향에 평행한 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관찰하였고, 열간 압출재 이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X선 회절분석을 실실하여 결정방위를 확인하였다. 전기 비저항 및 Seebeck 계수 측정을 위하여 각각 2$\times$2$\times$10$mm^3$ 그리고 5$\times$5$\times$10$mm^3$ 크기의 시편을 준비하였다.준비하였다.

  • PDF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Special-Purpose Ship for the Removal of Blue-green Algae (친환경적 녹조 제거용 특수선박 건조)

  • Shin, Jae-Ki;Yi, Hye-Suk;Jeong, Sun-A;Hwang, Soon-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2 no.3
    • /
    • pp.404-406
    • /
    • 2009
  • This study note wished to introduce special-purpose ship for algae removal that is developed by core technology of our country. The ship is consisted of main frame and adjuvant that can attach and detach as cross (+) shape of a character. The characteristics of ship are super light weight and low draft. That is consisted of four devices as suction, collection, filtration and recovering units. Among these, filtration used screen filter (mesh size 30 ${\mu}m$). Also, can separate and remove water and algae by compression air participle notion. Percentage of moisture content of concentrated algal particle was 85%. Water parted with algae finally is exhausted to water area. Removal efficiency that compare by chlorophyll-$\alpha$ concentration was about 57% (inflow: 83.2 ${\mu}g\;L^{-1}$, outflow: 35.8 $[\mu}g\;L^{-1}$) without physical and chemical pretreatment. Forward, need to achieve effect test in various conditions (algal biomass, flow etc.) for efficiency and technological elevation of exclusion device. We wished to contribute in presuppression system construction of massive algal development that manage blue-green algae occurrence area effectively, and prevents spread as lower part of reservoir.

Synthesis and Magnetic Properties of Nanosized Ce-substituted Yttrium Iron Garnet Powder Prepared by Sol-gel Method (졸-겔법에 의한 Cerium 치환 Nanosize YIG 분말의 합성 및 자기적 특성)

  • 장학진;김광석;윤석영;김태옥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11
    • /
    • pp.1008-1014
    • /
    • 2001
  • Nanosize YIG powders added by Cerium which is exellent element in magneto-optical effect were synthesized by Sol-Gel method using Ethylene Glycol solvent. In 120 to 150 minute reaction time, stable sol solution which showed no change in viscosity, pH, and aging time was obtained. Monolithic YIG was synthesized at 80$0^{\circ}C$ with DTA and XRD measurement and its lattice parameter had a tendency to increase from 12.3921 $\AA$. Increasing annealing temperature from 80$0^{\circ}C$ to 105$0^{\circ}C$, average particle size was in the range of 40 nm to 330 nm. Saturation magnetization (M$_{s}$) value was increased from 18.37 to 21.25 emu/g due to enhancement of YIG crystallity and decreasing of orthoferrite phase. On the other hand, coercivity (H$_{c}$) value increased up to 90$0^{\circ}C$ and then decreased above 90$0^{\circ}C$. With increasing Ce addition, coercivity was almost not changed but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was maximum at Ce 0.1 mol% and then decreased because of increasing a orthoferrite amount. Also, curie temperature (T$_{c}$) of YIG were not changed with Ce addition.ion.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Pyrotechnic Devices on the Reliability of Thermal Batteries (열전지의 신뢰성에 미치는 파이로테크닉 부품의 특성분석)

  • Cheong, Hae-Won;Kang, Sung-Ho;Kim, Kiyoul;Cho, Jang-Hyeon;Ryu, Byungtae;Baek, Seung-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23 no.1
    • /
    • pp.116-123
    • /
    • 2019
  • Thermal batteries are also called molten-salt batteries as the electrolyte is mainly composed of molten salt. The molten-salt electrolyte is a solid that does not conduct electricity at room temperature, but when it is melted by a pyrotechnic heat source, it becomes an excellent ionic conductor. Thermal batteries are a kind of pyrotechnic battery because they operate only when the solid electrolyte is melted by the heat energy provided by pyrotechnic materials. Pyrotechnic components used in a thermal battery include heat sources, fuse strips, and an igniter. The reliability of these pyrotechnic components critically affects the reli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battery that must supply electricity stably to guided munitions even under extreme environmental conditions. Different igniter types offer different advantages: notch-type igniters offer improved ignition probability, whereas film-type igniters offer improved safety. The addition of metal oxides to the heat paper could improve the burn rate, and the ignition reliability could be greatly improved by using it with a flame igniter at the same time. Using a two-step reduction process, high-purity Fe particles in coral form can be safely obtained.

Shear bond strength of Universal bonding systems to Ni-Cr alloy (니켈-크롬 합금에 대한 다용도 접착 시스템의 전단결합강도)

  • Song, So-Yeon;Son, Byung-Wha;Kim, Jong-Yeob;Shin, Sang-Wan;Lee, Jeong-Yol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3 no.4
    • /
    • pp.295-300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between Ni-Cr alloy and composite resin using universal adhesive systems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using metal primers. Materials and methods: For this study, a total of 120 cast commercial Ni-Cr alloy (Vera Bond 2V) disks were embedded in acrylic resin, and their surfaces were smoothed with silicon carbide papers and airborne-particle abrasion. Specimens of each metal were divided into 6 group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metal primers (Metal primer II, Alloy primer, Metal & Zirconia primer, MKZ primer) and universal adhesive systems (Single Bond Universal, All Bond Universal).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at $37^{\circ}C$ for 24 hours. Shear bond strength testing was perform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at a cross head speed of 1 m/min. Data (MP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the post hoc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 (${\alpha}$=.05).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ingle Bond Universal, All Bond Universal, Metal Primer II and Alloy Primer, MKZ Primer, Metal & Zirconia Primer (P<.001). Conclusion: Universal Adhesive system groups indicated high shear bond strength value bonded to Ni-Cr alloy than that of conventional system groups using primers except Metal Primer II.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mprovement of universal adhesive systems which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restorations is recommended especially non-precious metal alloy. More research is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ilane inclusion or exclusion in universal adhesive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