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변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6초

비닐하우스에서 분변토와 부식산의 혼합시용에 대한 열무의 생장반응 (Growth response of young raddish on the application of the mixed material of vermicast and humic acid in the green house)

  • 배윤환;박광일;강갑동
    • 유기물자원화
    • /
    • 제18권3호
    • /
    • pp.68-76
    • /
    • 2010
  • 비닐하우스에서 지렁이 분변토와 부식산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토양에 시비하였을 때 열무의 생육특성 및 토양의 물리 화학성을 조사하였다. 10a 당 분변토 300kg(d.w.)에 고상 부식산 0, 5, 10, 15, 30, 50kg(a.i.)을 각각 혼합하여 시비하였으며, 관행퇴비 시비(600kg/10a)구와 무처리구를 두었다. 분변토가 시비된 모든 처리구에서 무처리구보다 엽수, 엽장, 엽폭, 엽의 생체중, 뿌리 길이, 직경, 뿌리의 생체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분변토+부식산이 시비된 처리구에서 열무 생육은 관행 시비의 경우와 대등하거나 그보다 상회하였다. 10a 당 분변토 300kg(d.w.)에 부식산 5kg을 혼합하였을 때 열무 엽의 생체중은 무처리의 1.79배, 뿌리의 생체중은 2.08배로 10kg 이상의 부식산을 혼합한 경우나 관행시비의 경우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분변토와 부식산을 시비한 토양에서 열무를 수확한 후에 토양의 이화학성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애등에 분변토의 혼합 상토가 한국잔디의 생육 및 근권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dier Fly Casts Mixed Soil on Change of Soil Properties in Root Zone and Growth of Zoysiagrass)

  • 이상범;김영선;함선규;임혜정;최영철;박관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98-305
    • /
    • 2013
  • 아메리카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동애등에 분변토(Soldier fly cast)는 음식물 발효물과 동애등에번데기가 혼합된 부산물비료이다. 본 연구는 동애등에 분변토가 혼합된 모래상토에서 자란 한국잔디의 생육과 토양의 변화를 조사하여 동애등에 분변토가 토양개량제로서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적합성 평가를 위해 USGA규격에 적합한 모래와 7% 코코피트(Coco), 7% 부산물비료(Comp), 3.5% 동애등에 분변토(1/2 SFC) 및 7% 동애등에 분변토(SFC)를 혼합하여 연구에 사용하였다. 토양분석결과, SFC 처리구에서 NA보다 CEC가 증가하였고, Coco보다 질소, 유효인산 및 칼륨이 증가하였다.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와 같은 잔디품질은 SFC처리구에서 향상되었고, 잔디뿌리길이도 증가하였다. 잔디생육량은 SFC처리구에서 지상부, 포복경, 지하부의 생육이 모두 증가하여 잔디생육이 가장 왕성하였다. 잔디 중 함유된 양분은 SFC처리구의 지상부에서 칼륨과 칼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7% 동애등애분변토가 혼합된 모래상토는 토양의 보비력과 주요양분의 유효도가 증가하여 잔디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육과 품질이 향상시키므로 골프장 상토의 토양개량제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Fructooligosaccharide의 섭취에 의한 인체의 장내세균(腸內細菌) 및 분변(糞便) 성상의 변화 (Effects of the Fructooligosaccharide Intake on Human Fecal Microflora and Fecal Properties)

  • 강국희;김경민;최선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09-615
    • /
    • 1996
  • Fructooligosaccharide (FOS) 섭취에 의한 장내 유익세균의 증식촉진 효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자 5명에게 FOS를 4주동안 매일 8g씩 점심 식사 후에 섭취하도록 하였다. 시험 대상자로부터 매주 1회 분변을 수거하여 분변의 pH, 수분함량, Bifidobacteria 수, Lactobacilli 수, Coliforms 수를 측정하여 FOS 섭취에 의한 분변균총과 분변성상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FOS의 섭취전 4주간을 control기간(평상시)으로 하였고 FOS 섭취기간과 FOS 섭취중단기간을 각각 4주로 하였다. 평상시 분변 수분함량은 $81.77{\pm}1.93%$이었으며, FOS의 섭취에 의하여 수분함량이 증가하였는데 4주째는 $84.66{\pm}1.00%$로 평상시의 분변 수분함량과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p<0.05), 이러한 수분함량의 증가현상은 FOS의 섭취를 중단한 후 4주동안 지속되었다. 평상시의 분변 pH는 $6.56{\pm}0.09$이었고 ,FOS의 섭취동안 pH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4주후 $6.27{\pm}0.05$이었다. FOS의 계속적인 섭취가 분변의 pH를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며 이와같은 분변의 pH 감소는 FOS의 섭취를 중단한 후에도 4주동안 지속되었다. 평상시의 분변 1 g중의 Bifidobacteria수는 $7.88{\pm}1.43(log_{10})$이었으며 FOS섭취에 의하여 2주째에는 $8.67{\pm}1.60$, 4주째에는 $9.22{\pm}0.53$으로서 평상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FOS의 섭취를 중단한 후에는 거의 평상시 수준으로 환원되었다. FOS섭취 전인 평상시의 Lactobacilli수는 $6.76{\pm}1.34$였으나 FOS의 섭취에 의하여 균수가 점차 증가하였는데 3주째에 $7.67{\pm}1.32$, 4주째에 $8.15{\pm}1.05$를 나타내어 평상시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평상시의 Colifoms수는 $6.65{\pm}1.03$이었으며 FOS의 섭취에 의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 PDF

수질인자의 합성에 의한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River Recreation Index Model by Synthesi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 서일원;최수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395-1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하천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종합 수질 정보를 제공하는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 모델은 분변성 대장균 모델과 수질지수 모델을 통합하여 구성하였다. 분변성 대장균 모델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변성 대장균 등급을 예측하였고, 수질지수 모델에서는 DO, pH, 탁도, 클로로필 a를 퍼지 합성방법을 통해 종합화하여 수질 지수를 산정하였다. 최종 단계에서 분변성 대장균 등급과 수질 지수를 통합하여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모델을 낙동강의 강정고령보 상류 지점에 적용한 결과,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는 개별 수질인자들의 변화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와 클로로필 a의 상관계수가 -0.85로 나타나 클로로필 a가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모델에서 산정한 종합수질지수는 기존 수질 정보 제공 시스템인 실시간 수질지수보다 보수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등급에 따라 현재의 수질 상태가 어떠한 상태에 속하는지를 계산하고 수질 기준의 불확실성을 적절하게 고려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아가서, 분변성 대장균 등급이 낮을 경우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가 분변성 대장균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실시간 수질지수보다 낮은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렁이 퇴비화장치 연속운영시 하수슬러지 침출액 및 분변토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wage Sludge and Casting Charateristic Variation During the Continus Vermicomposting)

  • 이창호;김종오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3호
    • /
    • pp.35-41
    • /
    • 2003
  • 본 연구는 지렁이 퇴비화 장치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연구를 목적으로 지렁이 퇴비화 장치 연속 운영시 하수슬러지 침출액 및 처리 후 발생되는 분변토의 특성변화를 살펴본 결과 pH는 지렁이 생육에 적합한 5~8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산화환원전위와 전기전도도는 처리 전 후의 값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NH_3-N$ 처리 후 감소 경향을 나타내었고, $NO_3-N$는 처리 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pH, 알카리도, T-N, T-P는 처리 전 후의 성분변화가 낮게 나타나 지렁이 퇴비화 장치 설계시 ORP 또는 EC 항목을 이용하여 하수슬러지 퇴비화 지표활용으로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처리 후 발생되는 분변토를 부숙토로 재활용시 적합 판단을 목적으로 30일간 발생된 분변토의 평균 특성과 부숙토 제품기준을 비교 검토한 결과 분변토의 유기물함량, 유기물 대 질소비 및 염분 등은 각각 42.3%, 21.3, 0.15%와 As, Cd, Cr, Cu, Pb 및 Hg은 각각 0.041, 0.013, 0.012, 0.348, 0.006mg/kg 및 불검출로 나타나 부숙토 제품 등급의 가 등급으로 재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NO_3-N$$NH_3-N$$NO_3-N$ 농도가 $NH_3-N$ 농도보다 높게 나타나 분변토를 토양개량제 및 매립지 복토용으로 재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Xylooligo당이 고콜레스테롤 식이 횐쥐 간조직의 UDP-Glucuronyl Transferase 활성과 분변중 Sterol류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Xylooligosaccharide on Hepatic UDP-Glucuronyl Transferase Activity and Compositions of Fecal Sterols in Rat Fed High Cholesterol Diets)

  • 김성옥;이인구;이순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97-1203
    • /
    • 2001
  • 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xylooligo당이 간조직중의 UDP-glucronyl transferase 활성과 분변을 통한 지질, 담즙산 및 중성 sterol류의 배설 및 장기능개선 효과를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은 100$\pm$10g의 Sprague-Dawley 횐쥐를 이용하여 정상 식이군과 1% 고콜레스테롤 실험군으로 나누고 다시 실험군은 1%의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xylooligo당을 0%, 5%, 10% 및 15% 농도 첨가군(C, C5XO, C10XO 및 C15XO군)로 나누어 각군마다 10마리씩 4주간 자유섭식 시켰다. 분변중의 총지질 및 TG함량은 C군에 비해 xylooligo당 공급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간 microsome의 UDP-glucuronyl transferase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해 C군에서 35% 증가되었고 또 C5XO, C10XO 및 X15XO군은 C군에 비해 15%, 41% 및 21%씩 각각 증가되었다. 분변중의 bile acid 함량은 C군에 비해 C5XO, X10XO 및 C15XO군에서 3.1배, 3.6배, 2.8배씩 각각 증가되었다. 분변중 중성 스테롤류인 cholesterol, coprostanol, coprostanone 함량은 C군에 비해 xylooligo당 공급군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xylooligo당은 고콜레스테롤 식이 횐쥐에서 간조직의 UDP-GTase활성을 증가시키고 분변으로 총지질 및 중성지방 그리고 스테롤류의 배설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고 또 분변량도 증가시키는 장기능 개선 효과도 뚜렷하였다.

  • PDF

분변 미생물군집 프로젝트 (Toward The Fecal Microbiome Project)

  • 운노 타쯔야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15-418
    • /
    • 2013
  •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의 발전으로 16S rRNA의 염기서열 분석이 미생물 군집 분석의 주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간의 건강과 질병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을 밝혀내기 위한 인간 미생물군집 프로젝트(human microbiome project, HMP)가 최근에 완료되었다. HMP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질병들의 특성들을 밝혀내었고, 특히 장에 서식하는 세균들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비록 인간의 장내 세균들에 대한 연구는 잘 수행되어왔지만, 다른 가축의 장내 세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의 분변 미생물 다양성에 관해 조사하였고, 분변미생물 생태연구의 중요성을 제시 할 것이다. 한국에서의 분변 미생물 군집 프로젝트(fecal microbiome project) 시작을 본 연구논문을 통해 보고하고자 한다.

국내 마우스에서 분리된 Cryptoporidium parvum의 송아지로의 감염시험 (Experimental Cryptosporidium parvum infection in a Korean native calf isolated from a Korean mouse)

  • 위성환;이정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0권4호
    • /
    • pp.259-262
    • /
    • 1992
  • 국내 마우스에서 분리하여 계대중인 Cryptosporidium parvum 원충이 송아지에 감염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25일령의 한우 송아지에 1×106개의 오오시스트를 감염시킨 결과 점종 후 4일 째부터 분변 내에 오오시스트를 배출하였다. 오오시스트의 배설은 8일간 지속되었고, 그 수는 인충 점종 후 6일째에 가장 많았다(분변 gram당 4.9×105개 오오시스트). 감염된 송아지의 분변 내로 오오시스트가 배출되는 동안 분변의 성상은 정상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국내 마우스에서 분리된 C. parvum은 송아지에게도 교차감염이 이루어져 숙주특이성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GC 및 GC/MSD를 이용한 주요 분변 부패산물 신속분석법 (Rapid Analysis of Major Putrefactive Metabolites by GC and GC/MSD)

  • 박규용;김민철;우강융;이나경;백현동
    • KSBB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74-77
    • /
    • 2003
  • 대표적인 부패산물들로 잘 알려진 indole, skatole, 그리고 $\rho$-cresol 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HPLC, spectrophotometric 법, 그리고 GC 및 GC/MSD 방법 등이 있으며, 수십년 간에 걸쳐 이러한 물질들의 분석이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많은 전처리 과정을 생략하여 분석물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GC 및 GC/MSD를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는 조건과 방법을 확립하였다. 측정사료는 건강한 성인 남녀의 분변이었으며, 내부 표준물질로 4-isopropylphenol을 사용하였으며, 분변 중 indole의 함량은 10~90 ppm 수준이었으며, skatole의 경우에는 약 40 ppm 정도로 검출되었다. 또한, $\rho$-cresol은 30~300 ppm 수준으로 그 분포 범위가 아주 넓게 나타났었다. GC/MSD를 이용하여 시료 중상기 물질들을 정성적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DB-17 capillary 컬럼을 이용하여 시료의 전처리 과정을 생략하여도 분석하려던 부패산물의 정성 및 정량에 방해되는 불순 peak는 없었고, 분리능도 매우 우수하였으므로 보다 빠르고 신속하게 상기 물질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신속분석법이 분변에 존재하는 주요 부패산물들의 정량에 유용하게 사용되리라 판단된다.

제지공정 페슬러지처리용 지렁이 분변토의 담체화 기술 (Immobilization of Earthworm Casts to Treat the Waste Sludge Produced from Pulp & Paper Plants as a Biocarrier)

  • 조욱상;이은영;조남혁
    • 청정기술
    • /
    • 제8권3호
    • /
    • pp.167-172
    • /
    • 2002
  • 제지슬러지를 지렁이에게 급이하여 생산된 분변토의 하 폐수 고도처리용 담체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먼저 폐수를 일반 활성슬러지법으로 운전한 후 이를 담체와 유입수의 조건을 달리하여 영양 염류의 제거 효율을 알아보았다. 담체를 적용하기 전엔 T-P및 T-N의 제거율은 각각 평균 52%와 31%정도로 나타났다. Pellet 형 및 pack 형으로 제조된 두 종류의 분변토 담체를 적용한 후에는 T-P의 경우는 제거효율이 약 1.3~1.4배 증가하였으며 T-N의 제거효율은 약 1.9 ~ 2.0 배 증가하여 상당히 뛰어난 영양염류의 제거 효율을 보여주었다. 또한, T-N 및 T-P의 제거효율은 담체의 종류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아 다양한 미생물이 서식하는 분변토는 성형 방법에 관계없이 뛰어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담체 적용 전후의 BOD 및 COD의 제거 효율은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분변토로 제조된 담체는 하 폐수 고도처리용 담체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