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무노즐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3초

회전연료노즐 형상변경에 따른 분무특성 (Spray Characteristics of the Rotating Fuel Nozzle with Orifice Geometry)

  • 장성호;최현경;이동훈;유경원;최성만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8년도 제30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40-243
    • /
    • 2008
  • 회전식 연료 노즐의 분무특성을 알기 위해서 고속회전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장치는 연료공급장치, 고속 회전장치 그리고 아크릴 케이스로 구성되어있다. Injection orifice의 직경 및 개수를 변화시켜가며 분무실험을 수행하였다. 액적의 크기 및 속도는 PDPA(Phase Doppler Particle Analyzer)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Injection orifice의 직경 및 개수변화에 따른 회전식 노즐의 분무특성을 이해 할 수 있었다.

  • PDF

타원형 노즐을 이용한 횡단류 유동에서 액체제트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iquid Jet in Crossflows Using Elliptical Nozzles)

  • 송윤호;황동현;안규복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17년도 제48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320-324
    • /
    • 2017
  • 아음속 공기유동으로 수직분사하는 액체제트에 대하여 오리피스 형상이 달라질 경우, 분무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서로 다른 오리피스 길이 대 직경비와 타원형 노즐의 종횡비를 갖는 분사기들을 제작하여 수직분사 실험을 진행하였다. 원형노즐과 타원형 노즐에서의 분열길이를 비교하였으며, 타원형 노즐에서의 분열길이는 모든 실험조건에서 원형노즐에 비해 줄어들었다. 캐비테이션과 수력튀김 현상이 분사기 내부에 발달되는 분무차압 조건의 경우, 두 노즐 모두 분열길이가 감소하였다. 액주궤적의 경우, 장축으로부터 분무되는 액체제트가 횡방향 공기유동에 수직으로 부딪혀 나가는 경우가 액주의 궤적이 단축에 비해 더 휘어지며, 침투높이가 낮아진다.

  • PDF

슬링거 연소기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Slinger Combustor)

  • 이강엽;이동훈;최성만;박정배;박영일;김형모;한영민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1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3-178
    • /
    • 2003
  • 슬링거 연소기의 연소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료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의 연료노즐을 통하여 연소기내로 분사된다. 회전분무시스템의 분무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PDPA를 이용하여 연료노즐의 회전속도 변화에 따른 분무입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분무액적의 크기는 연료노즐의 회전수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물크기의 연소기를 제작하여 한국 항공우주연구원의 연소시험설비에서 점화 및 연소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점화성능 및 연소효율은 연료노즐 회전수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연소기출구온도는 매우 균일한 온도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

터널 물분무소화설비의 살수밀도분포에 대한 실험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pray density distribution of water spray system in road tunnel)

  • 소수현;박경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1-8
    • /
    • 2011
  • 장대 도로터널 및 위험도가 높은 도로터널에 설치되고 있는 물분무소화설비는 성능과 관계된 단위면적당 방수밀도에 대한 검증과정이 없이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도로터널에 물분무소화설비에 노즐을 설치하여 기준압력에서 방수시험을 실시하여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모든 노즐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이런 결과는 도로터널용 물분무노즐을 검증하는 시험기준이 없고, 실제 시험을 통한 검증 과정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물분무노즐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기준의 마련과 설치된 시설을 검증하는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온실 냉방용 분무노즐의 분무 특성 (Spray Characteristics of Spray Nozzles Used for Greenhouse Cooling)

  • 서원명;이종열;윤용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98-31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온실냉방용 포그시스템 설계시 필요한 기초자료 확보를 위하여 경상대학교내 실험온실에 설치한 3종류의 노즐을 중심으로 분무특성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위 노즐당 분무량은 분무압력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나, 각 노즐에서 공히 분무압력의 증가에 따른 분무량의 증가율이 일정하지 않았다. 노즐의 유형 I, II, III형별로 전체 실험분무압력에서 최소입경은 각각 약 1.7~2.5$\mu$m, 1.7~2.2$\mu$m 및 1.7~2.2$\mu$m이었고, 최대입경은 각각 약 44~60$\mu$m, 52~71$\mu$m 및 45~61$\mu$m이었으며, 평균입경은 각각 약 23~38$\mu$m, 19~24$\mu$m 및 17~25$\mu$m범위에 있었다. 그리고 노즐 I, II, III 별로 분무입경이 가장 양호하다고 판단된 분무압력은 각각 70kg/$\textrm{cm}^2$, 30kg/$\textrm{cm}^2$ 및 30kg/$\textrm{cm}^2$이었으며, 그 때의 분무량은 각각 124mL/min, 103mL/min 및 84mL/min정도였고, 평균입경은 각각 약 22.6$\mu$m, 21.8$\mu$m 및 20.6$\mu$m정도였다. 또한 전체 입경분포에서 30$\mu$m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은 노즐(I, II 및 III)별로 각각 95.4%, 85.7%, 79.0%정도였으며, 비교적 입자가 큰 40$\mu$m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0.2%, 1.28% 및 1.67%정도였다. 그러나 이들 노즐들의 분무입자 크기는 대부분 포그의 한계입경인 50$\mu$m이하에 속하였다.

  • PDF

Urea-SCR시스템 액막형 선회분사기의 분사압력변화에 따른 무특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injection pressure on the atomization characteristics of a liquid sheet-type swirl injector for Urea-SCR system)

  • 김덕진;양동욱;이지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7권5호
    • /
    • pp.510-519
    • /
    • 2013
  • Urea-SCR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액막형 선회분사기의 분사압력변화에 따른 분무특성이 실험적으로 조사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노즐은 형상비 3.1을 갖는 단공 압력식 액막형 선회노즐이며, 노즐선단에 분사되는 유체에 선회류를 형성하기 위한 선회기가 설치되어 있다. 노즐의 분사량 조절은 PWM(pulse width modulation)기법에 의해 제어되었다. 분무의 발달과정은 2차원 PIV에 의해 가시화되었으며, 분무각 변화가 조사되었다. 분무액적의 속도 및 크기는 2차원 PDPA에 의해 상온 대기압 조건에서 측정되었다. 분무구조는 분사압력에 큰 영향을 받으며, SMD는 분사압력 증가에 따라 감소하며 선행연구자의 반실험적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미세 물분무 노즐의 분사특성 실험 결과 분석

  • 김창섭;유우준;권성필;염문천;김창;한용택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29-22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세 물분무 노즐의 소화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유량계수, 방사거리, 방사각도, 그리고 작동압력에 따라 분사되는 물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중 구조의 미세 물분무 노즐 LPN-61과 LPN-63을 제작하였으며, 미분무 소화설비를 구성하여 이중구조 노즐의 형상에 따라서 유동특성을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LPN-61은 유량계수 5.116, 방사각 $120^{\circ}{\sim}125^{\circ}$로 작동압력이 $4kgf/cm^2$에서 $10kgf/cm^2$까지 증가함에 따라서 SMD는 $127{\mu}m$정도에서 $88{\mu}m$까지 입자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LPN-63은 유량계수 5.121, 방사각도 $120^{\circ}{\sim}125^{\circ}$로 동일한 작동압력 범위에서 SMD는 $108{\mu}m$에서 $80{\mu}m$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Y-jet 노즐의 출구오리피스 형상이 비대칭 분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Y-jet Nozzle Exit Orifice Shape on Asymmetric Spray)

  • 백광열;홍정구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3-39
    • /
    • 2021
  • Y-jet nozzle has a wide fuel flow rate range and turn-down ratio, thus, it is used in industrial boilers, furnace and agricultural atomizer. However, it has asymmetrical spray characteristics due to the nozzle design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asymmetric spraying characteristics of the elliptical Y-jet nozzle was studied by using the lab-scale spray apparatus. As a result, the elliptical Y-jet nozzle had lower gas mass flow rate than circular Y-jet nozzle at same gas pressure, because of bigger shear stress due to the wider inner surface at the elliptical Y-jet nozzle. Larger SMD was measured on the elliptical Y-jet nozzle than the circular Y-jet nozzle. When SMD was measured in the X_Axis direction at the same gas mass flow rate, the elliptical Y-jet nozzle with an aspect ratio of 2:1 showed greater asymmetry than the others.

분무진공동결건조기 개발

  • 류경하;반병민;김재형;손상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8-258
    • /
    • 2013
  • 최근 건조 제품의 양질화, 고급화 및 편의화가 요구되어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새로운 건조방법이 계속 개발 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들 중에서 저온과 진공하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진공 동결 건조는 가장 완벽한 건조 방법으로 최근 실용화 되고 있다. 진공동결건조란 건조의 한 종류로 수분을 함유한 시료를 동결시킨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수증기압을 3중점 이하로 낮추어 얼음을 직접 증기로 만드는 승화의 원리에 의해서 얻어진다. 분무진공동결건조의 특징은 (1) 물리적구조의 보존성, (2) 화학적인 안정성, (3) 생물학적인 활동의 보존성, (4) 제품의 높은 복원성 및 재생성이다. 따라서 분무진공동결건조 기술은 크게 진공, 분무, 동결, 건조, 멸균 등과 같은 요소기술의 복합기술이라 할 수 있다.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 진공동결건조 후 분쇄하는 방법을 사용하나 본 방법에서는 정밀화학품 제조를 위해서 분무진공동결건조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하여 적당한 크기인 5~10 um의 입경 제조가 가능하고, 공기동력학적인 입경이 기존 방식에 비해 작아서 허파까지의 운반효율이 1.5~2배 우수하다. 화학, 의학 분야에서의 분무동결 건조는 주로 민감한 제품, 즉 생물학적 고유성의 손상 없이 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어 영구적으로 저장 가능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물의 첨가로 원상태로 복구할 수 있어서 매우 각광을 받고 있다. 의약용 냉동건조 제품은 항생물질, 박테리아, 혈청, 백신, 검사 약물, 단백질을 포함하는 생물공학 제품들, 세포, 섬유, 화학제품 등이 있으며 주로 vial 또는 ampule 상태로 건조가 이루어진다.본 연구에서는 원료를 $-194^{\circ}C$의 액체질소에 분무시켜 동결된 미립자를 형성한 후 진공 및 저온상태에서얼음의 승화(sublimation)에 기반한 1차 건조와 수증기 탈착(desorption)에 기초한 2차 건조 과정으로 구성된 분무진공동결건조기를 개발하였다. 분무동결 과정의 해석을 통해 2유체식 노즐을 통해 분무된 미세 입경의 액적이 액체 질소 표면까지 도달하는 회수률, 분무 노즐의 위치, 운전 조건 및 용기의 설계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초기 액적속도, 분무노즐의 높이, 흡입구 추가에 따른 액적 유동 및 회수의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한 분사시스템 고도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구형의 미세 입자가 적층된 제품의 동결건조 공정의 해석은 흡착승화 모델(sorption sublimation model)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열전달, 물질전달, 상변화 모델을 고려하여 유도되었다. 분무노즐 및 냉동/진공 배기계 시작품을 개발하여, 표면의 고다공도를 갖춘 입경 3~20 m 정도의 시료를 얻을 수 있으며, 동역학적 입경 5 m 충족함을 확인하였다.

  • PDF

드럼형 회전연료노즐의 미립화 기구 및 분무특성 연구 (The Atomization Mechanism and Spray Characteristics of Drum Type Rotary Atomizer)

  • 이동훈;최현경;최성만;유경원;허환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7-65
    • /
    • 2008
  • 가스터빈엔진에 적용할 수 있는 드럼형 회전연료노즐의 모델링을 통해 원심력이 충분한 연료분사압력을 발생시킴을 보였고, 회전연료분사의 미립화 현상에 대해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회전연료분사의 미립화기구 및 분무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고속 회전연료노존 시험리그를 이용하여 $5,000\;{\sim}\;40,000rpm$의 영역에서 분무가시화와 PDA를 이용한 분무액적 측정을 실시하여 회전연료분무의 미립화 특징을 규명하고, 미립화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회전속도증가를 통해 액적분열시점을 앞당기는 것이 중요함을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