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만젖소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6초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ra-Uterine Infusion of Lipopolysaccharides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with Retained Placenta)

  • 백광수;박성재;박수봉;이왕식;김현섭;정경용;기광석;전병순;안병석;서국현;김태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195-199
    • /
    • 2006
  • 본 연구는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LPS)의 처리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분만 후 12시간이 경과하여도 후산이 배출되지 않은 홀스타인 개체 33두 및 대조구 12두에 대하여 분만후 20일째에 LPS 100 ${\mu}g$을 자궁 내에 주입한 다음 7일후에 발정이 발현되었을 때 인공수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첫 수정에 의한 수태율은 대조구의 경우 공시한 12두가 모두 첫 수정에 의해 수태가 되지 않았고 처리구는 33두중 11두가 수태되어 33.3%의 수태율을 나타내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대조구 및 처리구의 분만후 수태까지의 일수는 각각 $149.6{\pm}34.3$일 및 $53.0{\pm}12.5$일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1)으로 단축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대조구 및 처리구의 수태당 종부 횟수는 각각 $3.6{\pm}0.8$회 및 $2.1{\pm}0.3$회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p<0.05)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젖소에 있어서 분만 후 혈액 및 우유의 성분 변화와 성분간의 상관관계 (Changes of Blood and Milk Components and Correlation among Them after Parturition in Dairy Cows)

  • 이종완;정영채;김창근;김명희;최선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7-135
    • /
    • 2007
  • 본 연구에서 Holstein 유우 78두로부터 분만 후 9주까지 1주 간격으로 혈액과 우유를 채취하여 cholesterol, glucose, 광물질(selenium, Ca, p), vitamin E 및 혈장내 progesterone을 분석하여, 이들 성분의 변화와 성분간의 상관 관계 및 변화 요인에 관하여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만 후 9주까지의 각 성분별 평균 수준은 혈액에서 cholesterol, glucose, selenium, Ca, P, vitamin E 및 BUN이 각각 78.8 mg/dl, 62.3 mg/dl, 8.9mg/dl, 7.4 mg/dl, 52.2 ng/ml, $10.3{\mu}g/l$ 및 16.3 mg/dl이었으며, MSe와 MUN은 15.3 ng/ml과 15.8 mg/dl이었다. 2. 혈액내 cholesterol, glucose, selenium, Vitamin E 및 MSe는 분만 후 시일 경과에 따라 증가되었다. 3. 성분간의 유의적 상관관계를 보면 cholesterol은 P와 부(-), selenium과 U과는 정(+)의 상관이 었고, glucose는 P, MSe와 정(+), P는 selenium 와 부(-) 상관이었으며 그리고 BUN과 MUN은 정(+) 상관을 나타내었다. 4. 성분 변화의 요인으로서 유우 나이는 glucose와 selenium, 산차는 selenium과 vitamin E, 유량은 glucose와 MSe 수준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청초와 건초 급여간에는 혈액내 Ca와 selenium를 제외 한 성분에서 차이를 보였다. 요소태 질소에서는 MUN에서만 나이와 산차간에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분만 후 급여 사료에 따라 혈액 및 우유의 성분에 차이를 보이며, 특히 혈액 및 우유내의 selenium은 분만 후 젖소에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포유류의 종에 따른 초유 단백질의 변화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Colostrum Proteins by Mammalian Species)

  • 김승희;김완섭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105-111
    • /
    • 2017
  • 젖소, 한우, 돼지, 그리고 산양의 초유 중 단백질의 변화를 초일부터 7일까지 조사하였다. 돼지의 초유를 제외한 젖소, 한우, 그리고 산양의 초유에서 면역글로불린, 락토페린, 락토퍼옥시데이스, 혈청 알부민, IgG heavy chain, 그리고 IgG light chain은 분만 후, 초일 함량이 현저히 높았고, 2일째부터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alpha}_{S2}$-카세인, ${\alpha}_{S1}$-카세인, ${\beta}$-카세인, ${\kappa}$-카세인, ${\beta}$-락토글로불린 및 ${\alpha}$-락트알부민은 분만 직후부터 7일까지 현저한 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돼지 초유의 경우는 모든 단백질이 분만 후, 초일부터 2일까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의 재개와 혈장 요소태 질소(PUN)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Resumption of Postpartum Ovarian Cyclicity and Plasma Urea Nitrogen (PUN) in Holstein Cows)

  • 박수봉;손준규;박성재;백광수;전병순;안병석;김현섭;박춘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99-205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의 재개, 난소 주기 재개와 PUN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l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기의 재개 지연 II형(22.7%)이 난소 주기 재개 지연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공시우의 18%(35/194)는 분만 후 60일이 경과되어도 난소 주기가 재개되지 않았다. 황체기의 연장과 첫 배란의 지연이 분만 후 난소 주기 재개를 지연시키는 대표적인 난소 이상이다. PUN의 농도가 <15, $15{\sim}19.9$${\ge}20mg/dl$인 소들의 정상적 난소 주기 재개의 likelihood ratios는 각각 0.9, 1.74와 0.55이었다. $15{\sim}19.9mg/dl$의 PUN 농도가 난소 주기의 재개에 가장 좋았고, 높거나 낮은 PUN 농도는 난소 주기의 재개에 나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젖소의 분만 후 비정상적 난소 주기가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bnormal Ovarian Cycle Postpartum on Subsequent Reproductive Performance in Holstein Cows)

  • 박수봉;손준규;박성재;백광수;전병순;안병석;김현섭;박춘근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0권3호
    • /
    • pp.213-218
    • /
    • 2006
  • 본 연구는 젖소의 분만 후 난소 주기 재개의 이상이 번식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가 진행이 되면 배란된 날에 난소 주기가 재개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공시우의 58.8%(l14/194)가 정상적인 난소 주기의 재개를 하였고 41.2%의 소에서 난소 주기의 재개가 지연되었다. 배란 후 황체기가 20일 이상 유지되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형(17.5%)과 분만 후 40일 이전에 첫 배란이 나타나지 않는 난소 주기의 재개지연 II형(22.7%)이 난소 주기 재개 지연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정상적인 난소 주기를 가진 개체와 비교해 보면, 황체기가 연장된 소들의 분만 후 100일 이내의 인공수정 공시율, 수태율과 임신율은 더 낮고(각각 84.2 대 40.0%; p<0.01, 24.0 대 21.4%, 20.2 대 11.1%) 분만 후 첫 수정 일수와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7{\pm}2.79$$105.7{\pm}7.48$일; p<0.01, $105.1{\pm}7.16$$133.7{\pm}11.17$일). 정상우와 무배란우를 비교해 보면, 100일 이내의 수태율과 임신율이 낮고(각각 24.0대 20.0%, 20.2 대 16.3%) 분만 후 첫 수정 일수과 공태 일수가 더 길다(각각 $64.6{\pm}2.79$$72.6{\pm}4.45$일, $105.1{\pm}7.16$$120.8{\pm}12.33$일). 결론적으로 젖소의 분만 후 비정상적인 난소 주기는 인공수정 공시율, 임신율, 첫 수정 일수와 공태 기간을 포함하는 번식 성적의 저하를 유발시킨다.

젖소 초유 중 Insulin-like Growth Factor-I 분획이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 황경아;양희진;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33차 춘계 학술대회
    • /
    • pp.314-317
    • /
    • 2004
  • IGF-I rich fraction 분리는 분만 후 24시간이내에 착유한 젖소 초유를 30kDa과 1kDa Ultrafiltra-tion(UF) membrane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분리한 IGF-I rich fraction은 sandwich ELISA로 정량한 결과 1mg/ml 각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IGF-I rich fraction $1mg/m{\el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A-427ce11은 33%, SK-HEP-1 cell은 약 2%, A498 cell은 약 22%의 암세포 성장저해 효과를 보였고 HeLa는 약 5% 이하의 세포 증식 저해율과 WiDr cell은 약 30%의 세포성장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유일하게 위암 세포주인 SNU 16에 대해서는 $1mg/m{\ell}$$100{\mu}g/m{\ell}$$10{\sim}1{\mu}g/m{\ell}$의 농도에서 약 15%와 10% 및 약 5% 이하의 세포 증식율을 나타내었다.

  • PDF

Holstein 젖소 초유의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Compositions of Holstein Colostrum during Lactation Period)

  • 이수원;양동훈;황보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8-366
    • /
    • 2001
  • 초유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고, 그 품질을 보존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분만 후 12시간 간격으로 착유한 초유를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초유의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초유의 단백질, 지방, SNF, 그리고 총 고형분은 분만 후 12시간부터 48시간까지 급속도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유당은 분만 12시간 후의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회분 함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분만 후 12시간 및 24시간의 IgG함량은 그 이후에 착유한 것보다 높았으며(p<0.05), 12시간 후의 IgG 함량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초유 중의 지방산 조성은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lauric acid, myristic acid, 그리고 총 포화 지방산 함량은 경산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미경산우의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id, 그리고 palmitoleic acid는 경우산의 초유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 PDF

혹서기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대책

  • 류일선
    • 월간낙농육우
    • /
    • 제29권8호
    • /
    • pp.130-133
    • /
    • 2009
  • 소에 있어서 특히 젖소는 하절기의 고온다습은 체력의 저하로 인한 유량이나 유질 등의 우유생산성 저하, 분만후 생식기의 회복이 지연되어 자궁내막염이 많이 발생됨에 따라 번식율이 저하되는 등 나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질병발생이 많아지게 한다. 또한 하절기는 각종 위생해충이 질병매개체로 작용하여 각종 질병 즉 유행열, 이바라기병, 아까바네병 등을 다발케 하는 원인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바랍직하다.

  • PDF

질병관리 - 혹서기 소의 주요 질병과 예방대책

  • 류일선
    • 월간낙농육우
    • /
    • 제29권9호
    • /
    • pp.112-116
    • /
    • 2009
  • 소에 있어서 특히 젖소는 하절기의 고온다습은 체력의 저하로 인한 유량이나 유질 등의 우유생산성 저하, 분만후 생식기의 회복이 지연되어 자궁내막염이 많이 발생됨에 따라 번식율이 저하되는 등 나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질병발생이 많아지게 한다. 또한 하절기는 각종 위생해충이 질병매개체로 작용하여 각종 질병 즉 유행열, 이바라기병, 아까바네병 등을 다발케 하는 원인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철저한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분만후 젖소에 있어서 $PGF_2a+PGF_2a+CIDR$ Program 적용에 의한 발정유기시 BCS의 영향 (Effect of $PGF_2a+PGF_2a+CIDR$ Program on Estrous Response in Holstein with Varying BCS in Early Postpartum)

  • 백광수;박성재;박수봉;김현섭;이현준;이왕식;전병순;안병석;김재기;정경용;손준규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79-287
    • /
    • 2005
  • 본 연구는 젖소에 있어서 분만후 난소 활동의 재개 및 분만후 40일째 BCS가 $PGE_2a+PGE_2a+CIDR$ (PPC) program 적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2003년까지 2년간에 걸쳐 축산연구소 및 천안 소재 전문 경영체 젖소농 장에서 사육중인 홀스타인 착유우를 대상으로 분만 후 난소 활동의 재개를 조사하기 위한 착유우21두 및 분만후 40일째 BCS가 PPC program 적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착유우 40두를 공시하여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분만후 처음으로 유즙중의 progesterone농도가 1.0ng/mL 이상을 나타내는 비율은 10${\~}$30일이 $42.9\%$, 31${\~}$50일이 $19.1\%$였고 분만 후 50일까지 1.0ng/mL 이상을 나타내지 않은 경우가 $38.1\%$였다. 2. 분만후 40일째부터 PPC program을 투입한 결과 1차 및 2차 $PGF_2a$ 처리에 대한 발정반응은 각각 $47.5\%$$52.4\%$였고, $PGF_2a+PGF_2a$ (PP) program투입에 의해 40두중 30두($75\%$)가 발정 반응을 나타내었다. PP program 투입에 의해 발정 반응을 나타내지 않은 10두에 대한 CIDR 처리의 발정 반응은 $50\%$를 나타내었다. 분만후 40일째에 PPC program 을 적용한 결과 40두중 35두가 발정 반응 ($87.5\%$)을 나타내었다. 3. 1차 및 2차 $PGF_2a$ 처리에 따른 발정 반응은 BCS 2.50 이하의 경우 13두중 8두($61.5\%$), BCS 2.75${\~}$3.50의 경우 27두중 22두($81.5\%$)로 2.75${\~}$3.50의 경우가 2.50 이하의 경우에 비하여 높은 발정반응을 나타내었다. 4. 2차 $PGF_2a$ 처리후 발정 반응을 나타내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CIDR을 처리한 결과, BCS 2.50이하의 경우 5두중 2두에서 발정 반응($40.0\%$)을 나타내었고 BCS 2.75${\~}$3.50의 경우 5 두중 4두에서 발정 반응($80\%$)을 나타내었다. 5. 분만후 40일째부터 PPC program을 적용하여 발정 반응을 검토한 결과 BCS 2.50 이하의 경우 13두중 10두가 발정 반응($76.9\%$)을 나타내었고 BCS 2.75${\~}$3.5의 경우 27두중 26두가 발정 반응($96.3\%$)을 나타내어 2.75${\~}$3.5의 경우가 2.50 이하의 경우에 비하여 높은 발정반응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