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만젖소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9초

젖소에서 분만전$\cdot$후에 다발하는 주요질병의 치료와 예방관리

  • 류일선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37권7호
    • /
    • pp.636-644
    • /
    • 2001
  • 최근 우리나라의 젖소농가도 다두사육화, 후리스톨 우사에서 사육하는 농가가 늘고 있고, 열악한 우사와 좁은 운동장에서의 사육조건, 농후사료의 과다급여 등에 의한 분만 전$\cdot$후에 질병발생으로 인한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금년부터 개시되어진 생우의 완전시장개방에 따른 우리 축산농가도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지 않으면 아니되며, 이에 일선의 대동물임상에 종사하고 있는 우리 수의사들도 무한 경쟁사회에 도래한 작금의 상황에 발맞추어 새로운 정보를 입수하여 자기개발을 위한 노력과 연구를 경주하여 나가지 않으면 아니된다 하겠다. 필자 역시 젖소와 한우 번식에 관련된 연구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젖소농가들을 방문하여 조사하면서 느끼던 바가 젖소에서 분만 전$\cdot$후의 주요질병발생으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를 많이 받고 있다는 낙농가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를 청취하였던 기회가 있어 이에 다시금 젖소의 분만 전$\cdot$후의 생리와 그 발생가능성이 높은 질병 특히 대사성 질병을 중심으로 피력하여 보면서 임상수의사분들께 조그마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젖소에서 쌍태분만이 산후질병 발생, 도태 및 번식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쌍태 위험 요인 (Effects of Twin Birth on the Occurrence of Postpartum Disorders, Culling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and its Risk Factors in Dairy Cows)

  • 김일화;강현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9-343
    • /
    • 2011
  • 젖소에서 쌍태분만이 이후의 산후질병 발생, 도태, 번식능력에 대한 영향과 쌍태분만에 대한 위험요인을 조사하였다. 9개 목장 1,717 분만축의 번식, 위생 및 분만관련 상세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쌍태 분만율은 3.4%였으며, 임신기간은 쌍태분만 시에 단태분만 시에 비해 9일 단축되었다($270.6{\pm}2.0$ vs. $279.5{\pm}0.2$일, P < 0.01). 쌍태분만 시가 후산정체(47.5 vs. 16.0%), 대사성질병(18.6 vs. 3.8%) 및 자궁내막염의 발생(62.7 vs. 28.2%)뿐만 아니라 도태율(32.2 vs. 16.5%)이 단태분만 시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었다(P < 0.01). 쌍태분만은 분만으로부터 임신까지의 간격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분만계절이 영향을 미쳤는데, 즉 봄에 분만 시가 겨울에 분만 시에 비해 임신율이 감소되었으며(AHR = 0.80; P = 0.01), 또한 자궁내막염의 발생이 임신율의 감소를 초래하였다(AHR = 0.46, P < 0.01). 로지스틱 분석은 산차의 증가(P < 0.01)와 수태 전 번식호르몬의 사용(OR = 1.84, P < 0.05)이 쌍태분만의 위험요인임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젖소에서 쌍태분만은 산후질병 발생과 도태의 증가에 의한 심한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므로, 쌍태분만에 대한 적절한 관리 및 고산차 소 및 번식호르몬 사용에 대한 적절한 통제를 통한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젖소에서 epinephrine 및 insulin에 의한 대사 조절 (Roles of Epinephrine and Insulin in the Regulation of Metabolism in Dairy Cow)

  • 김진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15-20
    • /
    • 2009
  • 젖소의 분만 전후기는 일반적으로 전환기라고 칭하며 분만후 유생산을 준비하기 위해 동물체내 대사 및 생리적 상태가 급격히 변화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젖소는 이 시기에 간조직에서 당신합성을 통해 유당합성을 위한 glucose의 생산을 촉진하고, 지방조직에서는 분만 전부터 지질을 축적하고 비유개시에 맞추어 혈중 NEFA (nonesterified fatty acid)의 농도를 증가시켜 유지방 합성을 준비 한다. 이러한 대사조절에 epinephrine 및 insulin이 조절 호르몬으로 작용하여 유생산을 위한 탄수화물 및 지질대사를 변화시키고 사료 섭취량의 부족에 기인한 전체 에너지의 감소를 체내 영양소의 재분배로 충족시킨다.

분만전후기 젖소에서 insulin resistance의 대사적 작용 (Effect of Insulin Resistance on the Metabolism of Periparturient Dairy Cattle)

  • 김진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5호
    • /
    • pp.65-74
    • /
    • 2010
  • 젖소는 분만전후기에 당 및 지방대사를 조절하여 태아와 유선에서 요구하는 영양소를 충족하고자 한다. 이러한 대사적 적응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호르몬으로 insulin을 꼽을 수 있으며, 특히 지방조직에 작용하여 동물체내 필요한 에너지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방산의 재배치를 촉진하고 분만전 말기에 insulin resistance를 야기시킨다. 분만전에 혈중 유리 지방산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insulin resistance가 발생하며 이것은 사료섭취량의 감소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Insulin resistance을 완화시키는 물질로 $PPAR{\gamma}$ agoinst인 thiazolidinedione (TZD)는 분만전후기에 발생하는 대사성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여 젖소의 건강 및 유생산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전환기 사양관리 - 영양적 관점(상)

  • 이도형
    • 월간낙농육우
    • /
    • 제23권3호통권251호
    • /
    • pp.180-183
    • /
    • 2003
  • 전화기 사양관리시 전환기를 일컫는 기간은 여러 연구자들에 따라 약간의 기간적 차이가 있지만 여기서는 건유기간 $60\~70$일 중 건유후기(분만 전 3주)와 분만 및 분만직후 기간(분만 후 3주간)을 포함한다. 전화기 사양관리는 다음 산차의 유생산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젖소의 건강과 번식성적 개선 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 PDF

한우 체외수정란이식 젖소 수란우의 임신기간

  • 손동수;최선호;박성재;한만희;류일선;서국현;허태영;강석진;유충현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3-263
    • /
    • 2004
  • 젖소 사육농가에서 경영비 절감 및 잉여원유 해소방안으로 젖소 수란우에 한우 수정란이식을 희망하고 있고,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한우 수정란이식사업을 실시하는 기관이 증가하여 전국적으로 많은 한우 수정란이 젖소에 이식되고 있다. 한우 체내수정란을 앵거스, 샤로레, 헤어포드 및 한우 수란우에 이식하였을 때 임신기간은 285.9∼290.9일이었고, 생시체중은 22.8∼25.1 ㎏이었으나 수란우 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고 손 등(1997)은 연구보고 하였으나 젖소에 한우 체외수정란이식으로 임신된 수란우의 임신기간 및 분만 송아지의 생시체중에 대한 연고보고가 없으므로 수정란이식 농가에서 송아지 분만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므로 송아지 생산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분만후 젖소의 비유능력 및 BCS에 따른 $PGF_2a + PGF_2a+CIDR$ plus program 투입 효과에 관한 연구

  • 백광수;우제석;전병순;박수봉;김현섭;이현준;홍의철;안병석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120-120
    • /
    • 2003
  • 고능력 젖소와 보통능력 젖소의 번식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progesterone을 분석하여 분만후 초발정일을 추정하였고, 번식자료를 통하여 분만 후 번식성적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비유능력 및 Body condition score(BCS) 에 따른 $PGF_2a + PGF_2a+CIDR$ program 투입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분만 후 40일째에 $PGF_2a$를 1차 처리한 후 발정이 발현되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1 차 처리후 14일째에 다시 2차 $PGF_2a$를 처리하였고 2차 $PGF_2a$ 처리후에도 발정이 발현되지 않은 개체에 대하여 2차 $PGF_2a$ 처리후 5일째에 CIDR plus를 처리하여 발정유기율을 조사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후 progesterone peak를 나타내는 일수는 각각 $38.8 \pm 11.1$$39.6 \pm 9.7$일로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음 나.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각각 $99.4 \pm 71.6$$117 7 \pm 78.6$일로 고능력우에서 18.3일 늦어지는 경향이었음 다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후 수태일수에 있어서 각각 $145.9 \pm 102.8$$165.9 \pm 100.8$일로 고능력우에서 20일 늦어지는 경향이었음 라.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의 분만간격에 있어서 각각 421.5 \pm 107.2$$448.4 \pm 108.7$일로 고능력우에서 26.9일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음 마 보통능력우와 고능력우에 있어서 1차 $PGF_2a$ 처리시 각각 39.1% 및 60.0%, 2차 $PGF_2a$ 처리시 각각 42.9% 및 70.0%, CIDR plus 처리시 50.0% 및 66.7%의 발정 유기율을 나타내었음 바. BCS에 따라 $PGF_2a + PGF_2a+CIDR$ plus program을 투입한 결과 BCS 2.5 이하와 BCS 2.75-3.50에 있어서 1차 $PGF_2a$ 처리시 각각 47.4% 및 48.3%, 2차 $PGF_2a$ 처리시 각각 40.0% 및 66.7%, CIDR plus 처리시 각 각 50.0% 및 80.0%의 발정 유기율을 나타내었음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