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만부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4초

PMSG와 hCG 병용 투여에 의한 Shih-tzu 견에서의 인공 발정 유기 (Effect of Estrus Induction in Shih-tzu Bitches by Administration of PMSG and HCG)

  • 김방실;손창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9-45
    • /
    • 2007
  • 무발정기에 속한 Shih-tzu 견 9두를 대상으로 하여 PMSG(50IU/kg)를 10일 동안 매일 근육주사 후 마지막 10일째에 hCG(1,000IU/head)를 정맥 주사하여 인공적으로 발정을 유기 하였다. 실험견 9두 중 9두(100%)에서 발정 출혈, 회음부 반사, 외음부 종대 및 수컷 허용 등의 임상적인 발정 증상이 관찰되었으며 그중 5두(55.6%)가 임신하였고 4두는 임신되지 않았다(44.4%). 임신견 5두 중 3두(33.3%)가 자연분만하였는데 분만시 산자수는 $1.66{\pm}1.15$$(1{\sim}3)$이었고, 나머지 2두(40.2%) 는 PMSG 첫 투여후 38일과 41일에 조기태아사 하였다. 따라서 Shih-tzu 견에서 PMSG와 hCG 병용 투여에 의한 인공 발정 유기 효과는 발정 발현율 100%, 임신률 55.6%, 분만율이 33.3%이었다.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 실태 조사 (Survey on the Effect of the Herd Size on Reproductive Traits of Korean Native Cows)

  • 백광수;고응규;성환후;이명식;최순호;김영근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7-373
    • /
    • 1998
  • 본 조사 연구는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번식우의 초종부, 초임 및 초산일령과 분만 후 발정재귀일수, 수태당 종부회수, 분만 후 수태일수, 분만간격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1996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20농가에서 사육중인 한우 성빈우 670두를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1.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초종부일령은 평균 443.0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437.9일, 425.5일 및 452.9일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2.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초임일령은 평균 460.0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452.8일, 438.4일 및 467.1일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3.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미경산우의 초산일령은 평균 746.6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741.2일, 730.2일 및 755.9일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p>0.05). 4. 사육규모에 따른 분만후 발정재귀일수는 평균 70.1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l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82.1일, 74.1일 및 64.8일로 3규모가 가장 짧았고 1규모가 가장 긴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5. 사육규모에 따른 수태당 종부회수는 평균 1.53회였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1.54회, 1.61회 및 1.48회로 사육규모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05). 6. 사육규모에 따른 분만 후 수태일수는 평균 91.2일이었고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115.6일, 99.1일 및 80.6일로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5). 7. 사육규모에 따른 분만간격은 평균 375.3일이었으며, 사육규모별로는 1규모, 2규모 및 3규모가 각각 389.5일, 383.0일 및 367.4일로 3규모가 가장 짧았고 1규모가 가장 긴 경향을 나타내었다 (p<0.05).

  • PDF

서울지역 수유부의 모유의 수유기간별 칼슘, 인, 마그네슘 함량에 관한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Calcium, Phosphorus and Magnesium Contents of Breast Milk from Lactating Women in Seoul Area)

  • 설민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2호
    • /
    • pp.115-123
    • /
    • 1990
  • 한국인 수유부의 분만 후 0.5개월부터 1,2,3,4,5개월째의 6단계로 나누어 16명의 동일인을 대상으로 모유의 무기질 함량을 초산부와 경산부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 모유 100ml중 회분함량은 초산부 0.22g, 경산부 0.22g이며, 칼슘 함량은 초산부 27.36mg,경산부 27.11mg, 인 함량은 초산부 14.94mg 경산부가 14.25mg, 마그네슘 함량은 초산부2.92mg, 경산부 2.54mg이었으며 회분, 칼슘, 인, 마그네슘 함량 모두 초산부와 경산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수유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칼슘, 인, 마그네슘 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반면에 마그네슘 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모유의 Ca/P의 비율은 초산부 1.86:1, 경산부가 1.92:1, t식이의 Ca/P의 비율은 0.50:1이었다. 수유부의 섭취식이와 모유의 Ca, P과의 상관성은 없었다.

  • PDF

초산부의 신체상, 자기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t Influence of Body Image, Self Efficacy on Parenting Stress of Primipara Women)

  • 김보미;김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93-500
    • /
    • 2017
  • 본 연구는 초산부의 신체상,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초산부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U시 소재의 2개 산부인과 전문병원에서 분만 한 초산부 134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상, 자기효능감, 양육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초산부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는 퇴원 후 지지자, 신체상, 가족의지지로 전체 설명력은 29.5%이었다. 따라서 초산부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을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양육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더 나아가 초산부가 지각하는 폭넓은 범위의 양육스트레스 원인 탐색 후 초산부를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Landrace와 Yorkshire 돼지에서 혈장의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과 IGF-II 농도와 산자수 및 비유성적과의 관계 (Relationships of Plasma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 and IGF-II Concentrations to Litter Size)

  • 이철영;백규흠;이동희;박화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33-40
    • /
    • 2003
  • 본 연구는 혈장의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I과 IGF-II 농도와 산자수 및 비유성적과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착수되었다. 분만주가 비슷한 미경산 및 경산 임신돈 중에서 선발한 총 60두의 순종 Landrace와 Yorkshire 공시돈을 저산자수 (low; <${\mu}$­0.5 SD)와 고산자수 (high; >${\mu}$ + 0.5 SD)-lines로 구분하여 2 (품종) ${\times}$ 2 (line) 요인분석 실험설계 하에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공시돈은 분만시 모돈당 포유자돈수를 9두로 고정시키고, 3주령 이유시 비유량의 척도로서 총 이유자돈 체중을 측정하였다. 혈액 시료는 임신 90일과 분만 후 15일에 경정맥으로부터 채취하였다. 본 실험기간 중 산자수 및 본 실험기간까지의 평균 산자수는 high-line이 low-line보다 각각 3.7두와 2.4두 많았고 (P< 0.01), 두 품종간 산자수 차이는 없었다. 임신 90일 혈장의 IGF-II 농도는 low-line보다 high-line에서 높았다. 산자수는 임신 90일 IGF-I 농도와 Landrace에서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r=-0.46; P<0.05), Yorkshire에서는 부의 상관관계 경향을 나타내어 (r=-0.31; P=0.09) 전체 공시돈에서는 이들 두 변수간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r=-0.35; P< 0.01). 이유시 모돈당 총 이유자돈 체중은 두 품종간 혹은 두 lines간 차이가 없었다. 이유자돈 체중과 IGF 농도와의 관계는 품종 ${\times}$ 생리적인 생태 조합들간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임신 90일 IGF 농도가 임박한 분만시 산자수의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유전체 수준 대사 경로 그래프 레이아웃을 위한 슈퍼노드화 방안에 관한 연구 (Graph abstraction for Genome scale graph layout of metabolic pathways)

  • 송은하;김민경;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A)
    • /
    • pp.58-60
    • /
    • 2006
  • 대사 경로를 자동으로 레이아웃 해주는 시스템에 있어 노드 수가 일정수 이상으로 증가할수록 에지 크로싱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전체 수준에서 대사 경로간의 관계(Cross-talk) 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레이아웃 상에 나타나는 에지 크로싱을 줄이고 이를 압축하여 표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개개의 대사경로에 대한 레이아웃 분만 아니라 대사 경로간의 관계 등 다양한 단계와 방식의 레이아웃이 가능한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레이아웃 상에 나타나는 에지 크로싱에 의한 가독성 저해를 피하기 위하여 대상 경로 상에 존재하는 연결성 높은 부그래프를 찾는 모듈을 개발하였다. 또한 각각의 부그래프를 슈퍼노드로 치환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대사 경로를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 혹은 역방향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대사 경로 상에 존재하는 연결성 높은 부그래프들은 그래프밀도값 Q가 0.8로 나타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 비하여 희소한(sparse) 네트워크 구조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초음파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모돈 지제이상 정량분석 방법 연구 (A Study about Measurement Method for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Breeding Pig's Locomotor Behaviors using Ultrasonic Sensor Array)

  • 조진호;오종우;이동훈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163-163
    • /
    • 2017
  • 모돈은 교배, 임신, 분만, 포유, 이유를 순환적 반복을 요구하는 개체로서 스마트 농장 시스템의 생산성 향상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돈 능력의 극대화 및 최적의 시스템 관리를 위해서 초음파 센서를 활용한 모돈의 지제 이상 징후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높이에 따라 상-중-하(30 cm 간격), 위치에 따라 전면부-후면부에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고 이를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연결하여 모돈의 지제 이상 유무 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모돈의 체형과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된 초음파 센서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소형 LCD 모듈을 내장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는 저장장치인 microSD 카드에 저장되도록 하였다. 모돈사의 환경을 고려하여 방밀형 구조로 하우징 마감하였다. 이 모돈 지체 이상 분석 시스템에 사용된 툴은 C언어를 이용하였다. 건강한 모돈을 대상으로 모돈의 지제의 관찰을 위하여 총 12회의 현장 실증실험이 수행되었으며, 현장 실증 시험 중 소요된 시간은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소 상이하였다 (8시간-28일). 높이 상에 위치한 전면부 및 후면부 초음파 센서 모두에서 모돈이 검출이 된 경우 정상 기립으로 간주하였고, 높이 상에 위치한 전면-후면부 초음파 센서 모두에서 모돈이 검출이 되지 않은 경우 정상적으로 누워 있는 걸로 간주하였다. 높이 하에 위치한 전면부 혹은 후면부 초음파 센서 한곳만 모돈이 검출된 경우 비정상적인 기립으로 간주하였다.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모돈의 정상적 상태 (기립상태, 누운 상태, 앉은 상태)와 그 외의 비정상적 상태로 분류가 가능하다. 또한 측정된 초음파 센서의 진동의 유무 및 파동형태에 따라서 모돈의 상태 예측이 가능하다. 초음파 센서의 진동 파동이 크고 안정된 상태인 경우 정상적인 활동 상태로 판단하였으며, 진동 파동이 작고 안정적인 경우는 수면 상태로 분류하였다.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데이터 획득을 위하여 차후 초음파 센서 및 시스템의 보완작업이 필요하다. 이와같은 모돈의 행동 패턴에 따른 취득된 데이터를 분류하여 모돈의 발정에 의한 행동 특성(기립시간) 분석에 따른 발정 적기 발견 및 정량화 기술 개발에 활용이 가능하다.

  • PDF

초산모의 산전교육이 분만경험 지각, 어머니 역할 수행에 대한 자신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enatal Education on Primiparas'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 오현이;심정신;김진선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68-277
    • /
    • 2002
  •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enatal education on primiparas' self-confidence,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91 primiparas from August 1 to 30, 2001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selected from 2 OB & GY hospitals which operate the same prenatal education programs in M city. One group of subjects was primiparas who did receive prenatal education (n= 44) and another group of subjects was primiparas who did not receive prenatal education (n= 47).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primiparas in education group would have higher self- confidence,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than those of non-education group.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and correlation were used for data analy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imiparas in prenatal education group would not have better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than those of non-education group (t=1.405, p = 0.163). 2. Primiparas in prenatal education group would have higher self-confidence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han those of non-education group (t=7.669, p=0.000). 3. Primiparas in prenatal education group would have higher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than those of non- education group (t=4.115, p = 0.000). 4.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r=0.489, p=0.000). Moreover,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confidence and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r = 0.284, p = 0.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enatal education needs to be developed and applied to nursing practice to increase self-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maternal role performance. Experimental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prenatal education.

  • PDF

MLCC 출력 콘덴서를 이용한 LED 구동드라이브 설계 (Design of LED Drive using MLCC Output Capacitor)

  • 한만승;이상훈;조수억;박성준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448-456
    • /
    • 2011
  • 최근 디지털 광원으로서 각광받고 있는 고출력 LED(Light Emitting Diode)는 저소비전력과 장수명 그리고 점 소등 속도도 빨라서 고출력 LED의 효율을 향상시켜 일반 조명용으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 변동분만을 출력 콘덴서에 저장함으로서 출력 측에 사용하던 전해 콘덴서를 전압용량이 작고 수명이 긴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 사용이 가능한 LED 구동 드라이브를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LED 구동 드라이브는 기존의 부스트 DC/DC 컨버터의 기본 토폴로지에서 출력 콘덴서를 입력 전원과 직렬로 연결하여 LED 광원의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 변동분만을 출력 콘덴서에 저장함으로서 출력 콘덴서로 기존수명이 낮은 전해 콘덴서 대신 전력 손실이 적고 수명이 긴 MLCC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수유 기간에 따른 모유의 성분 함량 변화와 수유부의 섭식 태도 및 영아의 성장 발육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I. 모유의 질소 함량에 관한 연구 (Ecological Study of the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Human Milk During the Breast Feeding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etary Behavior of Lactating Women and the Growth of Breastfed Infants - I. A Study on the Nitrogen Content in Human Milk -)

  • 송세화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3호
    • /
    • pp.179-186
    • /
    • 1990
  • 모유에 함유된 총질소 함량과 각 질소원들의 농도를 분만후 2~3일, 1주, 2주에서 12주 까지 채취한 초유, 이행유 및 성숙유에서 측정하고, 수유기간에 따른 이들의 함량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모유의 총질소 함량과 각 질소원들의 농도는 분만 후 수유 초기에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수유가 진되?체? 성숙유에서도 완만한 감소 경향이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특히 수유 초기 유즙에서는 Whey 단백질소 농도의 감소가 총질소 함량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총질소 함량에 대한 비단백질소의 백분율은 초유와 이행유에서는 13%로 낮았으나, 6주 이후의 성숙유에서는 17~18%수준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단백질소 중 초유의 whey 단백질소와 casein질소의 비율이 55:45에서 12주의 성숙유에서는 34:66으로 수유가 진행되면서, 점차 그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유 기간이 따른 이러한 질소원 사이의 상대적인 감소를 유발하는 요소는 무엇이며, 영아 영양과 관련하여 어떤 생리학적 의미가 부여될 수 있는가에 대해 보다 더 깊이 있는 연구가 앞으로 계속 수행되어야 할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