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리면

Search Result 834,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Comparative Study on the Maximum Principal Strain Due to Detonation Pattern at the Rock Surface (암반 절취면에서 기폭 패턴에 따른 최대주변형률의 비교)

  • Song, Jeong-Un;Park, Hoon;Kim, Seung-Kon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35 no.4
    • /
    • pp.10-18
    • /
    • 2017
  • In this study, Rock deformation at the artificially advanced face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finite element code relating to the split blasting conducted in urban area. The maximum principal strain according to the detonation pattern and the detonation delay time at the rock surface was compared with the modeled blast se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aximum principal strain was observed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tonation pattern at the rock surface, and the detonation delay time was an important parameter in split blasting.

Robust text segmentation algorithm for automatic text extraction (자막 자동 추출을 위한 강건한 자막 분리 알고리즘)

  • Jeong, Je-Hui;Jeong, Jong-M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444-44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에서 자막을 자동 추출하기 위한 강건한 자막 분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주어진 비디오에서 자막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프레임에 대해 자막 후보 영역의 위치를 찾은 다음, 자막 후보 영역으로부터 강건하게 자막을 추출한다. 추출된 자막 후보 영역에 대해 Dampoint labeling을 수행하여 자막과 비슷한 색상을 갖는 배경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기하학적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자막 여부를 판별한다. 제안된 방법을 여러 장르의 비디오에 대해 적용 결과 복잡한 배경을 갖는 비디오에서 자막을 강건하게 추출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Isolation of Latic Acid Bacteria for Chestnut Yogurt (밤 요구르트 제조를 위한 유산균의 선정)

  • 진효상;김종범;이경자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4 no.3
    • /
    • pp.211-216
    • /
    • 2001
  • 성인 남녀의 분변과 시판 요구르트로부터 분리한 10주의 균주들을 밤용액에 접종 발효하고 산생성과 생균수 면에서 각각 우수한 Lactobacilus sp. PAP1 과 MGG2를 분리하였다. 발효액의 저장 중 균수는 발효액의 산도에 의존하였고 산도를 낮추었을 때 생균수는 증가하였다. 이들을 혼합 배양하였을 때 발효제품의 산도와 생균수는 각각의 단독배양액에 비하여 더 컸으며 3주간 저장후 생균수도 100배 이상 컸다. 밤 용액의 발효에서 이들을 상업용 수입 종균제품과 비교하였을 때 24시간 배양엣 생균수가 더 많았다.

  • PDF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boundary points of point group segmented from LIDAR point cloud (LIDAR 포인트 cloud에서 분리된 포인트 군집의 윤곽 포인트 추출에 관한 연구)

  • Han, Soo-Hee;Lee, Jeong-Ho;Yu, Ki-Yun;Kim, Yong-Il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148-1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LIDAR 포인트 자료로부터 분리된 포인트 군집의 윤곽 포인트 추출을 위하여,가상격자를 이용한 검색 영역의 제한을 통한 윤곽 포인트 추출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TIN을 이용한 방식과 비교하였다. 실제 건물 포인트 자료에 대하여 적용한 결과 TIN을 이용한 방식보다 빠른 처리가 가능하며 시각적인 평가를 통해 결과물의 품질 면에서도 두 가지 방식이 거의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ecovery of Gasoline VOC by PSA (PSA를 이용한 가솔린 VOC 회수 공정)

  • 박영권;주국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65-66
    • /
    • 2003
  • 일반적으로 가솔린 VOC의 회수 기술로는 흡착법, 흡수법, 막분리법, 심냉분리법 및 이들의 조합 공정 등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실용화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저유소 가솔린 출하설비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엄격한 배출 기준을 충족하면서 운전비용과 장치비용면에서 흡착법이 가장 경제적인 공정으로 선정되었다. 저유소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량은 시간대별 가솔린출하량, 출하설비 수(loading bay), 일일 최대 가솔린 부하량에 따라서 달라진다. 가솔린 배출 시간은 출하 일정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동되며 산발적인 특징이 있다. (중략)

  • PDF

Detent Force Analysis of Planar Motor Using 3-D FEM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한 서피스 모터의 디텐트력 해석)

  • Im, Chang-Hwan;Cho, Han-Sam;Jung, Hyun-K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11b
    • /
    • pp.244-246
    • /
    • 2000
  • x,y평면 위를 자유롭게 구동할 수 있는 서피스 모터(평면 모터)의 디텐트력을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이용하여 해석한다. 고정자와 이동자를 분리하여 모델링을 하고 접하는 면을 주기 경계조건으로 처리하여 실제로 이동하지 않고도 이동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고정자와 이동자의 계수 행렬을 분리하여 영역 분할법을 적용하여 계산 시간을 단축하였다.

  • PDF

Improving PET Bottle Image Classification Model Performance via Preprocessing (전처리를 통한 페트병 이미지 분류모델 성능 개선)

  • Dong-hye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473-474
    • /
    • 2023
  • 잘못된 분리수거는 다른 재활용 폐기물의 재활용을 제한한다. 본 논문에서는 올바른 분리수거를 위해 페트병 라벨 유무 분류 모델을 구현했다. 초기 모델의 낮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의 노이즈를 줄이는 편집을 거치고 데이터 증강을 적용하였으며, 모델 개선 작업을 진행하여 과적합을 피하면서 더 나은 성능을 도출했다. 최종 모델은 초기 모델보다 비교적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나, 실제 활용 면에서는 낮은 성능을 나타냈다. 이는 학습 데이터의 질과 데이터양의 부족에서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중공사막의 용융방사

  • 김진호;강민수;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75-76
    • /
    • 1996
  •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용매교환법을 대신하여 내용매성,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매우 뛰어난 고분자를 소재로하여 다공성 고분자막을 만드는 열유도 상분리법(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이 개발되었다. TIPS공정에서는 주로 고분자/희석제 system의 열역학적인 불안정성에 의하여 polymer-rich phase와 polymer-lean phase로 상이 분리되는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과 결정성 고분자의 결정화에 의한 solid-liquid phase separation을 주로 상분리 mechanism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TIPS 이론에 근거한 melt spinning 공정에 의하여 PP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는데 wet spinning 공정에 의한 용매 교환법에 비해 비교적 공정이 단순하고 다공도를 조건하기가 용이하며 구조 및 성능면에서도 높은 재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수한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절절한 용매의 부재로 용매교환법에서 사용할 수 없었던 폴리올레핀계, 나일론계, 방향족출합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소재의 폭이 넓어졌다는데에 가장 큰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P중공사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용융 방사장치를 제작하였고 melt spinning 공정에 의해 막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방사조건들을 확립한 후 결정된 방사조건에 의해 얻어진 PP 중공사막의 구조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 PDF

Design of polarization beam splitter using MacNeille prism for broadband visible and large incident angle (맥닐 프리즘을 이용한 넓은 가시광 영역, 큰 각 입사 편광광속분리 프리즘의 설계)

  • 박범호;이장훈;황보창권;문일춘;강건모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74-175
    • /
    • 2000
  • 1946년 S M MacNeille에 의해 연구된 유전체 다층 박막을 이용한 편광광속분리기는 브르스터 각 편광광속분리기(Brewster angle polarizing beam splitter) 혹은 맥닐 프리즘(MacNeille prism)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도 많은 광학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맥닐 프리즘은 두 개의 프리즘 사이의 빗면에 높은 굴절률( $n_{H}$ )을 갖는 물질과 낮은 굴절률( $n_{L}$ )을 갖는 물질을 λ/4 광학두께로 교번으로 한 고반사 다층박막 구조를 갖는다. 각 층의 경계면에서 브르스터 각으로 입사할 경우 p-편광파는 투과하고 s-편광파는 부분적으로 반사한다. 편광광속분리 정도는 p-편광파와 s-편광파의 투과율( $T_{p}$, $T_{s}$ ) 혹은 반사율( $R_{p}$, $R_{s}$ )의 비로 나타내며 이를 소광비(extinction ratio)라 한다. (중략)(중략)략)

  • PDF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 of Pyrotechnic Separation Devices Using Missile System and Space Craft (우주발사체 및 미사일 시스템에 이용되는 파이로테크닉 분리장치의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Yeung-Jo;Kim, D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4a
    • /
    • pp.208-211
    • /
    • 2007
  • Separation Devices have two functions. These two functions are to bond and to separate two bodies. This paper is about separation devices which use explosives to separate their bodies. Explosive bolt is separated with two bodies when the explosives in the body detonated. The good things of explosive bolt are that it has simple operational system and it is made of few parts. But it has side effects; fragment and pyre-shock. To avoid these side effects gas expansion separation(GES) bolt and pressure cartridge actuation separation(PAS) devices are invented. These use pressure to separate their bodies. The pressure is generated when explosives are burned. But the sizes of PAS devices are bigger than explosive bolts. And GES bolt has a mechanically lower bonding ability than that of explosive bolt. When you design separation devices, it is recommended to know operational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devices, to design best 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