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류학적 검토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무당벌레붙이과(딱정벌레목: 머리대장상과)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y of Endomychidae Leach (Coleoptera: Cucujoidea) in Korea)

  • 정부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39-49
    • /
    • 2014
  • 한국산 무당벌레붙이과(Endomychidae Leach)를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한국산 무당벌레붙이과에는 3아과, 7속, 10종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Endomychus gorhami (Lewis) Eumorphus quadriguttatus pulchripes Gerstaecker, Lycoperdina castaneipennis Gorham, Mycetina ancoriger Gorham 등 4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한다. 또한 Lycoperdina castaneipennis의 숙주버섯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제주도산 넓적송장벌레 (딱정벌레목: 송장벌레과) 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Status of Silpha perforata(Coleoptera: Silphidae) from Jejudo Is., Korea)

  • Cho, Young-Bok;Park, Sei-Woong;Massaki Nishikawa;Kwon, Yong-J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0권1호
    • /
    • pp.63-71
    • /
    • 2004
  • 제주도산 넓적송장벌레의 개체군에 대한 분류학적 위치를 검토하기 위해 한국, 일본 및 중국지역의 105 개체의 성충을 대상으로 수리분석과 수컷 생식기 비교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주도산 송장벌레 개체군은 지역적 특성의 형태적 차이를 보여 주는 넓적송장벌레(Silpha perforata) Gebler 의 종내 변이로 나타났다.

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까치수염속(Lysimachia) Spicatae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Lysimachia sect. Spicatae (Primulace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 김진만;태경환;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1-78
    • /
    • 2007
  • 까치수염속 Spicatae절에 포함되는 3종 14집단 34개체의 형태형질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수리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 절의 각 종에 대한 중요형질 및 변이의 한계를 파악하고 종집단간의 유연관계를 고찰하였다. 정량형질보다는 정성형질인 서식지와 엽선 그리고 잎, 탁엽, 줄기 및 포에 존재하는 털의 유무, 줄기의 가지 여부, 화축과 소화경에 존재하는 털의 종류 및 화서의 형태 등이 종 동정에 유용한 식별형질로 밝혀졌다. 또한, 정성형질의 검토에 의하여 큰까치수염과 까치수염이 진퍼리까치수염에 비해 유연관계가 더 밀접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를 근거로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물부추속 (물부추과)에 대한 분류학적 고찰 (Taxonomic Examination of Isoëtes L. (Isoëtaceae) in South Korea)

  • 정종덕;김창균;김호준;최홍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63-73
    • /
    • 2009
  • 물부추과 ($Iso{\ddot{e}}taceae$)의 물부추속 ($Iso{\ddot{e}}tes$ L.)은 외부형태의 단순함으로 인해 분류학적 혼란이 있어왔다. 국내에는 I. japonica (물부추)와 I. coreana (참물부추)가 보고되어 왔으며, 최근에 I. jejuensis (제주물부추)와 I. hallasanensis (한라물부추)가 신종으로 발표되었다. 그러나 I. japonica의 생육지는 재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이를 제외한 세 종의 생육지만 확인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세 종과 대만 (I. taiwanensis), 일본 (I. japonica와 I. asiatica), 중국 (I. sinensis) 등 주변 지역에 분포하는 물부추속 식물의 형태학적인 특성을 비교 검토하고 국내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 종에 대한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과 포자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괴경 열편의 수, 포자엽의 습성과 기공의 유무, 포막의 발달 상태로 I. taiwanensis와 I. asiatica가 식별되며, 모든 종은 포자의 특성에 따라 종의 식별이 가능하였다. 특히 국내에 보고된 종은 대포자 표면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cristate형의 I. coreana, rugulate형의 I. jejuensis와 echinate형의 I. hallasanensis로 각각 구분되었으며, I. japonica는 reticulate형을 가진 종으로 판명되었다. 그리고, 각 종을 대상으로 핵 유전자인 LEAFY $2^{nd}$ intron의 염기서열과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AFLP) 분석 결과를 검토하여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에 대한 계통을 논의하였다.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우리나라 물부추속 식물을 보전하기 위하여는 새로운 생육지에 대한 발굴조사와 함께 유전적 부동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보전 대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개나리족 및 근연분류군(물푸레나무과)의 잎 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he systematic consideration of leaf epidermal microstructure in the tribe Forsythieae and its related genera (Oleaceae))

  • 송준호;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8-127
    • /
    • 2013
  • 개나리족(Abeliophyllum: 1종, Forsythia: 12분류군-10종, 2변종)과 향선나무족(Fontanesia: 2 종) 및 근연 분류군인 Myxopyreae족(Myxopyrum: 5분류군-4종, 1아종)을 포함한 총 20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구조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자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대부분의 분류군에서 배축면(abaxial side)에만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이었으나 일부 분류군에서는 잎의 양면에 모두 존재하는 양면기공엽(amphistomatic type)으로 나타났다. 공변세포의 크기는 17.14-47.58 ${\times}$ 11.59-44.25 ${\mu}m$으로 속과 종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Forsythia giraldiana (17.48-22.96 ${\times}$ 11.64-12.88 ${\mu}m$)가 가장 작은 공변세포를 지니고 있었고, Myxopyrum pierrei (31.50-41.75 ${\times}$ 32.53-44.25 ${\mu}m$)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형태는 대부분 불규칙형(anomocytic)이 우세하며, 불규칙형과 불균등형(anisocytic)이모두 나타나거나 드물게 평행형(paracytic)이 나타나는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부세포의 수층벽(anticlinal wall)은 직선형과 곡선형이 동시에 관찰(straight/curved) 되거나 파상형(undulate) 또는 굴곡형(sinuate)이 나타나며, 파상형과 굴곡형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undulate/sinuate)로 구분되었다. 연구된 분류군에서 나타나는 모용의 종류는 모두 3종류로 단세포 비선모(simple un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 다세포 비선모(simple multicellular nonglandular trichome), 방패형 선모(subsessile/peltate glandular trichome)가 나타났다. 끝으로 조사된 분류군내의 속간, 종간 동정을 위한 잎 표피 미세구조학적 형질의 유용성 및 분류학적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한국산 곰보개미반날개 아족(딱정벌레목, 반날개과)의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Subtribe Astenina(Coleoptera, Staphylinidae) from Korea)

  • Cho, Young-Bok
    • 환경생물
    • /
    • 제18권1호
    • /
    • pp.121-124
    • /
    • 2000
  • 한국산 곰보개미반날개 아족의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2속 5종이 동정되었고 이들 중, 4종 [Nazeris opatatus (Sharp), Astenus brevipes (Sharp), A. porosus (Sharp), and A. suffusus (Sharp)]이 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 PDF

울릉도산 홍조 산호말과 식물 4종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Accounts on Four Species of Corallinaceae from Ullungdo Island, Korea)

  • 이인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4호
    • /
    • pp.453-458
    • /
    • 1994
  • 울릉도산 홍조 산호말과 식물 4종, Amphiroa beauvoisii Lamouroux, Jania yenoshimensis (Yendo) Silva 및 Corallina officinalis Linnaeus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S. maxima (Yendo) Silva는 본 연구를 통하여 처음으로 보고되는 한국산 미기록 식물이다. J. yenoshimensis (Yendo) Yendo는 형태적 특징이 기준표본의 기재와 잘 일치하였고, 외형적 특성에서 J. arborescens와 다소 유사하지만 식물체의 크기와 분지양상에서 뚜렷이 구분되었다. C. officinalis는 다수의 수세포층을 갖는다는 점을 제외하고 유럽산 식물과 형태적 특징이 일치하였다.

  • PDF

한국산 Thyas속 (나비목: 태극나방과)의 분류학적 정리와 T. coronata의 첫 분류기재문 보고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Thyas Hübner (Lepidoptera: Noctuoidea: Erebidae) from Korea, Including the First Description of T. coronata)

  • 한희;울지자르갈 바이야르사이칸;김소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5-11
    • /
    • 2024
  •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Thyas속을 검토하였다. 이 중, T. coronata (Fabricius, 1775)는 성충 및 생식기 도해사진을 기반으로 최초로 그 분류학적 기재문을 작성하였다. 모든 한국산 Thyas속 종에 대한 분류학적 진단형질 및 분포 정보를 함께 제공하였다.

한국산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의 형태학적 특징, 분포 및 분류학적 검토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distribution and taxonomic consideration of 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in Korea)

  • 송준호;공민정;홍석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6-163
    • /
    • 2011
  • 국내에 분포하는 이팝나무의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하여 기존 문헌과 선행 연구와의 차이를 파악하였으며, 식물상 문헌 및 표본정보를 통해 국내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잎 표피 미세구조학적 형질과 엽병의 해부학적 형질을 추가하여 간략히 기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