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류키

Search Result 209,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Research of Random Number Generator Using Sensors for IoT and Mobile Devices (IoT 및 모바일 기기에서의 센서를 활용한 난수발생기 현황)

  • Cho, Seong-Min;Seo,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9-222
    • /
    • 2019
  • IoT 기술이 발달하면서 기기들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한 보안 시스템 탑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보안 시스템은 암호 키의 안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안전한 난수발생기를 통해 생성한 난수를 키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한된 리소스를 갖는 IoT 기기들의 특성으로 인해, 기존 난수발생기를 IoT 기기에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IoT 기기에서 사용 가능한 난수발생기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IoT 기기들이 탑재하고 있는 각종 센서를 활용한 난수발생기의 설계 방안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기기에 주로 탑재되는 센서를 5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센서별로 난수성을 측정하는 연구들을 분석한다. 우리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이러한 센서들의 출력이 충분한 난수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 각 센서들을 활용하여 난수발생기를 설계한 연구들을 분류하고 특징을 살펴본다.

암호화된 스마트폰 앱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키 생성 및 암호 알고리즘 분류

  • Sinyoung, Lee;Hangyeol, Kim;Myungseo, Park
    • Review of KIISC
    • /
    • v.32 no.6
    • /
    • pp.17-22
    • /
    • 2022
  •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사용자와 밀접한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포렌식 수사에서 매우 중요하게 수집되어야 할 대상이다. 하지만 어떤 어플리케이션은 암호화 기법을 활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보호한다. 데이터 암호화는 데이터 보호에 효율적이지만, 디지털 포렌식에서는 안티 포렌식으로 작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분석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디지털 포렌식 수사를 위해서는 암호화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에 복호화에 대한 선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표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분석 결과를 수집하여, 암호화 키 생성 및 데이터 암호화 방법에 대해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암호화 방식을 습득하여 추후 또다른 어플리케이션 효율적인 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Key Delivery Protocols for End-to-End Secure Communication (종단 간 암호화 통신을 위한 키 전달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 Kim, Jung-Yoon;Hwang, In-Yong;Lee, Jong-Eon;Kim, Seok-Joong;Lee, You-Shin;Choi, Hyou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09.01a
    • /
    • pp.391-394
    • /
    • 2009
  • All-IP는 통신에 관련된 모든 개체가 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All-IP 네트워크에서는 보안을 위해 통신 내용에 대한 암호화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신뢰할 수 있는 3자 (trusted third party)는 서비스 중재 및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통신에 사용된 암호화 키를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통신 개체가 다른 개체에게 암호화 키를 전달하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본 논문을 통해, 통신 개체가 다른 개체에게 키를 전달하는 기법을 37에로 분류하고 각 기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우리는 새로운 키 전달 프로토콜을 제안하고 3가지 운용 모드를 제시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프로토콜용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안 기능을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성능평가 및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보안 가능과 성능은 뚜렷한 트레이드오프(trade-off)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고, 기본적인 기능만을 운용할 경우 추가적인 오버헤드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 PDF

Secret Group Key Re-sharing Method Suitable for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합한 그룹 공유키 경신 방식)

  • 심주걸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10 no.3
    • /
    • pp.69-76
    • /
    • 200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group key renewal scheme suitable for secure mobile communications in which all members of the group can re-share the new group common key excepted a revoked member using a key distribution center(a trusted center). A renewal group key in the proposed scheme can be shared many times using pre-distributed data by a smart card without a preparation stage. This scheme is also avaliable for a large group network because the transmitted data amount after identifying the revoked member does not depend on a size of group. The secuirty of this scheme is based on the difficulty of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보강제ㆍ무기충진제 및 착색제

  • Baek, Bong-Gi
    • The tire
    • /
    • s.13
    • /
    • pp.31-36
    • /
    • 1968
  • 본장에서는 전호에서 논술한 Carbon black을 제외한 각종 보고무용 보강제, 무기충진제 및 착색제를 해설키로 한다. 논제에서는 세가지 배합제로 분류하였으나 편의상 이들 세가지 배합제를 보진제란 한 어휘로 표현하였다.

  • PDF

보강제ㆍ무기충진제 및 착색제(2)

  • Baek, Bong-Gi
    • The tire
    • /
    • s.14
    • /
    • pp.26-30
    • /
    • 1968
  • 본장에서는 전호에서 논술한 Carbon black을 제외한 각종 고무용보강제, 무기보진제 및 착색제를 해설키로 한다. 논제에서는 세가지 배합제로 분류하였으나 편의상 이들 세가지 배하제를 보진제란 한 어휘로 표현하였다.

  • PDF

보강제ㆍ무기충진제 및 착색제(3)

  • Baek, Bong-Gi
    • The tire
    • /
    • s.15
    • /
    • pp.22-28
    • /
    • 1968
  • 본장에서는 전호에서 논술한 Carbon black을 제외한 각종 보고무용 보강제, 무기충진제 및 착색제를 해설키로 한다. 논제에서는 세가지 배합제로 분류하였으나 편의상 이들 세가지 배합제를 보진제란 한 어휘로 표현하였다.

  • PDF

The properties Analysis of IDEA algorithm (IDEA 알고리즘의 특성 분석)

  • 김지홍;장영달;윤석창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3A
    • /
    • pp.399-405
    • /
    • 2000
  • In this paper, we deal with block cipher algorithm IDEA(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previously known as typical block cipher system. first of all, analysing key scheduler we classify the key sequences with the used key bit and the unused key bits in each round. with this properties we propose the two method, which are differential analysis using differences of plaintext pairs and linear analysis using LSB bit of plaintexts and key sequences.

  • PDF

패스워드 매니저의 보안성 분석

  • Kim, Soolin;Kim, Hyoungshick
    • Review of KIISC
    • /
    • v.28 no.1
    • /
    • pp.36-42
    • /
    • 2018
  • 사용자는 비밀번호를 외워야하는 불편함을 줄이고 로그인 과정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 패스워드 매니저를 사용한다. 패스워드 매니저는 크게 브라우저 기반의 패스워드 매니저와 웹 기반의 패스워드 매니저로 나눌 수 있다. 브라우저 기반의 패스워드 매니저의 경우 로컬에 사용자의 계정 정보와 암호화 키를 저장하기 때문에, 비밀번호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간단한 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평문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로컬에 저장하는 브라우저 기반의 패스워드 매니저와 달리 웹 기반 패스워드 매니저는 웹을 기반으로 실행된다. 웹 기반 패스워드 매니저는 암호화 키를 웹 서버에 저장하기 때문에, 로컬 기반의 패스워드 매니저에 비해 키 노출 우려가 적다. 하지만 웹 기반이기 때문에 공격자가 웹 취약점을 이용하면 사용자의 정보가 누출될 위험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하고자 사용되는 패스워드 매니저를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브라우저 기반 패스워드 매니저와 웹에서 사용되는 웹 기반 패스워드 매니저로 분류하고 각 패스워드 매니저가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방법을 분석하고, 해당 패스워드 매니저들에서 발생 가능한 취약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국내 공개키기반구조(PKI) 구축 현황

  • 이원철;이재일;이홍섭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9 no.3
    • /
    • pp.79-90
    • /
    • 2002
  • 1999년 7월 1일 전자서명법의 시행과 더불어 국내에서는 최상위인증기관(Root CA)인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을 중심으로 가입자에게 전자서명 인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공개키기반구조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구축이 진행되어 왔다. 공개키기반구조는 인터넷상에서 거래당사자에게 직접 대면에 준하는 신원확인 및 문서의 위·변조 방지, 거래사실의 부인방지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주기 때문에 전자상거래를 위한 핵심기술로 분류된다. 본 고에서 국내 PKI 구축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까지 구축된 국내 PKI 체계 및 기술 현황을 기술하고 PKI 활성화를 위해 진행 중인 상호연동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무선 인터넷환경에서 PKI 서비스를 위한 무선 PKI 기술·구축 현황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