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류충돌 열전달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충돌분류계에서 사다리형로드에 의한 열전달증진 효과 (Heat Transfer Enhancement by Trapezoid Rods in Impinging Jet System)

  • 금성민
    • 에너지공학
    • /
    • 제13권1호
    • /
    • pp.28-33
    • /
    • 2004
  • 본 연구는 2차원 충돌공기분류시스템에서 벽면분류영역의 열전달증진을 목적으로 충돌판 앞에 사다리형 로드를 설치하고 로드 사이의 피치, 노즐출구와 충돌판 사이의 거리 및 로드와 전열면 사이의 간극을 변화시키면서 이때의 열전달특성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실험결과 로드를 설치하지 않은 평판의 경우에서는 정체점 이후 열전달성능이 계속 감소하지만, 로드를 설치할 경우에는 로드에 의한 난류발생, 로드측면에서의 와류생성 및 로드밑에서의 가속화 등에 의해 정체점보다 높은 열전달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로드의 피치를 변화시킨 경우, P=30 mm인 경우가 로드 직전에서의 와류 및 로드 바로 밑의 가속효과를 가장 크게 받으며 C=1 mm, H/B=2인 조건에서 로드를 설치하지 않은 평판에 비해 평균 62%정도의 열 전달증진 효과가 있었다.

충돌분류계에서 WIRE MESH를 이용한 열전달 증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Heat Transfer Enhancement Using Wire Mesh in Impinging Jet System)

  • 금성민;김동춘;유지오;이창언;임장순
    • 태양에너지
    • /
    • 제17권1호
    • /
    • pp.47-58
    • /
    • 1997
  • 본 연구는 2차원 충돌공기분류계의 포텐셜코어 영역에서 열전달증진을 목적으로 노즐출구와 전열면사이에 메쉬를 설치한후 노즐출구 속도, 메쉬와 전열면사이의 간극, 노즐출구와 전열면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킬 때의 열전달특성을 메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 검토한 것으로 메쉬를 설치했을 때에는 분류가 전열면에 충돌하면서 소분류로 분할되어 발생하는 난류에 의해 충돌영역에서 열전달성능이 좋아지며, 또한 벽면분류영역으로 진행하면서 홀과 홀사이의 밑부분에서 일어나는 가속으로 인해 열전달성능이 향상된다. 특히 메쉬와 전열면사이의 간극을 변화시켰을 경우 정체점부근에서는 간극이 클수록, 벽면분류영역에서는 간극이 작을수록 전달성능은 향상되며 U=18m/s, H/B=2, C=1인 경우에는 메쉬를 설치하지 않은 평판보다 평균 약 44%의 열전달증진 효과과 있었다. 그리고 본 실험결과를 기존의 난류촉진체를 이용한 연구결과와도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충돌제트 천이영역에서 로드에 의한 열전달특성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by Rods in Transition Region of Impinging Air Jet)

  • 금성민
    • 에너지공학
    • /
    • 제20권2호
    • /
    • pp.96-102
    • /
    • 2011
  • 본 논문은 2차원 충돌제트 시스템에서 충돌판이 천이영역에 위치할때, 열전달성능이 감소하는 벽면분류영역의 열전달증진을 목적으로 난류촉진체인 정 4각 로드를 평판전열면 앞에 설치하고 로드와 로드사이의 피치(P)를 40 mm로 고정한 후 로드의 폭(W) 변화(4, 6, 8 mm) 및 로드와 전열면사이의 간극(C) 변화(1, 2, 4, 6 mm)에 따른 유동특성과 열전달특성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수치해석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로드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와 정량적으로 비교하여 충돌제트 시스템에서 난류촉진체를 이용한 열전달증진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음향 가진된 충돌 역 확산화염의 화염형상과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lame Appearance an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coustically Excited Impinging Inverse Diffusion Flames)

  • 강기중;이기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647-3653
    • /
    • 2010
  • 본 오디오 스피커로 음향 가진과 비가진 된 충돌 역 확산화염에서 화염의 형상과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진에 의해 화염은 반응대가 넓어지고 화염 길이는 좀 더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며 충돌판의 정체점에서 열전달 성능인 열유속은 가진에 의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진 효과는 당량비가 높은 과농한 상태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혼합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이는 가진에 의해 주위산화제가 연료 분류로의 유입이 향상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현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당량비가 0.8인 경우 정체점에서 총 열유속이 최대 57%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가진 연소가 충돌 분류 화염에서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노즐형상에 따른 돌출 발열블록표면에서의 충돌분류 열전달 특성 (Effect of nozzle geometry on the jet impingement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t protruding heated blocks)

  • 정인기;박시우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93-98
    • /
    • 2000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wo-dimensional heated blocks using a confined impinging slot jet has been performed. At p/w=1, the effects of jet Reynolds number($Re=3900{\sim}12000$), dimensionless nozzle to block distance(H/B=1, 2, 4, 6) and nozzle type have been examined with five isothermally heated blocks. With the measurement of jet mean velocity and turbulence intensity distributions at nozzle exit, initially turbulent regimes, are classified. To clarify local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naphthalene sublimation technique were used. The local and average heat transfer of heated blocks increase with the sharp-edged nozzle and increasing jet Reynolds number.

  • PDF

파형 충돌분류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orrugated Impinging Jets)

  • 김예용;김귀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3권3호
    • /
    • pp.320-329
    • /
    • 1999
  •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mpinging jets with corrugated nozzle and wake generation plate. Three different shapes of corrugated nozzle and five different shapes of wake generation plate were tested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mpinging jet.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obtained by using transient method based on the liquid crystal thermography. The effects of corrugated nozzle and wake generation plate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mpinging jets were discussed in detail.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corrugated nozzle and the wake generation plate improved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mpinging jet. Especially, heat transfer coefficients around stagnation region of impinging jets were highly increased.

사각봉이 배열된 슬롯제트 충돌면에서 노즐형상이 열전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zzle geometry on heat transfer of confined slot jet impingement on a flat plate with square rods)

  • 정인기;박시우;고완욱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272-277
    • /
    • 2000
  •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onfined turbulent slot jet impingement on the flat plate with square rods(turbulence promoter) have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at different nozzle configuration. The effects of jet Reynolds number (Re=3900, 5800, 7800, 9700), dimensionless slot-to-plate distance(H/B=4, 6, 8) and clearance(c) between square rods and the plate were examined. Measurement of heat transfer rate were conducted using naphthalene sublimation technique. When square rods were inserted over the heat transfer surface, heat transfer rate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wall jet region and the sharp-edged orifice nozzle was heigher than squared orifice nozzle.

  • PDF

사각봉이 배열된 슬롯제트 충돌면에서의 열전달 특성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onfined Slot Jet Impingement on a Flat Plate with Square Rods)

  • 정인기;박시우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B
    • /
    • pp.119-124
    • /
    • 2000
  •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confined turbulent slot jet impingement on the flat plate with square rods(turbulence promoter) have been experimental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et Reynolds number (Re=3900, 5800, 7800, 9700), dimensionless slot-to-plate distance(H/B=4, 6, 8) clearance(c) between square rods and the plate, and the length(d) of a side of the square rod were examined. Measurement or heat transfer rate were conducted using naphthalene sublimation technique. When square rods were inserted over the heat transfer surface, heat transfer rate was slightly increased in the wall jet region.

  • PDF

피형면에 충돌하는 2차원 분류와 전달특성 및 유동구조 - 충돌 분류의 전열특성 - (Heat Transfer Enhancement and the Flow Structure of a Two-Dimensional Jet Impinging on Wavy Wall)

  • 최국광;차지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96-101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충돌분류에 있어서 전열면상에 비교적 큰 스케일을 가진 트랜스버스 리브(transverserib)형의 피형돌기를 만들고 충돌영역을 포함하여 통상열전달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하류역까지의 넓은 영역에 걸쳐 전달회진을 목적 으로 전달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고 전보에서 다룬 거형의 트랜스버스 리브를 갖는 전열면에서의 결과와 비교 검토하였다. 한편 돌기면상의 유동형태의 상세를 smoke wire법에 의해 충돌분류 특유의 종과류와 그 신장에 대하여 조사하고 표면부유법 (surface floating method)에 의해 비교적 큰 스케일의 돌기에 따른 흐름의 박이 및 재부착에 관해서 조사하여 이들과 전열기구와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검토하였다.

충돌분류계에서 사다리형 로드를 이용한 열전달증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t Transfer Enhancement by Trapezoid Rod in Impinging Jet System)

  • 임태수;금성민;이창언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D
    • /
    • pp.565-571
    • /
    • 200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ir flow and heat transfer caused by trapezoid rods array in impinging air jet system. In this study, trapezoid rods have been set up on front of flat plate to act as a turbulence promoter. Local Nusselt numbers were determined as a function of three parameters: (a) the space from rods to heating surface(C=1, 2, 4mm), (b) the pitch between each rods(P=30, 40, 50mm), (c) the distance from nozzle exit to flat plate(H/B=2, 6, 10). And this research compared the above with the experiment without trapezoid rods. As a result, heat transfer performance was best under the condition of C=1mm and as the pitch is 30mm. In this case, maximum rate of heat transfer augmentation is about 1.9 times greater compared to that without trapezoid ro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