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류오류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ategorization and Analysis of Error Types in the Korean Speech Recognition System (한국어 음성 인식 시스템의 오류 유형 분류 및 분석)

  • Son, Junyoung;Park Chanjun;Seo, Jaehyung;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144-151
    • /
    • 2021
  • 딥러닝의 등장으로 자동 음성 인식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기술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사 발음 오류, 띄어쓰기 오류, 기호부착 오류 등과 같이 해결해야할 난제들이 많이 존재하며 오류 유형에 대한 명확한 기준 정립이 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음성 인식 시스템의 오류 유형 분류 기준을 한국어에 특화되게 설계하였으며 이를 다양한 상용화 음성 인식 시스템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 및 오류 분류를 진행하였다. 실험의 경우 도메인과 어투에 따른 분석을 각각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상용화 시스템별 강건한 부분과 약점인 부분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Jam-packing Korean sentence classification method robust for spacing errors (띄어쓰기 오류에 강건한 문장 압축 기반 한국어 문장 분류)

  • Park, Keunyoung;Kim, Kyungduk;Kang, Inh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600-604
    • /
    • 2018
  • 한국어 문장 분류는 주어진 문장의 내용에 따라 사전에 정의된 유한한 범주로 할당하는 과업이다. 그런데 분류 대상 문장이 띄어쓰기 오류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이는 분류 모델의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이에 한국어 텍스트 혹은 음성 발화 기반의 문장을 대상으로 분류 작업을 수행할 경우 띄어쓰기 오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분류 모델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해 보고자 문장 압축 기반 학습 방식을 사용하였다. 학습된 모델의 성능을 한국어 영화 리뷰 데이터셋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본 논문이 제안하는 문장 압축 기반 학습 방식이 baseline 모델에 비해 띄어쓰기 오류에 강건한 분류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he Taxonomy of Dirty Data for MPEG-2 TS (MPEG-2 표준을 위한 오류 데이터 분류)

  • 곽태희;최병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691-693
    • /
    • 2001
  • DASE(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는 데이터 방송을 위한 국제 표준으로 MPEG-2 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 형식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소스코드 대신 입력 데이터 명세 정보만을 공개하는 특성상 DASE 시스템의 오류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데이터에 오류를 삽입하는 방법이 적합하고 이를 위해 MPEG-2 표준을 위한 오류 항목을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위한 데이터 분류인 Kim’s et al 분류를 근거로 하여 MPEG-2 표준을 위한 오류 항목을 개발하였다. 이는 DASE 시스템의 오류 삽입 테스트 기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and Alternative of Classification Errors in Public Libraries (공공도서관 분류오류의 실증적 분석과 대안)

  • 윤희윤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4 no.1
    • /
    • pp.43-65
    • /
    • 2003
  • Libraries have long experience of applying classification schemes to resources - chiefly books. The ultimate goals of classification are systematic shelving of books and ease of user's acces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books about a particular field of knowledge should be shelved together and near each other. If not so, it is classification error. The focus of this study is, therefore, on analysing the classification error in Korea public libraries and suggesting some alternatives.

  • PDF

Optimal Criterion of Classification Accuracy Measures for Normal Mixture (정규혼합에서 분류정확도 측도들의 최적기준)

  • Yoo, Hyun-Sang;Hong, Chong-Su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8 no.3
    • /
    • pp.343-355
    • /
    • 2011
  • For a data with the assumption of the mixture distribution, it is important to find an appropriate threshold and evaluate its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is found of well-known nine classification accuracy measures such as MVD, Youden's index, the closest-to-(0, 1) criterion, the amended closest-to-(0, 1) criterion, SSS, symmetry point, accuracy area, TA, TR. Then some conditions of these measures are categorized into seven groups. Under the normal mixture assumption, we calculate thresholds based on these measures and obtain the corresponding type I and II errors. We could explore that which classification measure has minimum type I and II errors for estimated mixture distribution to understan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se classification measures.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es for Classification of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on the basis of Experiential Structuralism (경험적 구조주의에 의한 수학적 오류의 분류가능성 탐색)

  • Kim, Bu-Mi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5 no.4
    • /
    • pp.461-488
    • /
    • 2005
  • This article presents new perspectives for classification of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on the basis of experiential structuralism. Experiential structuralism's mechanism gives us new insights on mathematical errors. The hard core of mechanism is consist of 6 autonomous capacity spher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different reality domains. There are specific forc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is organization of mind. There are expressed in terms of a set of five organizational principles. Classification of mathematical errors is ascribed by the theory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6 autonomous capacity spheres. Different types of classification require different autonomous capacity spheres. We can classify mathematical errors in the domain of linear function problem solving comparing cogn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of experiential structuralism.

  • PDF

Eojeol-based Embedding for Korean Erroneous Sentence Classification in Korean Chatbot (한국어 챗봇에서의 오류에 강건한 한국어 문장 분류를 위한 어절 단위 임베딩)

  • Choi, DongHyun;Park, IlNam;Shin, Myeongcheol;Kim, EungGyun;Shin, Dong Ryeo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43-4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챗봇에서의 문장 분류 시스템에 대하여 서술한다. 텍스트를 입력으로 받는 한국어 챗봇의 경우, 때때로 입력 문장에 오타나 띄어쓰기 오류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러한 오류는 잘못된 형태소 분석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 잘못된 형태소 분석 결과로 인한 문장 분류의 오류를 줄이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통합 어절 임베딩 방식을 제안한다. 통합 어절 임베딩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두 가지의 말뭉치 노이즈 추가 방법이 별도로 제안되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오류를 포함한 한국어 문장 분류 문제에서 기존 시스템과 비교하여 문장 단위 정확률 기준으로 23 %p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공공데이터 품질환경 내 데이터 오류의 발생원인별 보안기술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LEE, Won Jae;Kim, Huy Kang
    • Review of KIISC
    • /
    • v.30 no.4
    • /
    • pp.77-89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정부의 공공데이터 공개 제도에 따른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체계를 이해하고, 공공기관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위해 품질 점검을 시행하면서도 효과적인 관리를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공공데이터법과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체계를 이해하고, 저품질 공공데이터의 오류와 발생원인에 대해 알아본다. 오류 데이터 분석을 통한 보안위협에 따른 위험 분류를 통해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공공데이터를 데이터 품질 점검하여 도메인별 오류데이터를 살펴보고, 오류데이터 발생원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안위협과 공공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측면과 기관 측면의 보안 문제를 분류하였다. 분류된 오류 발생원인별 보안문제를 기준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를 통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품질관리 오류 개선방향별 데이터보안 정책별 보안기술을 비교 정리하여, 데이터 보안기술을 통한 품질관리 오류 개선 연계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A Study on Rotating Object Classification using Deep Neural Networks (깊은신경망을 이용한 회전객체 분류 연구)

  • Lee, Yong-Kyu;Lee, Yill-By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5 no.5
    • /
    • pp.425-430
    • /
    • 2015
  • This paper is a study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efficiency of rotating objects by using deep neural networks to which a deep learning algorithm was applied. For the classification experiment of rotating objects, COIL-20 is used as data and total 3 types of classifiers are compared and analyzed. 3 types of classifiers used in the study include PCA classifier to derive a feature value while reducing the dimension of data by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assify by using euclidean distance, MLP classifier of the way of reducing the error energy by using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and finally, deep learning applied DBN classifier of the way of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observing learning data through pre-training and reducing the error energy through fine-tuning.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e-specific error rate of the deep neural networks, the experiment is carried out while changing the number of hidden layers and number of hidden neurons. The classifier using DBN showed the lowest error rate. Its structure of deep neural networks with 2 hidden layers showed a high recognition rate by moving parameters to a location helpful for recognition.

Research on the Identification,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for the Human Errors of Deck Officer Contributing Marine Casuality (해양사고를 야기하는 해기사의 인적오류 식별과 분류 및 평가에 관한 기초 연구)

  • Jo, Su-San;Yim, Jeong-Bin;Yang, Won-Je;Mun, Ji-Woong;Park, Hey-Ri;Lee, Sang-Hoon;Gwon, Do-Won;Park, Eun-Seon;Cho, Ha-R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141-142
    • /
    • 2012
  • 해양사고를 야기하는 인적오류는 일반적으로 규정위반, 실수, 간과, 무기억 등 네 가지 요소로 구분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 해운회사의 사고기록을 조사해 보면, 이러한 네 가지 요소로 분류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특히, 불합리한 작업의 양, 위기관리 능력의 부족, 오해, 불확실성의 이해 부족, 인적 오류의 미반영 등은 기존 네 가지 분류에 포함될 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사고를 야기하는 해기사의 인적오류를 식별하고 분류하며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고찰하고, 새로운 분류 요소를 식별하였다. 실험결과, 새로운 식별 요소의 개발이 필요하고, 개발한 식별 요소가 해기사의 인적오류 평가에 유효함을 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