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류기 결합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72 seconds

Ensemble of Classification Rules with Arithmetic Operators for the Accurate Classification of Lymphoma Cancer (림프종 암의 정확한 분류를 위한 산술연산자 분류규칙의 결합)

  • 홍진혁;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02-204
    • /
    • 2004
  • 앙상블은 다수의 분류기를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분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대표적인 기술이다. 효과적인 앙상블을 위해서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분류기를 확보하여야 한다. 기존의 앙상블은 개별 분류기의 결과를 바탕으로 분류기 사이의 의존성이나 유사성을 평가하여 분류기 결합을 시도하였다. 따라서 분류기 사이의 유사도의 정확한 측정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다수의 산술연산자 기반 분류규칙을 유전자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획득하고, 실제 표현형의 유사성을 측정한 후 이를 바탕으로 분류기를 결합한다. 생물정보학에서 많이 사용되는 유전자 데이터 중 하나인 림포마 암 데이터에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97% 수준의 높은 분류 성능과 해석 가능한 분류규칙을 획득하였다.

  • PDF

Effective Fingerprint Classification with Dynamic Integration of OVA SVMs (OVA SVM의 동적 결합을 이용한 효과적인 지문분류)

  • Hong Jin-Hyuk;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83-885
    • /
    • 2005
  •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 SVM)를 이용한 다중부류 분류기법이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SVM은 이진분류기이기 때문에 다중부류 분류를 위해서 다수의 분류기를 구성하고 이들을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정적인 다중분류기 결합 방법과는 달리 포섭구조의 분류모델을 확률에 따라 동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확률적 분류기인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NB)를 이용하여 입력된 샘플의 각 클래스에 대한 확률을 계산하고, OVA (One-Vs-All) 전략으로 구축된 다중의 SVM을 획득된 확률에 따라 포섭구조로 구성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OVA SVM에서 발생하는 중의적인 상황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고성능의 분류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문분류 문제에서 대표적인 NIST-4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1.8\%$의 거부율에서 $90.8\%$의 분류율을 획득하였으며, 기존의 결합 방법인 다수결 투표(Majority vote), 승자독식(Winner-takes-all), 행동지식공간 (Behavior knowledge space), 결정템플릿(Decision template) 등보다 높은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Predic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Steps using Support Vector Machine Ensemble (SVM 앙상블을 이용한 심혈관질환 질환단계 예측)

  • Eom Jae-Hong;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a
    • /
    • pp.76-78
    • /
    • 2006
  • 현재 심혈관 질환은 암 다음으로 높은 사망 원인으로 기록되고 있어 심혈관 질환에 대한 초기 진단은 질환의 치료에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VM을 이용하여 심혈관질환 환자의 질환 단계를 예측하였다. 일반적으로 이진분류에 사용되는 SVM을 이용하여 정상 및 질환 $1{\sim}3$기의 총 4가지 분류가 필요한 다분류 분류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 논문에서는 독립적 학습된 단일 SVM 분류기들을 결합하여 분류를 수행하는 SVM 앙상블 방법을 사용하였다. 단일 분류기의 결합은 Majority voting, 최소자승에러기반 가중치 부여, 2단계층 결합 등의 방법으로 수행하여 심혈관 질환 분류에 적합한 앙상블의 구성을 시도하였다. 실험 데이터는 (주)제노프라의 압타머 칩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이종의 SVM들을 결합한 결과 질환단계 예측에 있어서 단일 SVM을 이용하여 질환 단계를 예측하는 경우 보다 향상된 질환단계 예측 성능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심혈관 질환의 예측에 대해서는 단일 SVM 분류기의 2단 계층 결합법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Face Recognition Using Sequential Fusion of Binary Classifiers with Rejection (거절 조건을 가진 이진 분류기 순차 결합을 통한 얼굴인식)

  • 부덕희;고재필;변혜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334-336
    • /
    • 2003
  • 얼굴인식 연구는 얼굴표현에 집중하여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이에 따라 최종 인식단계에서는 간단한 분류기가 적용되었다. 그러나, 보다 강건한 분류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복잡한 분류기를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복잡한 분류기를 사용하면서, 얼굴인식의 특성상 온라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진 분류기 분해/결합 방법을 도입한다. 이러한 기법으로는 OPC와 PWC가 대표적이다. 본 방법의 성능은 기본이진 분류기의 성능에 좌우되기 때문에 SVM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방법인 OPC와 PWC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거절 조건을 갖는 이들 분류기들의 순차 결합 방법을 제안한다. ORL얼굴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얼굴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BKS Fusion of Classifier Ensemble for Prediction of Diabetes (당뇨병의 예측을 위한 분류기 앙상블의 BKS 결합)

  • 박한샘;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265-267
    • /
    • 2004
  • 경제 여건의 향상 및 생활양식의 변화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당뇨병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당뇨병의 예측 및 치료가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1993년과 1995년 두 차례에 걸쳐 경기도 연천 지역 주민들의 여러 가지 신체 지수 등을 조사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1차 년도의 데이터로부터 동일한 환자가 2차 년도에 정상상태를 유지하는지 흑은 당뇨병으로 진행이 되는지를 예측하는 문제를 다룬다. 혈당량, 허리둘레 등의 수치가 당뇨병의 발병에 영향을 끼치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므로, 현재의 데이터로부터 앞으로의 발병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환자에게 보다 정확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의미가 있는 일이다. 예측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분류기를 사용하며, 예측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분류기를 BKS로 결합하였다. BKS (behavior knowledge space) 결합 방법은 분류기간의 독립 가정이 필요 없으며, 데이터 크기가 크고 전형적인 경우에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방법이다. BKS 결합 방법을 통해 실험을 해본 결과 단일 분류기로 실험을 한 결과보다 향상된 성능을 얻을 수 있었으며, 투표 결합 방법과 비교하여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

Combining Multiple Classifiers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Email Documents (전자우편 문서의 자동분류를 위한 다중 분류기 결합)

  • Lee, Jae-Haeng;Cho, Sung-Bae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9 no.3
    • /
    • pp.192-201
    • /
    • 2002
  • Automated text classification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method to manage and process a huge amount of documents in digital forms that are widespread and continuously increasing. Recently, text classification has been addressed with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such as k-nearest neighbor, decision tree, support vector machine and neural networks. However, only few investigations in text classification are studied on real problems but on well-organized text corpus, and do not show their usefulness. This paper proposes and analyzes text classification methods for a real application, email document classification task. First, we propose a combining method of multiple neural networks that improves the performance through the combinations with maximum and neural networks. Second, we present another strategy of combining multiple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Voting, Borda count and neural networks improve the overall classification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s for a real application domain, yielding more than 90% precision rates.

Ensemble Classifier with Negatively Correlated Features for Cancer Classification (암 분류를 위한 음의 상관관계 특징을 이용한 앙상블 분류기)

  • 원홍희;조성배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0 no.12
    • /
    • pp.1124-1134
    • /
    • 2003
  • The development of microarray technology has supplied a large volume of data to many fields. In particular, it has been applied to prediction and diagnosis of cancer, so that it expectedly helps us to exactly predict and diagnose cancer. It is essential to efficiently analyze DNA microarray data because the amount of DNA microarray data is usually very large. Since accurate classification of cancer is very important issue for treatment of cancer, it is desirable to make a decision by combining the results of various expert classifiers rather than by depending on the result of only one classifier. Generally combining classifiers gives high performance and high confidence. In spite of many advantages of ensemble classifiers, ensemble with mutually error-correlated classifiers has a limit in the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ensemble of neural network classifiers learned from negatively correlated features using three benchmark datasets to precisely classify cancer, and systematically evaluate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nsemble classifier with negatively correlated features produces the best recognition rate on the three benchmark datasets.

Performance Comparison by Combining CNN with Various Classification Methods (CNN과 다양한 분류 방법의 결합에 의한 성능 비교)

  • Han, Jung-Soo;Kwak, Keu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10a
    • /
    • pp.609-61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컨볼루션 신경회로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과 다양한 분류기들의 결합을 통해 분류성능을 비교하고자 한다. 현재 일반적인 분류기로 알려진 것은 나이브 베이즈(Naive bayes), 트리(Tree), 판별 분석(Discriminant Analysis), 서포트 벡터 머신(SVM: Support Vector Machine) 등이 존재한다. 분류기들은 각각 다른 원리로 분류하기 때문에, 각각 성능을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분류기들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한 사용한 데이터는 CNN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MNIST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로는 CNN에 선형 SVM을 결합하여 사용한 것이 분류율과 분류속도 측면에서 다른 분류기들의 성능보다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 Classifiers for Cancer Classification (암 분류를 위한 기계학습 분류기의 성능평가)

  • Won, Hong-Hee;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405-408
    • /
    • 2002
  • Microarray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양의 유전자 정보를 얻게 되어 암의 정확한 분류와 진단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암을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서는 추출된 유전자에 많은 잡음이 들어가기 때문에 암과 관련이 있는 유전자만을 추출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유전자 추출방법과 다양한 분류기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세 가지 벤치마크 암 데이터에 대하여 실험하여 보았다. 또한 분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분류기를 적절하게 결합한 결과, 결합된 분류기의 성능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 PDF

A Fast Text Classifier with feature Value Voting and Document-Side Feature Selection (자질값투표 기법과 문서측 자질 선정을 이용한 고속 문서 분류기)

  • Lee, Jae-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5.08a
    • /
    • pp.71-78
    • /
    • 2005
  • 빠르면서도 정확한 문서 자동분류를 위해서 자질값투표 기법과 문서측 자질선정 방식의 결합을 제안하였다. 자질값은 미리 학습된 분류자질과 분류범주간의 연관성을 뜻하는 것으로서, 자질값투표 기법은 분류대상 문서에 나타난 자질들의 자질값을 후보범주마다 합산하여 가장 높은 범주로 분류하는 것이다. 문서측 자질선정은 일반적인 분류자질선정과 달리 학습집단이 아닌 분류대상 문서의 자질 중 일부만을 선택하여 분류에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들을 결합하여 사용한 결과 실험환경에서는 나이브베이즈 분류기만큼 간단하고 빠르면서 SVM 분류기보다 좋은 성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