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분류(分類)

Search Result 34,469,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Trends in the Current Library Classification Research in Korea: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 the Past 10 Years (도서관 분류법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 최근 10년간의 연구를 중심으로 -)

  • Kwak, Chul-Wa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5 no.1
    • /
    • pp.173-19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in the current library classification research,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future in this area. This study covers the published studies in library classification from 2004 to 2013. They include the research on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KDC),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oth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purpose in those studies is to improve current KDC system. A suggestion is provided in this study to concentrate on specific classification systems for school libraries and small libraries, for digital collections.

A Study on the Korean Music Schedules of KDC (한국십진분류법 한국음악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Hahn, Kyungsh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3 no.4
    • /
    • pp.297-31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concerning the arrangement of 679 Korean music schedules in the fifth edition of KDC and to propose improvements of that problem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theoretical knowledge background of Korean music is examined first. Then, the development of 679 Korean music section and subsection from first edition to the fifth edition of KDC were examined. And the expansion aspects and their problems of 679 Korean music of the fifth edition of KDC were analyzed and some suggestions to solve that problems were proposed.

Supervised Classification Systems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위한 감독분류 시스템)

  • 전영준;김진일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9 no.3
    • /
    • pp.301-310
    • /
    • 2003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the supervised classification systems for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The systems support various interfaces and statistical data of training samples so that we can select the m()st effective training data. In addition, the efficient extension of new classification algorithms and satellite image formats are applied easily through the modularized systems. The classifiers ar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spectral bands from the selected training data. They provide various supervi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which include Parallelepiped, Minimum distance, Mahalanobis distance, Maximum likelihood and Fuzzy theory. We used IKONOS images for the input and verified the systems for the classific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Image Dat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영상자료의 토지피복분류)

  • Kang, Moon-Seong;Park, Seung-Woo;Kwang, Sik-Y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2 no.1 s.30
    • /
    • pp.75-8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최대우도법과 인공신경망 모형에 의해 카테고리 분류를 수행하고 각각의 분류 성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인공신경망 모형은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 것으로서 학습을 통한 은닉층의 최적노드수를 결정하여 카테고리 분류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인공신경망 최적 모형은 입력층의 노드수가 7개, 은닉층의 최적노드수가 18개, 그리고 출력층의 노드수가 5개인 것으로 구성하였다. 위성영상은 1996년에 촬영된 Landsat TM-5 영상을 사용하였고, 최대우도법과 인공신경망 모형에 의한 카테고리 분류를 위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한 분광특성을 대표하는 지역을 절취하였다. 분류 정확도는 인공신경망 모형에 의한 방법이 90%, 최대우도법이 83%로서, 인공신경망 모형의 분류 성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카테고리 분류 항목인 토지 피복 상태에 따른 분류는 두 가지 방법에서 밭과 주거지의 분류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대우도법에 의한 밭에서의 태만오차는 62.6%로서 매우 큰 값을 보였다. 이는 밭이나 주거지의 특성이 위성영상 촬영시기에 따라 나지의 형태로 분류되거나 산림, 또는 논으로도 분류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차후에 카테고리 분류를 위한 각각의 클래스의 보조적인 정보를 추가한다면, 카테고리 분류 향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Design of Event and Echo Classifier Realized with the Aid of Interval Type-2 FCM based RBFNN : Comparative Studies of LSE and WLSE (Interval Type-2 FCM based RBFNN의 도움으로 실현된 사례 및 에코 분류기 설계 : LSE와 WLSE의 비교연구)

  • Song, Chan-Seok;Oh, Sung-Kwun;Kim, Hyun-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347-134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기상레이더 데이터에서 섞여있는 강수에코 및 비강수에코를 분류하기 위하여 Interval Type-2 FCM based RBFNN의 도움으로 사례 및 에코 분류기의 설계를 제안한다. 학습과 테스트 데이터는 현재 기상청에서 사용하는 UF radar data를 사용하였으며, 사례 분류기와 에코패턴 분류기의 데이터를 각각 생성한다. 전처리 과정인 사례 분류를 통하여 강수사례 혹은 비강수사례를 분류하여 강수사례일 경우 에코패턴분류를 진행하며, 비강수사례일 경우 데이터에 관측된 모든 반사도 값을 제거한다. 사례 및 에코 분류기는 Interval Type-2 FCM based RBFNN을 통하여 패턴분류를 진행하며, 패턴분류 성능을 확인한다. 또한 후반부 파라미터의 동정 시, 각 규칙에 파라미터를 전역적으로 구하는 LSE와 각 규칙에 대한 파라미터를 독립적으로 구하는 WSLE의 비교연구를 수행한다. 분류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례 분류 후 에코패턴분류의 결과는 현재 기상청에서 사용하고는 품질검사(QC) 데이터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Notes in KDC and DDC (한국십진분류법과 듀이십진분류법에 나타난 주기의 다양성에 관한 비교 연구)

  • Chung, Yeon-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2
    • /
    • pp.129-146
    • /
    • 2008
  • Notes in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s are inevitable tools for creating and building of classification numb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ake better notes in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by analyzing and comparing notes in other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and to assign the most appropriate classification numbers based upon the better note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analyzing notes in Dewey Decimal Classification(DDC) and KDC was carried. And the comparison of notes used in 000 Computer science, information, general works in DDC and KDC was done. Based upon these analysis, additional notes and their various forms were suggested.

Comparison of object oriented and pixel based classification of satellite data for effective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천연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위성자료의 객체 및 픽셀기반의 비교)

  • Jayakumar, S.;Heo, Joon;Sohn, Hong-Gyoo;Lee, Jung-Bin;Kim, J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7.04a
    • /
    • pp.215-218
    • /
    • 2007
  • 이 논문은 고해상도 Quickbird 영상을 이용하여 세부레벨계획을 위한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으며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를 위하여 객체기반분류와 ISODATA 기법을 적용하였다. 객체기반분류는 eCognitio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ISODATA 기법의 토지피복분류 결과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인도의 Sukkalampatti이라 하는 작은 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해상도 영상의 사용으로 토지피복분류에 있어서 공간 해상도에 따른 토지피복의 세부레벨분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또한, 객체기반분류와 ISODATA 기법의 분류 결과는 eCognition을 사용한 객체기반 토지피복분류결과가 ISODATA의 픽셀기반의 분류방법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Han-Un Decimal Classification (한은도서분류법에 관한 연구)

  • Yeo, Ji-Suk;Oh, Dong-Geu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7 no.1
    • /
    • pp.329-352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first and revised editions of the Han-Un Decimal Classification(HUDC), and analyzed their relationships to and influences on other major related classification systems. HUDC was compiled in 1954 and revised in 1981. HUDC was influenced by NDC in most classes of main classes and mnemonic schedules, and influenced by KDCP in the classes Religion, Language and Literature.

  • PDF

Suggestions for Rock Classification in Blasting (발파와 관련된 암반분류에 대한 고찰)

  • 선우춘;신희순;류창하
    • Explosives and Blasting
    • /
    • v.20 no.1
    • /
    • pp.35-50
    • /
    • 2002
  • 터널굴착이나 사면절취 등과 같은 굴착문제에 있어서 굴착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대상암반에 대한 리핑암이나 발파암의 구분이 우선되며, 다음에 발파에 의한 굴착방법이 선정되었을지라도 화약량 및 종류, 천공방법 등 발파설계를 위해서 추가적으로 발파암에 대한 세부적인 분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RMR이나 Q시스템과 같은 암반분류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발파암에 대한 표준적인 암반분류법이 없으며, 국내에서도 발파암 분류에 대한 연구가 거의 전무한 상태로 발파암의 분류요소로 사용될 수 있는 요소를 구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앞으로 국내에서 발파암 분류연구에 대한 방향제시를 위해서 발파와 암석의 역학적 특성, 지질구조와 불연속면의 특성과의 관계나 굴착과 관련된 암반분류에 대한 여러 논문사례를 통하여 발파암의 분류요소와 분류방법 등에 대해 언급한다.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Cultural DB Classification for Multimedia Contents. (문화콘텐츠 DB분류 및 구축에 관한 연구)

  • Moon, Byung-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11a
    • /
    • pp.43-55
    • /
    • 2004
  • 본 논문의 주된 내용은 21세기 지식정보사회의 신경향에 부합하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연구한 것으로, 연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위의 연구를 통해, 21세기 지식정보사회의 신경향에 부합하는 새로운 분류체계가 되도록 하기 위해 듀이십진분류법을 지양하고 인터넷 검색시스템 정보 분류 방식을 따랐으며,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통합 또는 세분화가 가능한 열린 분류안을 지향했다. 또한, 기획성 분류군을 설정하여 지역 및 문화의 특수성, 사용자의 개인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주제별 분류와 기획성 분류를 혼합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을 권했다. 주제별 분류안은 학술적으로는 유용하지만, 데이터가 항목별로 균등하게 반영되기 어렵고 일반인의 관심을 다양하게 담아내기 어렵다. 따라서 기획성 분류를 가미함으로써 문화의 특징을 살려내야 한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