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기균열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페리다이나믹스 이론과 병렬연산을 이용한 균열진전 문제의 형상 설계민감도 해석 (Shape Design Sensitivity Analysis of Dynamic Crack Propagation Problems using Peridynamics and Parallel Computation)

  • 김재현;조선호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297-303
    • /
    • 2014
  • 페리다이나믹스 이론과 이진분해 기법의 병렬연산을 이용하여 동적 균열진전 문제에 대한 애조인 형상 설계민감도 해석법을 개발하였다. 페리다이나믹스에서는 균열의 연속적인 분기를 다룰 수 있으며, Explicit 시간적분법을 채택한다. 설계민감도 해석은 애조인 변수법은 경로의존성 문제에는 적합하지 않으나 여기서는 응답해석의 경로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얻어진 해석적 설계민감도는 유한차분과 비교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유한차분법은 설계섭동량에 민감하여 비선형성이 강한 페리다이나믹스 문제에서 부정확한 설계민감도를 제시할 수 있다. 정확한 설계민감도 해석을 위해서는 이산화과정에서 $C^1$ 연속성을 가지는 체적율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모드 II 하중을 받는 CTS 시험편의 피로균열 전파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Behavior in CTS Specimen under Mode II Loading)

  • 송삼홍;이정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7권7호
    • /
    • pp.1217-122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fatigue crack behavior under shear(Mode II) loading. Various specimens and devices have been used in order to produce Mode II loading in fatigue experiments for shear crack propagation. But, there is not sufficient comparisons of experimental results between Mode II and others loading modes, because of characteristics of applied loads and specimens. So, compact tension shear(CTS) specimens were used in this paper to investigate the propagation behavior of Mode II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between loading modes. We firstly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which was showed in Mode II experiment using CTS specimens. The experimental results under Mode II loading were compared with fatigue crack behavior under Mode I and Mixed-mode I+II loading. The characteristics for initiation and propagation behavior under Mode II loading was investigated by such comparisons.

폴리올레핀 복합재료의 파괴인성 메커니즘 및 기계적 특성 (Toughening Mechanism and Mechanical Property in Thermoplastic Polyolefin-Based Composite Systems)

  • 원종일
    • 폴리머
    • /
    • 제31권2호
    • /
    • pp.123-129
    • /
    • 2007
  • 세 종류의 폴리올레핀 복합재료의 기계적인 특성과 파괴인성 메커니즘이 연구되었다. 기계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인장 시험 및 아이조드 충격 시험이 수행되었다. 균열 선단 주위의 파손 메커니즘을 정확히 조사하기 위해 2노치-4점 굽힘 기법이 도입/적용되었다. 광학현미경과 투과형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폴리올레핀 복합재료의 균열 선단 주변 국부적인 파괴인성 특성들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한 구체적인 관찰은, 폴리올레핀 복합재료의 균열선단 주변에 전단밴딩, 크레이즈, 입자-수지간 분리, 고무입자의 캐비테이션, 크랙 휭 및 크랙 분기 등과 같은 다양한 파괴인성 메커니즘들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파괴인성 메커니즘들은 아이조드 충격 시험에서 보여진 파괴인성 값의 증가에 대한 실질적인 원인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2노치-4점 굽힘 기법은 폴리올레핀 복합재료의 파괴 거동과 그와 관련된 파괴인성 메커니즘을 기술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3차원 이산 균열망 모형을 이용한 단층지역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른 흐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ow Variation with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Fault Zones Using Three-dimensional Discrete Fracture Network)

  • 정우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326-326
    • /
    • 2016
  • 단층은 지질학적 관점에서 국부적인 지구구조응력(tectonic stress)이 암반 내에 존재하는 어떤 면을 따라 파괴 분기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매우 큰 공간적 변이에 의한 파괴 면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단층의 수문지질학적 특성은 단층의 공간적인 분포와 간극의 연결성에 따라 변화된다. 단층의 형성이 단층 내의 간극의 생성과 파괴를 이끄는 과정이 포함될 때 단층을 따라 발생되는 변이와 간극의 변화 사이에 복잡한 관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단층의 기하학적 특성에 따라 변화되는 흐름 변화를 3차원 이산 균열망 모형을 통해 모의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층의 기하학적 특성에 대해 3가지 경우를 고려하였다. 첫 번째는 영역 중심에 위치한 폭이 매우 좁고 상대적으로 주위 암반보다 매우 높은 투수성을 가진 단층, 두 번째는 단층 주변에 손상지역(damaged zone)이 존재하는 경우 그리고 세 번째는 relay 구조를 가진 단층이다.

  • PDF

확장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임의의 불연속면 처리기법 (Arbitrary Discontlnuities in Finite Elements)

  • Belytschko, Ted;Moes, Nicolas;Usui, Suji;Parimi, Chandu
    • 전산구조공학
    • /
    • 제17권2호
    • /
    • pp.60-72
    • /
    • 2004
  • 유한요소법의 테두리 내에서, 함수 자체 및 그 미분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불연속면을 처리할 수 있고, 또 불연속면의 교차 및 분기를 다루는 기법을 제사하였다. 불연속면을 근사하기 위해 거리함수를 이용하였고, 불연속면의 천이는 레벨? 함수를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이산화된 방정식을 유도하기 위해 표준 갈라킨법을 이용하였다. 수치해석 예로서, 균열성장, 회전축 베어링, 비부착 함입, 암반의 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은 International Journal for Numerical Methods in Engineering 2001년 50호 pp. 993-1013에 발표된 논문이다. (중략)

구조물의 속도 의존적 파괴 특성에 대한 연구; 입자동역학을 이용한 취성재료에의 적용 (Study on Rate Dependent Fracture Behavior of Structures; Application to Brittle Materials Using Molecular Dynamics)

  • 김근휘;임지훈;임윤묵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4A호
    • /
    • pp.529-536
    • /
    • 2008
  • 구조물의 파괴 거동은 하중의 재하 속도에 따라 달라지는 특성을 보이는데, 이는 재료의 속도 의존성으로부터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공학의 여러 분야에서 관심사였지만, 파괴 메커니즘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치 해석을 통한 연구에는 그 한계점과 어려움이 상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파괴 거동의 속도 의존성을 이해하고자, 취성재료를 대상으로 입자동역학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직접 인장 시험 시뮬레이션을 위해 노치가 있는 시편을 모델링하고, 취성재료가 갖는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Lennard-Jones 포텐셜을 사용하였다. 6가지의 다른 하중 속도에 따른 균열의 거칠기, 균열의 후퇴와 멈춤, 분기 현상과 같은 동적 파괴 특성을 관찰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하중 속도에 따른 파괴 거동의 변화 원인을 에너지 유입-소모율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하고, 재료의 파괴 메커니즘이 갖는 속도 의존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였다. 또한, 기존 실험과의 비교를 통해 실제적인 현상과의 유사성을 밝힘으로써 입자동역학의 공학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