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분광광도법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8초

알루미나에서 방향족화합물의 분광광도법에 의한 역확산 해석 (Analysis of Counter-diffusion of Aromatic Compounds on Alumina by Spectrophotometry)

  • 고태석;정경환
    • 분석과학
    • /
    • 제8권2호
    • /
    • pp.205-213
    • /
    • 1995
  • 알루미나에 흡착된 coronene이 tetra-phenylporpine에 의해 탈착되어 역확산되는 과정을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액상에서 진행되는 흡착되는 물질과 탈착되는 물질의 역확산과정을, 교차하는 물질의 확산량이 같다는 가정 아래 Fritz 2 성분 흡착등온식을 적용한 역확산 모델로 모사하였다. Tetra-phenylporphine에 의해 탈착되는 과정에서 결정된 coronene 의 역확산계수는 ${\sim}10^{-15}m^2/sec$였으며, 흡착되는 과정에서 결정된 tetra-phenylporphine의 역확산계수는 ${\sim}10^{-11}m^2/sec$였다. 탈착되는 과정에서 결정된 coronenne의 역확산계수가 단일 성분의 흡착과정에서 결정된 확산계수에 비해 $10^5$배 정도로 적게 결정되는 이유는, 확산 교차에 의한 효과뿐 아니라 탈착과정에서 세공내 coronene의 농도 구배가 커진 데 기인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 PDF

이차 미분 형광 분광광도법에 의한 울산만 해양 저질토양 중의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AHs)의 동시 분석 (Synchronous determin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sediment of Ulsan Bay by synchronous 2nd derivative fluorescence spectrophotometry)

  • 유광식;정지영;정선이
    • 분석과학
    • /
    • 제17권1호
    • /
    • pp.45-52
    • /
    • 2004
  • 현이차 미분 형광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울산만 해양 저질토양중의 PAHs를 n-hexane용매로 추출하여 11종의 PAHs를 동시 정량분석하였다. Acenaphthene (Ace), anthracene (Anth), benzo(a)pyrene (BaP), benz(a)anthracene (BaA), benzo(b)fluoranthene (BbFt), benzo(k)fluoranthene (BkFt), chrysene (Chry), perylene (Per), phenanthrene (Phen), pyrene (Pyr) 및 fluoranthrene (Ft) 등을 정량분석 하였다. 이들 성분들의 검정선은 대략 0.15~166 ppb의 농도범위에서 직선관계를 보였으며, 0.999이상의 좋은 직선 상관계수를 보였다. 울산만의 해양 저질 토양 (sediment)에 함유된 11종의 PAHs 총량은 68.8 ng/g ~ 324.4 ng/g의 농도범위로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PAHs의 총량은 울산만의 안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Pyr과 BaA 등과 같은 4고리화합물의 함량비가 높았다.

침엽수종 분류를 위한 초분광영상과 다중분광영상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Hyperspectral and Multispectral Images for the Classification of Coniferous Species)

  • 조형갑;이규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5-36
    • /
    • 2014
  • 수종 간의 유사한 분광특성 때문에 기존의 다중분광영상을 이용한 수종분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광릉수목원에 분포하는 다섯 종류의 침엽수림을 분류하기 위하여 초분광영상과 다중분광 영상의 적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항공 초분광영상(AISA, CASI)을 촬영하였으며, 비교 목적으로 초분광영상을 이용하여 모의 제작된 ETM+ 다중분광영상을 사용하였다. 영상분류에 사용된 영상은 초분광영상의 모든 밴드를 포함한 영상, PCA 및 MNF 기법으로 차원 축소된 영상, 그리고 분류등급의 분광분리도를 이용하여 소수의 밴드만을 추출한 영상이다. 또한 감독분류 과정에서 MLC, SAM, SVM 등 세 종류의 분류기를 적용하였다. 전체적으로 침엽수종의 분류에 있어서 초분광영상이 다중분광영상보다 높은 분류정확도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중적외선 파장영역을 포함한 AISA-dual영상이 가장 좋은 분류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많은 분광밴드를 가진 초분광영상을 MNF기법으로 차원 축소한 영상을 사용했을 때, 다른 영상보다 높은 분류결과가 나왔다. 감독 분류과정에서는 최대우도법(MLC)을 적용했을 때, 가장 높은 분류정확도를 얻었다.

해수 중 용존 암모늄 분석방법 비교: 분광광도법과 형광법 (Comparison of Dissolved Ammonium Analytical Method in Seawater: Spetrophotometry and Fluorometry)

  • 손푸르나;박준성;노태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5권4호
    • /
    • pp.81-96
    • /
    • 2020
  • 해수 중 용존 암모늄 분석에는 Berthlot's 반응의 분광광도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OPA (orthophthaldialdehyde-sulfite) 형광시약을 이용한 형광법이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도 호주연구선 Investigator에서 수행된 국제 영양염 선상 상호비교 실험에서 두 기관(KIOST(분광광도법, 1차 선형 회귀식 기울기만 사용), 호주CSIRO(형광법, 2차 비선형 회귀식 사용))간의 영양염 표준물질과 현장 해수시료의 용존 암모늄 농도값 차이(약 0.31 𝜇M)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 분석방법 간 검출한계, 분광광도법에 내재된 시약 굴절률, 검량선식 등에 의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분광광도법의 방법검출한계(0.063 𝜇M)와 시약 굴절률 바탕값(0.054 𝜇M)은 두 기관의 용존 암모늄 농도값 차이를 각각 20%, 17% 정도 설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분광광도법의 검량선을 형광법과 동일한 2차식 또는 선형회기식의 기울기와 절편으로 농도를 계산할 경우, 두 기관 간의 용존 암모늄 농도값 차이는 현장에서 측정된 분광광도법의 방법검출한계 이하로 줄었다. 따라서 국제 영양염 선상 상호비교 실험에서 영양염 표준물질과 해수 현장시료에서 나타난 두 기관 간의 용존 암모늄 농도값 차이는 분광광도법과 형광법의 분석방법 차이에 의한 영향보다는 두 방법에 사용된 상이한 검량선식 영향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해수시료의 용존 암모늄 자료를 비교할 때 분석방법의 차이보다는 분석에 사용된 기저선, 표준용액열 개수, 검량선식 등에 대한 정보에 유의할 것을 권장한다.

동시형광 분광광도법에 의한 대기 시료 중의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s)의 분석 (Determin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in Atmospheric Samples by Synchronous 2nd Derivate Spectrofluorimetry)

  • 유광식;정선이;정지영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9-138
    • /
    • 2004
  • Determination of some PAHs in ambient air at Ulsan have been carried out by collection of the components into n-hexane followed by synchronous spectrofluorimetric technique. 10 PAHs, such as acenaphthene (Ace), anthracene (Anth), benz[a]anthracene (BaA), benzo[b]fluoranthene (BbFt), benzo[k]fluoranthene (BkFt) benzo[a]pyrene (BaP), chrysene (Chry), phenanthrene (Phen), fluoranthene (Ft), perlyrene (Per), and pyrene (Pyr) in air samples were able to determine separately by synchronous spectrofluorimetry. Calibration curves for those components were linear for the concentration range of 0.2∼166ppb PAHs with the correlation factor of 0.9985∼0.9999. The predominant contribution was phenanthrene which was included 36.9∼85.1% to the overall level of the 10 PAHs in some areas. Also benzo[a]pyrene which was known to carcinogenicity was detected from 6.4 to 55.8ng/㎥, benzo[a]anthracene of some areas was contained from 21.9∼153ng/㎥.

가소제를 이용한 클로르프로마진의 용매 추출 분광광도법 (Determination of Chlorpromazine Using Plasticizers as Extraction Solvent)

  • 이지연;정문모;허문회;안문규
    • 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3-247
    • /
    • 1998
  •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basic drugs based on their reaction with picric acid to form an ion-association complex extractable into several plasticizers was developed. Ba sic drugs-picric acid complexes in acid medium could be extracted quantitatively into several plasticizers except phosphates. For example, the chlorpromazine-picric acid complex showed maximum absorbance at near 410nm and was applied to extraction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hlorpromazine. The calibration curves are linear (r>0.998) within a range from $10^{-6}to\;5{\times}10^{-4}M$ and the precision of the method was acceptable because RSD was less than 2.6% (n=7). The factors affecting the extraction system was discussed.

  • PDF

분광광도법에 의한 혈중일산화탄소의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Blood by Spectrophotometry)

  • 정근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9-51
    • /
    • 1975
  • The accidents, homicides and suicides of carbon monoxide poisoning to increase in number every year are required precize, accurate, and rapi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carbon monoxide in the blood samples. Here is the basis of this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ercentage saturation of hemoglobin by carbon monoxide which have found out to be suitable in laboratory as follows: A 0.1ml of blood is mixed with 20ml of 0.1% ammonium hydroxide, and 20mg sodium hydrosulfite is added to convert oxyhemoglobin to reduction hemoglobin. The absorbance is measured at 538nm and 578nm,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within ten minutes of addition of sodium hydrosulfate.

  • PDF

Dimethylsulfoxide와 몇 가지 유기분자와의 상호작용 (Interactions between Dimethylsulfoxide and Some Organic Molecules)

  • 김시중;신두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52-358
    • /
    • 1971
  • 열가지 유기물질, 즉 니트로벤젠, m-디니트로벤젠, o-디니트로벤젠 1,3,5-트리니트로벤젠, m-크실렌, 메시틸렌, 비벤질, 비페닐, o-페난트린, 및 나프탈린등과 dimethylsulfoxide사이의 상호작용을 검토했다. 이 유기분자들은 모두 라울의 법칙에서 음의 편차를 나타내며, 전하전이착물을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그 착물의 안정도상수를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고, 몇가지 열력학함수를 계산했으며 결합에너지가 대개 -1∼-4 kcal/몰임을 알았다. 한편 용매의 영향을 검토하여 착물의 안정도가 용매의 극성은 물론 염기도에 크게 의존함을 알았다.

  • PDF

분광광도법에 의한 8-(p-Ethylbenzenesulfonamido) quinoline과 구리와의 착물에 관한 연구 (Spectrophotometric Study on the Complex of the Copper by 8-(p-Ethylbenzenesulfonamido) quinoline)

  • 이흥낙;박영규;이철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378-384
    • /
    • 1971
  • A new analytical reagent 8-(p-ethylbenzenesulfonamido)quinoline(EBSQ) has been synthesized, and identified its structure. EBSQ forms copper chloroform-soluble complex in a basic solution (pH = 7.5∼10.5). The other optimum conditions for the spectrophotometric study of Cu-EBSQ have been established at 380 $m{\mu}$. Beer's law is followe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0~44.5 ${\mu}g$ per 10 ml of chloroform. The composition of complex has been found to be $Cu(EBSQ-H)_2$and the over-all instability constant is calculated to be $1.22{\times}10^{-7}$.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the $Cu(EBSQ-H)_2$ complex is ${\varepsilon}$ = 15,800.

  • PDF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기체상 암모니아의 분석법 확립 (Analysis of Ammonia Gas Using Ion Chromatography)

  • 이종해;민병훈;전룡;김진석;김용두
    • 한국대기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대기환경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6-367
    • /
    • 2003
  • 암모니아 가스는 무색의 기체이지만 자극성이 크면서 부식성이 있고 수용액이 알칼리성인 대표적인 악취물질이다. 보통의 경우는 굴뚝 등에서 배출가스의 형태로 대량 방출되기도 하지만 자연상태에서도 여러 가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반응 등을 통하여 생성되므로, 일상적인 생활 공간에서도 쉽게 검출될 수 있는 물질이다. 대기 중 암모니아의 농도는 기체상 시료를 직접 분석하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와 시료를 액체상으로 변환시킨 후 암모늄 양이온의 농도를 분광광도법이나 중화적정법으로 측정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