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북한교육

Search Result 24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북한수의학.수의학교육

  • Yang, Il-Seok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1004-1029
    • /
    • 2011
  • 1992년7월부터 4년2개월 동안 '6년제 수의과대학'을 위하여 뛰어 다니며 "한국수의학교육의 수업연한 개선 방안(1994. 4. 10)"을 작성할 당시 북한 수의학교육에 대하여 궁금증을 가진 바 있어 북한수의학교육 조사를 하여 본적은 있으나 한번도 북한을 방문한 적이 없을 뿐 아니라 북한자료를 접하기 쉽지 않은, 오히려 금기시(?)되는 현상황 아래 북한 수의학에 대한 글을 쓴다는 것이 캄캄한 밤길을 걷는 것과 같음은 불문가지이다. 그러나 언제일지 모르지만 통일이 우리 앞에 성큼 다가왔을 때를 대비하여 북한의 수의학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우리분야의 전문가가 북한인사를 접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라도 이러한 글이 있어야 하겠다는 생각으로 시작은 하였으나 북한을 몇 번 다녀온 분들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 보아도 나무는 그려지나 숲은 볼 수 없는 상황이었다. 북한 수의학교육의 줄거리를 정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을 때 "이것이 북한교육이다"이란 책을 접하게 되었다. 일일이 인용표시를 못하였지만 필자가 이 책을 접하지 못하였다면 아마도"북한 수의학 수의학교육"이란 글을 쓰는데 몇 개월은 더 방황하였을 것이다. 이글은 먼저 북한의 교육체계변천을 살펴보고,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한 북한의 교육체계, 수의학교육, 수의학 도서 및 학술지를 살펴보았고, 인접 학문인 의학교육과 농업교육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의학교육을 마친 후 졸업생이 활동하는 영역인 산업(축산)분야를 살펴보고 남북교류협력과 검역도 관심을 가졌다.

  • PDF

북한의 천문학 교육 및 연구현황 분석연구

  • Min, Yeong-Gi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8 no.1
    • /
    • pp.207-241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북한에서 발행된 출판물을 통해서 북한의 천문학 교육과 연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남한의 실상과 비교하였다. 북한에는 국가 천문대로서 과학원 소속의 평양천문대가 있다. 이 천문대의 시설은 연구보라는 주로 실용성의 천문 관측을 위한 것들이다. 북한에는 교육용천문대로서 김일성종합대학 천문대, 평양학생소년궁전 천문대, 만경대소년궁전 천문대가 있다. 북한에서는 천문학 교육이 초등학교에서 대학까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천체현상의 원리를 이해시키기보다는 현상의 설명에 치우치고 있다. 김일성 종합대학에서 천문학자가 양성되고 있으나 독립된 학과는 없고 물리학과에서 천문학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남북한의 용어에는 상당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북한 용어의 특징은 우리말로 풀어서 만든 용어가 맡은 것이다. 북한에는 천문학의 단독학술지는 없고 단행본의 수도 극히 적다. 북한에서 발표되는 연구논문의 수는 매년 수편에 불과하다. 북한의 역서는 천문력과 항해력을 합친 것으로 방대한 분량을 수록하고 있다. 출판물에 나타난 북한의 천문학자수는 42명이고 그들 중 21명이 국채전문연맹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다. 북한학자들은 천문학의 기초 분야보다는 태양 관련 분야나 위치천문, 인공위성 등 실생활과 관련 있는 연구를 주로 하고 있다. 앞으로 남북 교류가 이루어진다면 남한의 기초와 북한의 응용 분야가 결합해서 상호 보완적으로 천문학 수준 향상을 이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북한이탈주민에게 창업교육이 미치는 영향 분석 예상: 창업교육을 통한 북한이탈주민 교육효과성과 심리분석을 통한 정부지원정책 모색

  • Lee, Jon-Ho;Nam, Jeong-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18-122
    • /
    • 2016
  • 북한이탈주민의 입국자가 곧 3만 명에 육박할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사회에서의 안정된 정착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기에, 그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창업교육을 실시하여 북한이탈주민의 경제적 고립을 막고, 한국사회에서 올바른 진로를 선택하여 미래 통일 역군을 만들고자 한다. 본 논문은 창업교육 전, 후 창업동기 및 의지, 기업가정신, 진로장벽, 진로성숙도, 진로미결정 요인을 분석하여 창업교육에 대한 효과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아울러 장지적으로는 국내 입국 후 북한이탈주민들이 느끼는 심리를 분석하여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진로와 정부지원정책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 PDF

Christian Educational Proposals for Revitalizing Research on North Korea's 'education' (북한 '교육' 연구 활성화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제언)

  • Ham, Seung su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71
    • /
    • pp.305-340
    • /
    • 2022
  • This study was star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al development to revitalize North Korea's 'education' research. Since the two Koreas have experienced heterogeneity in almost all elements of society,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division in 1977, true unification depends on laying the foundation for social integration that can overcome the sense of heterogeneity between the two Koreas. This is why North Korea's "education" research is needed. Education is the foundation for transferring culture and history, and for bringing about the survival, transformation, and community of society and since it is the mission of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educator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North Korean "education" research, North Korean "education" research is very important. Despite this importance, 'North Korean research'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has not been properly conducted. Research on the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used in churches is actively taking place, but research on the macro level of presenting post-unification education blueprints is rare. This study was star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al development to revitalize North Korea's 'education' research. For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Research'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erational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recent research on North Korea has been expanding in research topics and methodologies, and recent studies have been differentiated into microscopic studies that deviate from existing research trends at a macro level and view North Korea's daily life.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education research' are summarized by period. The research on North Korean education,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1970s, was divided into the period of start(70s), transition(80s), leap(90s), expansion(2000s), and development(2010s~). and research characteristics for each period were analyzed. Through this, early North Korean education research was also conducted in the policy aspect of the coun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and social studies were strong, but recent studies have confirmed that the subjects and contents are diversifying. Based on these studies, the pending issues and issues of North Korean education research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were analyzed. The study of North Korea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which began in the 1980s, has been conducted in the engineering aspect of 'develop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s for churches'. However, studies on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and North Korean education itself, which can be used in public education sites including Christian schools, have yet to be sufficient. Nevertheless,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can be evaluated as a positive change. Based on these studies, it was proposed to establish a de-ideological research foundation, secure primary research data(Raw Data), activate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ologies, and strengthen research capabilities in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o revitalize North Korean research in the field of Christian education. I hope this study will trigger various follow-up studies and help Korean churches that must achieve unification.

Comparison of North and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남·북한 유아교육과정 비교)

  • Jang, Won-Ju;Lee, Hwa-Do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8 no.3
    • /
    • pp.217-242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n order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al alternatives for possible integration. The comparison of North and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was conducted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early childhood curriculum area and daily managem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sses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ere more differences found than similarities in various areas due to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philosoph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in order to integrate North and South Korea's early childhood curriculum, a new educational ideology that reflects the unique function and purpose of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specific curriculum and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ly. Secon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ent and ope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s political ideology educ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tent of the North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course. Third, in order to integrate the South and North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standardize the term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order to unify them.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try to integrate them gradually starting from areas showing similarities, and to endeavor to overcome discrepancies through mutual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on-line university of the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nd their needs (북한이탈주민 학생들의 on-line 대학교에서의 교육경험과 그들의 필요)

  • Yi, Moun-Sou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81-82
    • /
    • 2014
  • 1998년 이래 2014년 3월 현재에 이르기까지 북한이탈주민의 누적 수는 26,500여명에 이른다. 이들 중 북한사회에서 고등학교 교육을 이수한 이들은 남한사회에서 대학교육을 경험하고자 하는 이들이 다수이며, 이들 중에는 사회 경제적 여건 상 on-line교육으로 눈을 돌리는 이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on-line대학을 접한 북한이탈주민 학생들의 교육경험을 질적연구를 통해 분석해보고 그들이 교육을 받고 있는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필요가 무엇인가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