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북미 대학도서관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도서관 현황변화 비교분석 - 한국, 북미, 영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Current Status and Changes of Academic Libraries between South Korea, North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 최재황;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83-30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와 북미, 영국 대학도서관 통계지표를 비교하여 국내 대학도서관 현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의 학술정보통계시스템, 미국의 대학 및 연구도서관 협회 통계보고서, 영국의 대학 및 국립대학 도서관협회 통계보고서를 활용하여 비교 가능한 통계지표를 식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국내와 북미 주요 대학 간의 비교에서는 대부분의 지표에서 북미 대학의 도서관 여건이 국내에 비해 우수하였는데, 특히 북미 대학이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가 월등히 많았다. 다음으로 국내와 영국 대학을 비교한 결과, 국내 대학이 영국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소장 장서 수, 도서관 건물 연면적, 도서관 열람석 수 등에 우위를 보이는 반면, 영국 대학은 국내 대학에 비해 재학생 수 기준 도서관 직원 수, 자료구입비, 상호대차 신청 건수, 도서관 이용자 PC 수 등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인력, 예산 투입에 대한 국가와 대학 차원의 지원이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국내 및 북미 주요 대학의 도서관 통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tatistics of Academic Libraries of Major Universities in South Korea and North America)

  • 최재황;이종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97-221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국내 57개 주요 대학과 북미 116개 주요 대학의 도서관 통계를 각각 학술정보통계시스템(Rinfo)과 연구도서관협회(ARL) 통계를 활용하여 비교하였다. Rinfo와 ARL 통계에서 유사성이 높은 12개 지표를 비교한 결과, 국내 주요 대학의 도서관은 '소장 장서 수', '전자책 수', '도서관 직원 수', '자료 구입비', '상호대차 신청 건수', '상호대차 제공 건수', '이용자 교육 횟수', '이용자 교육 참가자 수' 측면에서 북미 주요 대학에 비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간 도서관 이용자 수', '참고 트랜잭션(교류) 건수', '관외 대출 건수', '원문 제공 건수'에 있어서는 국내 대학이 북미 대학의 현황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들 지표에 대해서는 ARL과 Rinfo 간의 정의나 작성방식에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어 결과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대학 교육과 연구경쟁력의 핵심 요소인 국내 대학도서관에 대한 국가 및 대학 차원의 관심과 지원 확대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나아가 Rinfo 지표에 대한 체계적 관리 필요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공지능(AI)을 이용한 도서관서비스 연구 - 북미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ibrary Serv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cused on North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 김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31-247
    • /
    • 2020
  • 인공지능(AI)이 4차 산업혁명 중에서도 미래유망기술로 부각됨에 따라 도서관을 포함한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인공지능기술을 적용하고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이 대학도서관 서비스에 미치고 있는 영향과 이슈, 그리고 시사점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북미지역 대학도서관 IT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으며, 인터뷰결과와 국내외 관련 문헌들을 통해 결론과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결과로 북미지역 대학도서관들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기반으로 정보 접근과 검색을 효율화하는 인프라구축에 노력하고, 대학내 인공지능 연구소들과도 협업하여 새로운 서비스 제공을 시도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향후 도서관과 사서의 역할 변화, 프라이버시, 그리고 데이터품질에 대한 이슈들을 제기하였다. 논의를 통해 대학의 사서들이 지식을 보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되기 위한 사서 재교육의 필요성과 대학 도서관의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투자와 도서관에 인공지능 연구소를 세우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환경 변화에 따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도 논의되었다.

북미 지역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 특성 연구 - 서비스 간 계층 구조와 직책 및 직책별 직무내용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Data-related Service in North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Focusing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Services, Job Titles, and Job Descriptions)

  • 김규환;박종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453-475
    • /
    • 2023
  • 본 연구는 북미 지역 50개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명과 서비스명 간의 계층 관계, 연구데이터 서비스 담당자의 직책명과 직무내용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북미 지역 대학도서관의 경우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명 간에는 분명한 계층 관계가 존재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명들의 계층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 담당자의 직책명으로는 'Librarian'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Librarian'이 담당하는 직무내용이 가장 폭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Librarian' 외에 'Specialist', 'Analyst' 등의 다양한 연구데이터 관련 전문인력의 직책명이 사용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다양한 직책명의 존재는 대학도서관이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의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파악되었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 서비스 구성체계는 '연구데이터 서비스'를 최상위 서비스명으로 하고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 'GIS 서비스', '데이터 시각화 서비스'를 하위 서비스명으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기에는 기존 대학도서관 사서 간에 업무조정을 통해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점진적으로 연구데이터 관련 전문 인력의 신규 채용을 고려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미국 대학 도서관에서의 웹 2.0 어플리케이션 확산에 관한 연구 (Diffusion of Web 2.0 Applications in Academic Libraries in the U.S.)

  • 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3
    • /
    • 2012
  • 본 연구는 111개 북미연구도서관협회 멤버 도서관들을 대상으로 RSS, 블로그, 태깅, 팟캐스트, 위키 등 다섯 가지 종류의 웹 2.0 어플리케이션의 수용 정도와 확산 속도를 조사하였고 확산과 관련한 기관 차원의 요인을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웹 2.0을 수용한 전체 도서관 수와 확산 속도로 미루어 보아 웹 2.0 기술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위키를 수용한 도서관들은 수용하지 않은 도서관들에 비하여 대체로 대규모 사이즈의 대학에 속해 있고, 직원 수가 많으며, 전자 자료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대학도서관의 온라인 연구지원 가이드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Online Research Guides of University Libraries)

  • 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9-248
    • /
    • 2010
  • 대학에서 연구가 중요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연구지원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미 및 국내 60개 대학의 디지털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공하는 현황을 조사하여 13개의 주요 내용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도서관이 연구지원 가이드 내용을 구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5개의 주요 영역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지원 가이드가 온라인상으로 제공되는 방식과 가이드를 통해 사서와 이용자가 소통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작, 제공하는 주체는 사서이며 대학도서관의 사서 역할은 향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서 이용자를 위한 정보를 생산하는 역할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북미지역 iSchool 대학과 L-School의 교육과정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Curriculum of iSchools and L-School in North America)

  • 김희섭;남권희;강보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95-314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북미의 iSchool 대학들의 교육과정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지역 17개 iSchool 대학 집단과 동일한 수의 L-School 대학 집단을 선정하였다. 해당 대학의 대학원 개설 교과목 정보는 주로 해당 대학 공식 웹사이트와 전자메일 문의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교과목은 8개 영역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아울러 L-School 대학 집단과 비교분석도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로는 SPSS 19.0을 사용하였고, 두 집단 차이분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iSchool 대학 집단의 개설 교과목 비율을 분석한 결과 '정보학', '실습연구', '도서관정보센터경영' 영역이 높은 순위를 보였고, L-School 대학 집단의 개설 교과목 영역과 차이분석을 한 결과에서는 '문헌정보학일반' 영역은 더 낮게, '정보학',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실습연구' 영역은 더 높게 나타났다.

독자상담을 위한 사서교육에 관한 연구 (Education for Readers' Advisor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s)

  • 이연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73-98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북미 공공도서관의 독자상담에 주목하고, 독자상담과 관련한 사서직의 역할과 독자상담 사서의 양성실태를 고찰해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미도서관협회(ALA)가 승인한 문헌정보대학원(미국 50개 대학과 캐나다 7개 대학)을 대상으로 독자상담 및 관련 교과목을 조사하여 교수요목과 교수계획표를 수집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상담과 관련한 교과목의 운영현황과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우리나라 문헌정보학에서 도서관의 독서서비스 및 사서교육과 관련하여 검토할 사항과 과제를 논의해보았다.

  • PDF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인문학 연구지원 가이드에 관한 연구 - 미국 대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igital Humanities Research Guides of Academic Libraries in the U.S.)

  • 이지수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97-320
    • /
    • 2022
  • 본 연구는 미국의 연구중심 대학도서관에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 DH) 연구지원 가이드 서비스를 각 기관의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현황을 분석하였다. 2018-2019년도 연구도서관협회(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ARL) 통계를 기준으로 북미에서 가장 많은 양의 책을 보유한 연구중심 대학도서관의 순위를 근거로 DH 연구지원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30개 기관의 서비스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서비스의 구성요소 8가지의 기준, (1) 도구 및 기술, (2) 펀딩, (3) 커뮤니티, (4) 교수법, (5) 프로젝트, (6) 정보원, (7) 출판 및 상담, (8) 워크숍 및 훈련 등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DH 연구지원 가이드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관 중 대다수는 'DH 정보원'을 제공하고 있고, 절반 이상의 기관에서 'DH 도구 및 기술'과 'DH 커뮤니티'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기관은 DH 출판 및 프로젝트의 상담을 위해 도서관 자체적, 도서관과 교내 연구소 및 센터, 또는 기타 학과와 연계하는 방식으로 DH 연구지원 가이드 서비스를 운영하며, 도서관 실무진 및 연구 전문 인력이 협력하여 컨설팅을 통한 연구지원 가이드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향후 국내 도서관의 DH 연구지원 가이드의 서비스 운영 방안과 서비스 담당자의 역량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